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c diet

검색결과 658건 처리시간 0.022초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 (가구 월수입, 부모 교육수준)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체중 및 식습관, 식사 질과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Level, Overweight, and Eating Habits with Diet Quality in Korean Sixth Grade School Children)

  • 장한별;박주연;이혜자;강재헌;박경희;송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5호
    • /
    • pp.416-427
    • /
    • 2011
  •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초등학교 6학년 자녀의 과체중 위험도, 식습관, 식사 질과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 교육수준이 낮은 여학생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과체중의 위험도가 1.91배 높았다. 하지만 남학생의 경우에는 과체중 위험도와 사회경제수준 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2) 남녀 모두 수입 및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과일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이와 함께 가구 월수입 및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어패류의 섭취량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3) 1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여학생의 경우 가구 월수입 및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총 섭취량과 식물성 식품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이와 함께 탄수화물, 비타민 C, 칼륨, 식이 섬유의 섭취도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 여학생의 경우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높은 집단 보다 탄수화물을 통하여 섭취하는 에너지의 비율은 낮았던 반면, 지방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남학생의 경우 가구 월수입 및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5) 가구 월수입 및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EAR 미만으로 영양소를 섭취하는 대상자 비율이 높았다. 남학생은 월수입이 낮은 집단에서 나이아신, 철분 섭취가 EAR 보다 부족한 학생비율이 높았으며,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여학생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인의 섭취가 EAR 미만인 대상자가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이와 함께 부모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나이아신과 비타민 B6의 섭취량이 EAR 보다 부족한 비율이 높았다. 6) 여학생의 경우 가구 월수입에 따른 비교에서 가구 월수입이 낮은 집단에서 라면의 섭취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비교에서는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남녀 모두 아침 식사 결식 횟수가 높고, 라면의 섭취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여학생의 경우 가구 월수입 및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식품섭취 다양성과 균형성이 모두 비교 집단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남학생의 경우 가구 월수입 및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은 여학생의 식습관과 식사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은 자녀의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과 낮은 식사의 질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이는 영양소 섭취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어머니 교육수준은 여학생의 과체중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에 대한 건강한 식습관과 체중 관리를 위한 교육 및 영양 정책이 필요하다.

고지방 섭취한 쥐에서 페노파이브레이트 복용에 의한 간 UCP3 발현 기간과 대사변화 관계 (De novo Expression of Hepatic UCP3 Is Time-Dependently Related with Metabolic Function in Fenofibrate-Treated High Fat Diet Rats)

  • 박미경;강아영;서은희;조연수;강수정;홍숙희;김덕규;이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20
    • /
    • 2009
  • Uncoupling protein 3 (UCP3)는 골격근에서 주로 발현되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이다. 생체의 대사기능에 관여할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그 역할에 대하여 깊이 연구되어 있지 않다. 최근에 고지혈증 치료제인 페노파이브레이트를 처치한 쥐의 간에서는 UCP3가 새로이 발현 유도된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본 연구자들은 새로이 발현되는 UCP3가 비만쥐의 지방조직올 감소시키며,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이 발현되는 UCP3의 시간에 따른 발현 양상과 대사 기능의 연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8주령 흰쥐를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은 고지방 식이를 실시하고(HF군), 다른 군은 고지방 식이와 페노파이브레이트(HFF군)를 함께 복용토록 하였다. 10주 동안 식이와 약물을 처리하면서, 1, 3, 6주에 간조직올 분석하였으며, 매주 먹이량, 체중, 체온을 측정하였다. 페노파이브레이트에 의하여 간에서 새로이 발현되는 UCP3는 2주부터 시작하여 3, 6주에 아주 높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두 군 간의 먹이량의 차이는 없는 반면, 페노파이브레이트 처리군에서 6 주부터 시작하여 체중증가가 억제되며,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체온은 페노파이브레이트 처리군에서 6주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UCP3의 발현에 의한 간에서의 upcoupling 현상에 따른 발열현상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로 유추해 볼 때, UCP3 발현이 3-6주부터 많은 양이 생성되어 생체의 대사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시기와 연관되어 체중, 체온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고지방 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서 식이 기간에 따른 비만 관련 지표 변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Changes of Obesity-Relating Biomarkers in High Fat Fed-Induced C57BL/6 Mice)

