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sotrion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3초

Creeping bentgrass에 침입된 Kentucky bluegrass 회복을 위한 Mesotrione과 Kentucky bluegrass 덧파종 효과 (Mesotrione and Seeding Rate Effects to Recover Kentucky Bluegrass Contaminated by Creeping Bentgrass)

  • 이상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64-68
    • /
    • 2012
  • Creeping bentgrass 는 골프장의 티나 퍼팅그린 그리고 경기장과 같이 집중관리가 요구되는 곳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잔디의 종류중 하나이기도 하지만 Kentucky bluegrass에 침입하는 방제하기 어려운 잡초이기도 하다. Mesotrione은 선택성 제초제이며 처음에 옥수수를 위해 등록이 되었으며, 광엽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발아전 혹은 발아후 제초제로 이용이 되고 있다. Mesotrione가 creeping bentgrass를 방제하기 위한 효과는 많은 선행연구에 의해 보고가 되어 왔다. Mesotrione이 creeping bentgrass 방제에 효과가 있어도 방제가 된 후 피해가 발생한 곳의 회복은 Kentucky bluegrass의 지하부와 rhizome 등에 의해 회복되기 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덧파종은 일반적으로 피해를 입은 곳을 회복 시키거나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용이 된다. 실험의 목적은 mesotrione과 덧파종이 Kentucky bluegrass에 침입한 creeping bentgrass를 방제하고 회복하기 위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이 되었다. 0, 0.05 and 0.10 m $ml^{-2}$의 세가지 mesotrione농도와 15와 30 g $m^{-2}$ 두가지의 Kentucky bluegrass 덧파종량의 총 6가지 처리가 적용이 되었다. Mesotrione과 Kentucky bluegrass 덧파종을 동시에 처리 하는 것은 creeping bentgrass 방제에는 효과가 있으나 Kentucky bluegrass 회복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Creeping bentgrass방제 효과는 mesotrione의 처리에 의한 것이며 덧파종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Mesotrione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본 실험결과 $20^{\circ}C$ 이상일 때가 더 효과가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통일형 벼에서 메소트리온계 제초제 저항성 연관 DNA marker 탐색 (Identification of DNA Markers Related to Resistance to Herbicide Containing Mesotrione in Tongil Type Rice)

  • 이지윤;조준현;이종희;조수민;권영호;박동수;송유천;고종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87-395
    • /
    • 2018
  • 다산 등 15개의 통일형 벼 품종을 이용하여 mesotrione을 처리한 후 5일부터 다산 등 13개 품종들은 신엽에서 백화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밀양154호와 수원382호는 백화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저항성 품종으로 선발되었다. Mesotrione 처리 후 다산 등 13개 품종들의 초장 및 건물중 억제율은 밀양154호와 수원382호보다 더 높았으며 약량에 따른 억제율이 증가하였다. 한아름2호/밀양154호의 $F_2$ 집단을 이용한 유전분석 결과 저항성이 149개체, 감수성이 41개체로 이론적 분리비 3:1($X^2=1.19$, P=0.31)에 적합하여, mesotrione 저항성 관련 유전자는 1개의 우성유전자에 지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SA방법을 이용하여 mesotrione 저항성 관련 유전자를 탐색한 결과, 2번 염색체의 10.2 Mb에 위치한 SSR marker RM1358과 RM3501을 선발하였다. Fine mapping을 위해 선발된 5개의 저항성 개체 중에서 $F_2-137$은 RM12921부터 RM3501까지 재조환이 일어났고, $F_2-76$은 RM324부터 RM5101까지 재조환이 일어났다. 따라서, mesotrione 저항성 관련 유전자는 RM3501과 RM324 사이인 10.2 Mb~11.4 Mb에 존재하며, RM3501과 RM324의 조환률이 각각 0.53%과 2.65%이므로, RM3501을 mesotrione저항성 유전자 DNA 연관 marker로 선발하였다. 다산 등 20개 통일형 품종 및 mesotrione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자포니카 품종인 운광과 감수성인 통일형 한아름의 $BC_2F_2$ 집단을 이용하여 RM3501의 MAS 이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mesotrione 저항성 선발 marker로 활용은 가능하나, 정확한 선발 maker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골프코스에서 혼입된 이종잔디의 방제 (Control of Invaded Interspecies Turfgrass on Golf Course)

