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E gen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6초

비뇨생식기계 검체로부터 분리된 Ureaplasma 종의 Fluoroquinolone 내성과 관련된 gyrA, gyrB, parC, parE 유전자의 돌연변이 양상 (Mutation Patterns of gyrA, gyrB, parC and parE Genes Related to Fluoroquinolone Resistance in Ureaplasma Species Isolated from Urogenital Specimens)

  • 조은정;황유연;구본경;박제섭;김영권;김성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4-81
    • /
    • 2016
  • Fluoroquinolone 계 항생제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이 약제에 대한 내성 Ureaplasma 종의 분리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Fluoroquinolone 계 항생제 내성은 주로 DNA gyrase와 topoisomerase IV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NA gyrase는 A와 B 2개의 소단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gyrA와 gyrB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고, Topoisomerase IV는 parC와 parE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다. 본 연구가 진행된 서울의 1개 3차 병원에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1년동안 Ureaplasma 종의 fluoroquinolone 계 항생제인 OFL과 CIP의 항생제검사 감수성 결과를 분석한 결과 내성과 중등도를 합산할 경우 66.08%, 92.69%로 매우 높은 내성 비율을 보였다. 이에 Ureaplasma 종을 OFL과 CIP에 대한 감수성을 기준으로 4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gyrA, gyrB, parC, parE 유전자의 돌연변이 여부를 검사하여 항생제 내성과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중 parC 유전자의 돌연변이 빈도가 높아 topoisomerase IV의 돌연변이가 fluoroquinolone 계 약제에 대한 내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GyrB의 Asn481Ser, ParC의 Phe149Leu, Asp150Met, Asp151Ile, Ser152Val, ParE의 Pro446Ser, Arg448Lys을 추가로 발견할 수 있었다. 최근 fluoroquinolone 계 항생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추후 Ureaplasma 종의 fluoroquinolone 계 항생제 내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관련한 유전자의 돌연변이 양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기존 배양검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분자 진단학적 검사법의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채 품질 평가 현황과 전망 (Prospect and Situation of Quality Improvement in Oilseed rape)

  • 장영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75-185
    • /
    • 2002
  • Rapeseed(Brassica napus L.) is an important oil crop as a vegetable oil, concentrated feed and industrial materials. The name "canola" was registered in 1979 by the Western Canadian Oilseed Crushers Association to describe "double-low" varieties. Double low indicates that the processed oil contains less than 2% erucic-acid and the meal less than 3mg/g of glucosinolates. Today annual worldwide production of rapeseed is approximately 35 million tons on 24 million hectares. China accounts for 33% of the world production and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for nearly 32%. Canola ranks 3rd in production among the world's oilseed crops following soybeans, sunflowers, peanuts and cottonseed. The recent advances in genomics and in gene function studies has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detailed genetic basis of many complex traits, such as flowering time, height, and disease resistance. The manipulation of seed oil content via transgene insertion has been one of the earliest successful applications of modern biotechnology in agriculture. For example, the first transgenic crop with a modified seed composition to be approved for unrestricted commercial cultivation in the US was a lauric oil, rape-seed, grown in 1995. There were also some significant early successes, mostly notably the achievement of 40% to 60% lauric acid content in rapeseed oil, which normally accumulates little or no lauric acid. The name "$\textrm{Laurical}^{TM}$" was registered in 1995 by Calgene Inc. Nevertheless, attempts to achieve high levels of other novel fatty acids in seed oils have met with much less success and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that the presence of novel fatty acids in transgenic plants can sometimes lead to the induction of catabolic pathways which break down the novel fatty acid, i.e. the plant recognizes the "strange" fatty acid and, far from tolerating it, may even actively eliminate it from the seed oil. It is likely that, in the future, transgenic oil crops and newly domesticated oil crops will both be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the increased amount and diversity of oils which will be required for both edible and industrial use. It is important that we recognize that both approaches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ints. It will be a combination of these two strategies that is most likely to supply the increasing demands for plant oils in the 21st century and beyond.ant oils in the 21st century and beyond.

제주재래돼지 집단서 집단특이적 mtDNA Haplotype과 유전적 다양성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pecific Mitochondrial DNA Haplotype Found in the Jeju Native Pig Population)

  • 한상현;조인철;이종언;이성수;강승률;최유림;오윤용;성필남;고서봉;오문유;고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17-924
    • /
    • 2004
  • 미토콘드리아 ND2 유전자와 세 가지 tRNA (tRNA-M앙, tRNA-Trp, tRNA-Ala)들이 포함}는 mtDNA 절펀의 PCR-RFLP haplotyping 기법으로 제주도에서 사육하는 한국 재래돼지를 포함하는 5개 품종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몇몇 돼지 품종에서 mtDNA 상의 제한절편 길이의 다형성이 관찰되었다. HaeIll-와 Hinf1RFLP에서는 두 가지 제한절편 유형, Tsp509IRFLP에서는 네 가지 유형으로 각각 구분되었다. 발견된 제한절편 유형들을 조협하여 mtDNA haplotype으로 구분했을 때, 모두 네 가지 haplotype들이 발견되었고 집단에 따라 각기 다른빈도를 나타내였다. 하나의 동일한 haplotype mtWB가 한반도 야생멧돼지와 Large White 집단에서 관찰되었다. Duroc과 Landrace 품종들은 여러 모계 선조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두 가지의 haplotype들을 가지고 있었다. 제주도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국재래돼지 집단에서는 muD와 mtJN haplonpe들이 관찰되었는데, 이 중 mtJN은 빈도가 높고 집단 특이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주 돼지 집단의 형성에 적어도 둘 이상의 모계 선조가 참여했으며, 이후 동아시아 언근 돼지 품종들과의 인위적인 교잡아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의 예상과는 달리 한반도 야생멧돼지가 제주 재래돼지 집단의 모계 선조라는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 MtDNA haplotype과 돼지 계통간의 관계 에서의 특이성은 돼지 육종에 있어 모계 확인과 계보 구성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