  • 송미영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26
    • /
    • 2016
  • Objectives: The prevalence of obesity continues rise and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s a major problem in global health care. Animal models are used in the drug discovery of novel treatment for obesity. One of common models of obesity is a high fat diet induced obesity in a C5BL/6 mouse, and the development of obesity and glucose tolerance in mouse model is different according to period of diet.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obesity and glucose tolerance during a high fat diet (HFD). Methods: Male C57BL/6 mice, 5 weeks of age, were fed on a standard chow diet as a normal diet (18 kcal% fat) or a HFD (60 kcal% fat) for up to 16 weeks. The various factors related with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were measured at 8, 12, and 16 weeks. Results: The weights of body and epididymal fat were gradually increased for 8~16 weeks, however the change of hyperglycaemia and glucose tolerance have shown different with that of body weight. Blood glucose, oral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tolerance were increased more clearly at week 12 and 16 than week 8. Lipid accumulation of liver and body temperature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t week 16, compared with normal group. Conclusions: The developments of obesity and related factors were different by a HFD period in a C57BL/6 obese mi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obesity with glucose tolerance and liver lipid may induce clearly by a HFD for 16 weeks.

Lard와 Alcohol을 섭취시킨 흰쥐 혈청중의 효소활성에 인삼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Extract on Enzyme activities of Rats Fed Lard and Alcohol)

  • 변부형;김석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8-273
    • /
    • 1998
  • Lard 와 Alcohol을 섭취시킨 흰쥐 혈청중의 효소 활성에 인삼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흰쥐에 Lard 와 Alcohol 및 인삼추출물을 첨가한 식이를 10주간 급여하여 성장시킨 후 체중, 각종 장기 중량, 혈청중 AST, ALT, ALP, LDH의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ard 와 Alcohol 첨가 식이군에서는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감소하였으나, 인삼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식이효율은 증가하였다. lard의 첨가 식이로 성장시킨 실험군에서는 간장, 신장, 비장의 무게는 증가하였으나 다른 식이 군에서의 중량변화는 없었다. 혈청중 AST, ALT, LDH, ALP 활성은 lard , alcohol을 첨가한 식이군(II, III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보아 Lard 와 Alcohol의 만성적인 섭취는 실험동물의 간기능에 손상을 유발하여 혈청 중 AST, ALT, ALP, LDH활성이 증가하였으나 인삼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위와 같은 효소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인삼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고지혈증을 개선함으로써 간조직의 손상을 예방하여 줄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 PDF

Effects of poly-$\gamma$-glutamic acid on serum and brain concentrations of glutamate and GABA in diet-induced obese rats

  • Lee, Hye-Sung;Chang, Moon-Jeong;Kim, Sun-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1호
    • /
    • pp.23-29
    • /
    • 2010
  • Poly-gamma-glutamic acid ($\gamma$-PGA) is a mucilaginous and biodegradable compound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from fermented soybeans, and is found in the traditional Korean soy product, cheongkukja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mma$-PGA from a food source on the concentration of the neurotransmitter GABA and its metabolic precursor glutamate in diet-induced obese rats. Eight-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n=60) were used. The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obesity was induced by providing either a 10% control fat or 45% high fat diet for 5 weeks. The rats were then blocked into 6 groups and supplemented with a 0.1% $\gamma$-PGA diet for 4 weeks. After sacrifice, brain and serum GABA and glutamat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ometric detection. The rats fed the high fat diet had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s. $\gamma$-PGA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s of glutamate and GABA in the control fat diet groups while this effect was not found in the high fat groups. In the brain, glutamat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amma$-PGA supplemented groups both in rats fed the normal and high fat diets than in the no $\gamma$-PGA controls. GABA concentrations showed the same tenden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gamma$-PGA intake increased GABA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brain. However, the effects were not shown in obese rats.