  • 최대홍;박남일;최성환;박기웅;김진우;곽연식;이증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2-229
    • /
    • 2012
  • 본 연구는 골프코스에 혼입되어 문제가 되는 이종잔디를 제초제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잔디에 혼입된 크리핑벤트그래스를 방제하기 위하여 asulam sodium 수용제와 trifloxysulfuron-sodium 입상수화제, 한국잔디에 혼입된 켄터키불루그래스를 방제하기 위하여 trifloxysulfuron-sodium 입상수화제, 켄터키불루그래스에 혼입된 크리핑벤트그래스를 방제하기 위하여 mesotrione 액상수화제를 각각 선발하였다. 크리핑벤트그래스에 대하여 asulam sodium 수용제와 trifloxysulfuron-sodium 입상수화제는 약제살포 70일 후 까지, mesotrione 액상수화제는 230일 후 까지, 켄터키불루그래스에 대하여 trifloxysulfuron-sodium 입상수화제는 110일 후 까지 90% 수준의 방제효과를 유지하였다. Asulam sodium 수용제와 trifloxysulfuron-sodium 입상수화제는 한국잔디에 대하여, mesotrione 액상수화제는 켄터키불루그래스에 대하여 각각 4배량의 처리에서도 약해가 미미하였다. 한국잔디에 혼입된 크리핑벤트그래스에 대하여 asulam sodium 수용제는 기준량 처리 40일 후에 80% 이상, trifloxysulfuron-sodium 입상수화제는 기준량 처리 30일 후에 85%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국잔디에 혼입된 켄터키불루그래스에 대하여 trifloxysulfuron-sodium 입상수화제는 기준량 처리 40일 후에 85%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켄터키불루그래스에 혼입된 크리핑벤트그래스에 대하여 mesotrione 액상수화제는 기준량 처리 30일 후에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Mesotrione 함유 제초제에 대한 벼 생태형간 약해반응 차이 (Differential Tolerance of Rice Cultivars to Mesotrione-Contained Herbicides)

  • 김상열;이지윤;여운상;오성환;박성태;이종희;정국현;조준현;송유천;강항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0-307
    • /
    • 2010
  • 최근에 등록된 mesotrione+pretilachlor(MP) 및 bensulfuron-methyl+mesotrione+pretilachlor+pyriftalid (BMPP)에 대한 벼 생태형간 약해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통일형(장립종) 및 일본형(단립종) 각 3 품종을 표준량과 2배량을 처리하여 온실에서 포트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초제 MP 및 BMPP에 대한 약해 반응은 벼 생태형에 따라 달랐는데 통일형 품종은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나 일본형 벼는 약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통일형 벼는 제초제 처리 후 5일부터 백화증상을 보였고 7일에 약해증상이 뚜렷하였으며 처리 후 14일에는 약해증상이 처리 후 7일 보다 약해지는 경향이었다. 약해정도는 처리농도가 증가할 수록 약해 발생이 심하였다. MP 및 BMPP에 대한 통일형 벼 품종의 초장 억제율은 90g a.i. $ha^{-1}$(표준량)에서 18~43%, 배량에서 30~50% 억제되었고 건물중은 초장보다 억제가 더 커 표준량에서는 46~73%, 배량에서는 65~82%가 억제되었고 억제정도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컸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본형 벼는 제초제 2배에서도 약해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초장 및 건물중이 약간 억제 되었다. 벼 생태형별 MP에 대한 50% 생육억제 농도를 조사한 결과, 통일형 벼는 37g a.i. $ha^{-1}$로 일본형 벼의 476g a.i. $ha^{-1}$보다 12.9배나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mesotrione을 함유하고 있는 MP 및 BMPP에 대한 벼 생태형간 반응에 차이가 있고, 초다수형 벼 재배시 초기 잡초 발아전 제초제로서 MP 및 BMPP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ffect of Herbicide Combinations on Bt-Maize Rhizobacterial Diversity

