•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c disease risk factor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1초

서울 및 경기 일부지역 초등학교 5학년의 건강상태 및 영양섭취실태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김옥현;박현아;조영규;김경우;허양임;송지현;강재헌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17-72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among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study on 1,384 children (687 boys, 697 girls) from nin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average height, weight and BMI were 145 cm, 40.6 kg $19.2\;kg/m^2$ for boys and 145.4 cm, 38.2 kg, $18.0\;kg/m^2$ for girls.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were 11.3%, 5.2%, respectively. Serum AST, ALT, glucose, HDL-Cholesterol and RBC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ile TG levels was significantly lower for boys than for girls. The average energy intake was 1772.4 kcal, which was 98.7% of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The boys consumed more energy intake (1800.4 kcal) than the girls (1744.7 kcal). Also, they took insufficient calcium and folate (69.1% and 83.3% of Recommended Intake (RI)) and excess sodium (297.6% of Adequate Intake (AI)) and 85.1% of the subjects had breakfast everyday. In general, the proportion of the children who consumed fruits and vegetables at least once or more a day was low. There was a higher proportion of children in boys who had ramyun and milk with sufficient physical activity than those in girl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find risk factors on obesity and metabolic disorders, and the results can be used for an evidence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in a Teaching Hospital in Iran

  • Hajmanoochehri, Fatemeh;Mohammadi, Navid;Zohal, Mohammad Ali;Sodagar, Abolfazl;Ebtehaj, Mehd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495-2500
    • /
    • 2014
  • Background: Lung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ly diagnosed cancers and the most frequent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worldwide. In Iran, it ranks second and third as the cancer-causing death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lung cancer in a referral tertiary center in Ira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cases of primary lung cancer based on the results of registered cancer reports of cytological and pathological specimens between March 2001 and March 2012. Demographic variables, clinical manifestations, histology and location of tumor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data found in the medical records of each patient. Definite or probable etiologic factors were identifi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version 16 and a p-value ${\leq}0.05$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A total of 203 patients, with a mean age of 65.7 years (SD=11.2), with primary lung cancer were identified, 81.3% being men. Of the total, 110 cases (54.2%) were living in urban areas. In 53.2% of cases, the site of tumor was on the right side and in 72.9% of cases the lesion was centrally located. The histological types of lung cancer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SCC) in 107 cases (52.7%), adenocarcinoma (AC) in 30 cases (14.8%), and small cell carcinoma (SC) in 27 cases (13.3%).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ender and residence, smoking, and the histological type and location (central or peripheral) of tumor were found. The percentage of smokers was 75.2% in men and 15.8% in women. Conclusions: Smoking wa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and squamous cell carcinoma the most common histological type of lung cancer in our study. Male sex and being a smoker was associated with histological types of SCC while being nonsmoker had relationship with adenocarcinoma.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대사증후군 진단지표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y and Diagnostic Indices of Metabolic Syndrome)

  • 고경선;허경화;원용림;이성국;김기웅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3호
    • /
    • pp.285-2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MetS) 진단지표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carotid IMT)의 관련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동맥경화와 기타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남성 근로자 315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연구대상자의 동의를 받고 수행하였다. 인체계측과 혈청생화학 항목에 대한 검사는 체성분분석기기와 생화학자동분석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MetS의 진단은 NCEP-ATP III 기준에 의하여 판단하였다. Carotid IMT는 고해상도 B-mode 초음파기기를 이용하여 경동맥 분지점과 근위부의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Carotid IMT는 $0.739{\pm}0.137\;mm$이었고 연령증가와 더불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중성지방 및 공복혈당도 연령증가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Carotid IMT는 BMI(r = 0.170, p = 0.004), 수축기(r = 0.148, p = 0.011)와 이완기혈압(r = 0.123, p = 0.036) 및 HDL-cholesterol(r = -0.164, p = 0.005)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MetS 진단지표와 carotid IMT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carotid IMT는 혈압(교차비 = 4.220, p < 0.01)과 MetS(교차비 = 1.301, p < 0.05)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혈압과 대사증후군이 죽상동맥경화증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작용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판단된다.