황기(黃芪) 목통(木通) 복합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Medicinal Herbs on Altering Body Weight and Lipid Profiles in Rats Fed High-fat Diet)

  • 주진만;김미려;석장미;이영선;박종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62-672
    • /
    • 2009
  • Obesity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creased in recent days. It has resulted in obesity-associated diseases and metabolic syndromes including hyperlipidemia,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Our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ntiobese effects of mixed 2 medicinal herbs (AR+AC) in rats fed high-fat diet with an abundance of carbohydrates. Two groups of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different diets during 8 weeks: normal diet containing 5% corn oil (w/w), high-fat diet containing 10% (w/w) lard plus 5% (w/w) corn oil (HF). And High-fat diet group was treated with saline or 100 mg/kg ARAC or 300 mg/kg ARAC (PO). Antiobese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body weight, adipose tissues weight. Also we examined levels of leptin, adiponectin and lipid profiles in serum. Finally we compared morphological change in adipocytes and hepatocytes between HF and ARAC group. Mixed combination of 2 medicinal herbs, but not alone, caused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organ weight (liver, epididymal fat, and BAT) compared with control HF group. The ARAC group had markedly lower serum levels of adiponectin when compared with HF group. Also the epididymal white adipocyte size of ARAC group were diminished comparing to the HF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of ARAC combination, as an antiobese formula, by suppression of body weight gain and increased lipid profiles.

Effects of High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can in 7tro Fertilization and Ovulation in Mice Fed a High-Fat Diet

  • Choo, Young-Kug;Choi, Hee-Gon;Kim, Jin-Kyung;Kwak, Dong-Hoon;Cho, Jung-Ran;Kim, Ji-Yeoun;Kim, Byung-Jin;Jung, Kyu-Yong;Choi, Bong-Kyu;Shin, Min-Ky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78-183
    • /
    • 2002
  • A high molecular ar weight water-soluble chitosan (WSC) with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 kD and a deacethylation level of over 90% was produced using a simple multi-step-membrane separation process. It is known that WSC prevents obesity induced by a high-fat diet.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WSC improved the ovarian dysfunction caused by obesity in mice. The mice were fed a high density protein and lipid diet for weeks, followed by the administration of WSC at 480 mg/kg body weight per day for 4 days. Thereafter, the changes in body weight, ovulation rate, in vivo and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oryonic development were measured . WSC markedly reduced the body weight of obese mice fed with a high-fat diet, but not in mice fed with a normal diet. WSC had siginificant effects on the ovulation rate, both the in vivo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s and embryonic development. These results indicate an improvement in the ovarian and oviduct dysfunction caused by obesity, and suggest an adjustment in the internal secretions and metabolic functions.

인삼부산물 추출액의 ginsenosides 함량 및 고지방 식이에 있어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개선에 미치는 효과 (Ginsenoside Contents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a By-Product in Ginseng Radix)

  • 신언환;박성진;한종현;박성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59-46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leaf and stem extract(LSE) extracted from mixture of leaf and stem of ginseng radix (Panax Ginseng C.A. Meyer). We conducted analysis of the ginsenoside content by HPLC. Also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SE on the reduction of serum lipid and improvement of blood parameters in rats fed high fat diet 5 weeks. We examined by analyzing the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atherogenic index and hematological datas and serum metabolic variables. Sprague-Dawley rat weigh $150\;g\;{\pm}\;15\;g$, were ramdomly assigned to 4 groups, basal diet only(BDG), high fat diet weithout LSE(FDCG), high fat diet and 10% LSE(FD10G), high fat diet and 20% LSE(FD20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Hematological datas of 4 groups were same level, which were not significant. The activities of ALP, GOT and LDH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contentrations in serum and atherogenic index were remarkably reduced in LSE supplemented groups as compared high fat control groups. These result imply that LSE could be used as possible for decrease of serum lipid concentration.