  • PDF

급성 증후성 경련 환아에서 비유발성 경련의 위험인자들에 대한 연구 (Risk Factors of Unprovoked Seizures after Acute Symptomatic Seizures in Children)

  • 이은주;김원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097-1103
    • /
    • 2007
  • 목 적 : 급성 증후성 경련이란 일시적인 중추 신경계 또는 전신적인 병태생리의 변화와 밀접히 연관되어 발생하는 경련으로 이와 달리 특별한 유발 인자 없이 발생하는 경련은 비유발성 경련으로 분류한다. 급성 증후성 경련이 추후에 비유발성 경련으로 이행할 수 있다는 문헌은 다수 보고되고 있으나 증후성 경련에서 비유발성 경련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인자들에 대한 자료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증후성 경련으로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비유발성 경련과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이러한 관련 인자들과 비유발성 경련 이행 여부에 관해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 그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급성 증후성 경련으로 진단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최소 1년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비유발성 경련으로의 이행 여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이에 따른 관련 인자로써 호발 연령, 성별, 가족력, 경련의 유형, 발달 정도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인들을 분류하고 뇌파 검사 및 뇌영상 검사 등의 결과를 조사하여 비유발성 경련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급성 증후성 경련에서 비유발성 경련으로 이행하는 경우는 2-6세에 가장 호발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뇌증과 중추 신경계 감염이 많은 원인을 차지한다. 비유발성 경련으로 이행하는 경우의 관련 인자로는 간질 지속 상태를 동반한 경우와 부분 발작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이외에 뇌파 검사와 뇌 영상검사에서 이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도 비유발성 경련으로 이행하는 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 경련성 질환의 가족력, 발달 정도, 경련시의 각성 상태 등의 인자들과 비유발성 경련의 관계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갖지 못하였다. 결 론 : 급성 증후성 경련 환아들의 비유발성 경련 이행에 따른 관련 인자로는 경련의 지속 시간, 경련의 유형, 이상 뇌파 소견 및 이상 뇌 영상검사 소견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자들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급성 증후성 경련의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비유발성 경련에 대한 적절한 검사와 대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면대면 영양교육 후 1년간의 E-mail 영양교육이 직장인 남성의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감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1 Year E-mail Nutrition Education after Face-to-Face Encounter at Worksite: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 오혜선;장미;황명옥;조상운;백윤미;최태인;박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6호
    • /
    • pp.559-566
    • /
    • 2009
  • 본 연구에서 직장 남성 근로자 739명 (39세 이하 그룹: 240명, 40대 그룹: 276명, 50대 그룹: 223명)을 대상으로 e-mail 영양교육이 신체계측치, 체구성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검진 시 1회, 약 10분의 면대면 영양상담 후 15개 주제의 영양교육자료를 월 1회, 10회에 걸쳐 e-mail을 통해 제공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년간의 e-mail 영양교육 후, 전체 연구대상자의 체지방률 (p < 0.001), 복부지방률 (p < 0.001), 총 콜레스테롤(p < 0.01), 수축기 혈압 (p < 0.01), 이완기 혈압 (p < 0.05)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 연령 그룹별로 살펴보면, 체지방률과 수축기 혈압은 세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총 콜레스테롤은 39세 이하 그룹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1). 3) 영양교육 전, 39세 이하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5%, 40대 그룹은 27.2%, 50대 그룹은 36.3%의 분포를 보였다. E-mail 영양교육 후, 39세 이하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8.3%, 40대 그룹은 27.5%, 50대 그룹은 35.4%로 교육 전에 비해 영양교육 후 39세 이하 그룹에서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e-mail교육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에게 신체계측치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종합검진 후 1년의 자기관리를 위한 e-mail 영양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적용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e-mail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확대연구와 효과의 지속기간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연구를 통해 직장인의 건강증진 및 사내 복지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회사 지원 하에 질환에 따른 적절한 영양관리 프로그램으로 적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ffect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on Bone and Heart Development in Juvenile Rats

  • Kim, Joo-Heon;Lee, Young-Jeon;Lee, Sang-Un;Suzuki, Takao;Lee, Sang-Kil;Kang, Tae-Young;Hong, Yong-Geu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81-88
    • /
    • 2010
  • Our objectiv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bone and heart in association with diabetes mellitus (DM). DM was induced by administering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STZ; 60 mg/kg) to 4-week-old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and blood glucose were monitored, and rats were sacrificed after 2 or 5 weeks. The left ventricle (LV), including the interventricular septum, was weighed, and body weight and tibial bone length were assessed. Young diabetic rats showed reduced growth in terms of tibial length and body weight compared to controls. Moreover, diabetic males showed more significant growth suppression and reduced LV size than diabetic females. Morphometric analysis of tibiae from diabetic rats revealed suppressed bone growth at 2 and 5 weeks, with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STZ-induced diabetes decreased bone growth and retarded pre-pubertal heart development. As a result, diabetes may increas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lead to eventual heart failure. Therefore, new therapeutic approaches are required for diabetic children exhibiting growth retardation. Heart growth factor, exercise, and cardiopulmonary physical therapy may be required to promote heart development and physiological function.