Dietary carnosic acid suppresses hepatic steatosis formation via regulation of hepatic fatty acid metabolism in high-fat diet-fed mice

  • Park, Mi-Young;Mun, Seong Tae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4호
    • /
    • pp.294-301
    • /
    • 2013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hepatic anti-steatosis activity of carnosic acid (CA), a phenolic compound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eaves, as well as its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in a high-fat diet (HFD)-fed mice model. Mice were fed a HFD, or a HFD supplemented with 0.01% (w/w) CA or 0.02% (w/w) CA, for a period of 12 weeks, after which changes in body weight, blood lipid profiles, and fatty acid mechanism markers were evaluated. The 0.02% (w/w) CA diet resulted in a marked decline in steatosis grade, as well as in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index values, 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IGTT) results, body weight gain, liver weight, and blood lipid levels (P < 0.05). The expression level of hepatic lipogenic genes, such as sterol regulating element binding protein-1c (SREBP-1c), liver-fatty acid binding protein (L-FABP), stearoyl-CoA desaturase 1 (SCD1), and fatty acid synthase (FAS), was significantly lower in mice fed 0.01% (w/w) CA and 0.02% (w/w) CA diets than that in the HF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level of ${\beta}$-oxidation-related gene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PPAR-${\alpha}$),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CPT-1), and acyl-CoA oxidase (ACO), was higher in mice fed a 0.02% (w/w) CA diet, than that in the HFD group (P < 0.05). In addition, the hepatic content of palmitic acid (C16:0), palmitoleic acid (C16:1), and oleic acid (C18:1) was significantly lower in mice fed the 0.02% (w/w) CA diet than that in the HFD group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ly administered CA suppressed HFD-induced hepatic steatosis and fatty liver-related metabolic disorders through decrease of de novo lipogenesis and fatty acid elongation and increase of fatty acid ${\beta}$-oxidation in mice.

5주간의 고지방식이 섭취시 흰쥐의 에너지 대사 기질 이용과 식이지방에너지 평가에 관한 연구 (Effect of 5 Week Long High-Fat Diet on Energy Metabolic Substrate Utilization and Energy Content Evaluation of Dietary Fat)

  • 황혜정;김지수;서혜정;임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94-1099
    • /
    • 2012
  • 본 연구는 실험쥐 20마리를 사용하여 5주간의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후 CON군과 HF군으로 구분하여 식이조성에 따른 체중과 체구성 그리고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대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로 인한 체중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주간의 식이섭취량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섭취열량은 약 6% 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산소섭취량(에너지소비량)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산화탄소배출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지방식이군은 24시간 동안 유의하게 높은 지방산화량을 보였고 일반식이군은 탄수화물산화량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활동기에 두 군의 에너지 이용 기질에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군간 소비에너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섭취에너지에 비해 HF군의 복강 내 지방이 약 33% 이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이구성에 의하여 에너지이용기질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5주간 섭취한 열량과 소비된 에너지 비를 비교하였을 때 고지방식이군에서 복강내 지방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은 체내에서의 지방의 식이효율이 그동안 알려진 Atwater의 값(9 kcal/g)보다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는 탄수화물과 고지방식이섭취에서 체내에너지 저장량을 분석하였을 때 탄수화물의 열량은 4 kcal/g인데 비해 지방은 약 11.1 kcal/g으로 보고한 기존의 연구보고(21)를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 및 비만환자와 대사증후군 환자의 체중조절과 개선에 있어서 식이구성과 일일영양권장량의 재검토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전문운동선수들의 체급별 체중조절에 필요한 식단의 재구성 등 스포츠현장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과 단백질 등의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고, 에너지대사량과 조직의 중량만을 검토한 결과이므로 추후 체내에서의 지방산화와 관련된 호르몬 및 단백질 등의 측정과 전체 피하조직 및 근육 등에 저장된 지방의 분석을 포함한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