Chloride and lactate as prognostic indicators of calf diarrhea from eighty-nine cases

  • Gencay Ekinci;Emre Tufekci;Youssouf Cisse;Ilknur Karaca Bekdik;Ali Cesur Onmaz;Oznur Aslan;Vehbi Gunes;Mehmet Citil;Ihsan Keles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38.1-38.16
    • /
    • 2024
  • Importance: Deaths due to neonatal calf diarrhea are still one of the most critical problems of cattle breeding worldwide. Determining the parameters that can predict diarrhea-related deaths in calves is especially important in terms of prognosis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the disease. Objectiv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ortality rates and durations, survival status, and predictive prognosis parameters based on vital signs, hematology, and blood gas analyses in neonatal diarrheic calves. Methods: The hospital automation system retrospectively obtained data from 89 neonatal diarrheic calves. Results: It was found that 42.7% (38/89) of the calves brought with the complaint of diarrhea died during hospitalization or after discharge. Short-term and long-term fatalities were a median of 9.25 hours and a median of 51.50 hours, respectively. When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is evaluated, body temperature (℃), pH, base excess (mmol/L), and sodium bicarbonate (mmol/L) parameters were found to be lower, and hemoglobin (g/dL), hematocrit (%), lactate (mmol/L), chloride (mmol/L), sodium (mmol/L) and anion gap (mmol/L) parameters were found to be higher in dead calves compared to survivors. Accordingly, hypothermia, metabolic acidosis, and dehydration findings were seen as clinical condi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actate (odds ratio, 1.429) and CI- (odds ratio, 1.232)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in calves with diarrhea. Conclusions and Releva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determination of lactate and Cl- levels can be used as an adjunctive supplementary test in distinguishing calves with diarrhea with a good prognosis.

복합 열성경련 환자의 소변 유기산 분석에서 나타난 유전대사질환 (Inherited metabolic diseases in the urine organic acid analysis of complex febrile seizure patients)

  • 정희정;김혜림;이성수;배은주;박원일;이홍진;최휘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199-204
    • /
    • 2009
  • 목 적 : 발열을 동반한 발작은 소아기에 흔한 문제이며, 단순 열성경련은 간질로 진행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예후가 매우 좋다. 그러나 복합 열성경련과 신경학적인 이상이 동반된 경우, 간질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및 1시간이내의 짧은 발열에 동반된 경우 등은 간질로 진행될 위험이 높고 선천성 대사 질환과 같은 기저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 열성경련의 환아의 유기산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대사 질환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1997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의 8년 동안 발작을 주소로 유기산 분석이 의뢰되었던 환아 중에서 복합 열성경련으로 진단되었으며 정맥혈 가스 분석, 암모니아, 간 기능 검사, 소변 검사 등의 통상적인 검사를 시행한 정보가 있었던 278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정보가 있었던 278명의 환자 중에서 기본 검사가 모두 정상인 경우는 132명이었고, 한 가지라도 비정상소견을 보였던 환자는 146명이었다. 가장 흔한 비정상소견은 산혈증으로 58명이었고, 고 암모니아혈증(55명), 저혈당(21명), 케톤산혈증(12명) 등의 순이었다. 통상적인 검사가 정상인 군에서 유기산분석이 비정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26명으로 19.7%였으며, 호흡연쇄효소의 이상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23명). 통상적인 검사가 비정상소견을 보였던 146명 중 유기산 분석에서 비정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104명으로 71.2%였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P<0.05). 원인질환으로는 사립체호흡연쇄효소의 이상이 29명, 케톤분해장애가 27명, 피루브산탈수소효소 결핍증과 제2형 글루타르산혈증이 각각 9명의 순이었으며, 제3형 3-메칠글루타콘산혈증 6명, 비오틴분해효소 결핍증 5명, 프로피온산혈증 4명 등이 뒤를 잇고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질환들이 1-2명씩 진단되었다. 결 론 : 복합 열성경련의 경우에는 정맥혈 가스 분석, 암모니아, 간 기능 검사, 소변 검사 등의 통상적인 검사를 반드시 시행하여야 하며, 비정상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반드시 소변 유기산 분석을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검사소견이 정상일지라도 상당수의 환자에서 호흡연쇄효소의 이상 환자들이 진단되고 있으므로 단순 열성경련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유기산 분석을 시행하여야 된다고 판단된다.

당원병 제1형의 장기 추적 관찰; 간선종 발생의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 (Long-term Outcome of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1;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Hepatic Adenoma)

  • 양혜란;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6권2호
    • /
    • pp.129-139
    • /
    • 2003
  • 목 적: 당원병 제1형은 어린 소아연령에서 발현하는 가장 심한 형태의 당원병이다. 장기간 관찰시 일부 환자에서 간선종이 발생하고 드물게 간암이 합병되어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당원병 제1형 환자들의 추적관찰을 통해 간선종과 간암 발생의 측면에서 당원병 제1형의 장기적인 예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82년 3월에서 2003년 2월까지 서울대병원 소아과에서 간 조직 검사 및 효소검사를 통해 당원병 제1형으로 진단된 43명의 환자(제1a형 40명, 제1b형 3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복부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 또는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간선종의 발생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간의 종괴가 확인된 경우 가능하면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간선종 및 간암을 확진하였다. 간선종 발생에 관여하는 위험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선종이 발생한 환자를 연령에 대해 짝짓기를 시행하여 선종군과 비선종군에서 여러 임상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1) 전체 43명 중 16명(37.2%)에서 간선종이 발생하였는데, 간선종이 처음 발견된 나이는 평균 $14.2{\pm}4.1$세(범위: 7.9~25.7세)였다. 처음 발견시 다발성 선종인 경우는 14례(87.5%)였다. 2) 간선종이 발생하였던 선종군(n=16)과 비선종군(n=16)을 비교하였을 때, 신장질환이 선종군에서는 7명(43.8%)에서 동반되고, 비선종군에서는 1명(6.3%)에서 병발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7; 교차비 11.667, 95% 신뢰구간=1.227~110.953). 저신장은 선종군 6명(37.5%)과 비선종군의 10명(62.5%)에서 관찰되어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7). 당원병 제1형 환자의 대부분에서 생옥수수 전분 치료를 시행하였는데, 생옥수수 전분 치료를 시작한 연령은 선종군이 $9.1{\pm}5.2$세인 반면, 비선종군은 $3.0{\pm}1.8$세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선종군의 치료 시작 연령이 늦었다(p=0.003). 문맥하공정맥 문합술 시행 당시의 연령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p=0.170), 선종군의 11명(68.8%)과 비선종군의 3명(18.8%)에서 단락수술을 시행 받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4; 교차비 9.533, 95% 신뢰구간=1.847~49.204). 고콜레스테롤혈증, 저혈당, 고요산혈증 등의 여부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33, p=0.273, p=0.550). 3) 25.7세에 간선종이 발견되었던 1명은 26.5세에 간암으로 진단되어 간동맥 항암 화학 색전술을 시행 받았다. 결 론: 간선종은 당원병 제1형 환자들을 장기간 추적관찰 하였을 때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서, 일부에서 악성화 될 가능성이 있어 중요성이 매우 크다. 당원병 제1형 환자들의 장기적 예후를 위해서는 생옥수수 전분 치료의 조기 도입과 규칙적인 추적관찰을 통한 간선종의 조기 발견이 필요하다.

  • PDF

Smoking Habits and Neuropeptides: Adiponecti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Leptin Levels

  • Kim, Ki-Woong;Won, Yong Lim;Ko, Kyung Sun;Roh, Ji W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91-97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the level of neuropeptides among current smokers, former smokers, and individuals who had never smoked, and how smoking habits affect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MetS). Neuropeptide levels,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metabolic syndrome diagnostic indices were determined among male workers; 117 of these had never smoked, whereas 58 and 198 were former and current smokers, respectively. The total sample comprised 373 male work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howed that current smokers attained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abdominal fat thickness values than former smokers and those who had never smoked. Current smokers' eating habits proved worse than those of non-smokers and individuals who had never smoked. The level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in the neuropeptides in the case of former smokers was $23.6{\pm}9.2pg/ml$, higher than that of current smokers ($20.4{\pm}6.1$) and individuals who had never smoked ($22.4{\pm}5.8$) (F = 6.520, p = 0.002). The level of adiponectin among former smokers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current smokers, whereas leptin levels were higher among former smokers than current smokers; thes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diponectin and triglyceride among non-smokers (odds ratio = 0.660, ${\beta}$ value=-0.416, p < 0.01) and smokers (odds ratio = 0.827, ${\beta}$ value=-0.190, p < 0.05). Further, waist circumference among non-smokers (odds ratio = 1.622, ${\beta}$ value=0.483, p < 0.001) and smokers (odds ratio = 1.895, ${\beta}$ value=0.639, p < 0.001) was associated with leptin. It was concluded that cigarette smoking leads to an imbalance of energy expenditure and appetite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neuropeptides such as adiponectin, BDNF, leptin, and hsCRP, and influences food intake, body weight, the body mass index, blood pressure, and abdominal fat, which are risk factors for MetS and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