  • Valverde, Jose R.;Marin, Silvia;Mellado, Rafael 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1호
    • /
    • pp.1473-1483
    • /
    • 2014
  • Reports of herbicide resistance events are proliferating worldwide, leading to new cultivation strategies using combinations of pre-emergence and post-emergence herbicides. We analyzed the impact during a one-year cultivation cycle of several herbicide combinations on the rhizobacterial community of glyphosate-tolerant Bt-maize and compared them to those of the untreated or glyphosate-treated soils. Samples were analyzed using pyrosequencing of the V6 hypervariable region of the 16S rRNA gene. The sequences obtained were subjected to taxonomic, taxonomy-independent, and phylogeny-based diversity studies, followed by a statistical analysis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ing with jackknife statistical validation. The resilience of the microbial communities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ir relative composition at the end of the cultivation cycle. The bacterial communites from soil subjected to a combined treatment with mesotrione plus s-metolachlor followed by glyphosat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treated with glyphosate or the untreated ones. The use of acetochlor plus terbuthylazine followed by glyphosate, and the use of aclonifen plus isoxaflutole followed by mesotrione clearly affected the resilience of their corresponding bacterial communities. The treatment with pethoxamid followed by glyphosate resulted in an intermediate effect. The use of glyphosate alone seems to be the less aggressive one for bacterial communities. Should a combined treatment be needed, the combination of mesotrione and s-metolachlor shows the next best final resilience. Our results show the relevance of comparative rhizobacterial community studies when novel combined herbicide treatments are deemed necessary to control weed growth.

제초제 저항성 및 난방제 잡초 방제를 위한 제초제 선발 (Alternative Herbicides to Control Herbicide-Resistant and Troublesome Weeds in Paddy Fields)

  • 박태선;이인용;성기영;조현숙;김미향;양운호;서명철;강항원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48-253
    • /
    • 2013
  • 본 실험은 국내 논에서 우점하고 있는 주요 제초제 저항성 잡초들과 저항성잡초 가능성이 매우 높은 잡초들의 초종별 방제가능 제초제들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CCase 및 ALS 저해제들에 대한 저항성 강피 방제에는 이앙전 처리제인 oxadiazon, pyrazolate, pretilachlor, benzobicyclone+thiobencarb들은 강피 0.5엽기에서 효과적이었으며, benzobicyclon+fentrazamide+bensulfuron, benzobicyclon+mefenacet+bensulfuron와 benzobicyclone+cafenstrole+pyrazosulfuron-ethyl은 강피 2엽기까지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 국내 논에서 발생하고 있는 주요 SU계 제초제 8 초종들에 대한 대체약제들의 반응은 benzobicyclon과 mesotrione은 방동사니과 및 광엽잡초, bromobutide는 매자기를 제외한 방동사니과, carfentrazone과 pyrazolate는 광엽잡초들에 각각 효과적이었다. SU계 제초들에 대하여 저항성 가능성이 높은 다년생 벗풀에는 carfentrazone과 pyraclonil, 그리고 일년생 여뀌바늘에는 carfentrazone, pyraclonil과 mesotrione이 효과적이었다.

남부지역 무논직파 재배 논에서 잡초 방제 (Effective Weed Control in Direct Seeded Rice on Puddled Paddy Surface of Southern Region)

  • 박태선;박홍규;강신구;구본일;최민규;이경보;고재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7-69
    • /
    • 2012
  • 본 시험은 남부지역 무논직파재배 논에서 발생하고 있는 제초제 저항성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9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3년간 벼 무논직파 재배논의 무처리구에서 Simpson 우점도는 각각 0.319, 0.407, 0.537로 나타났다. 2009년도에 비하여 2011년도에는 올챙이고랭이 발생밀도가 감소하고 강피의 밀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Benzobicyclone, mesotrione 그리고 pyrimisulfan은 파종 후 5일과 12일에 SU계 저항성 물달개비와 올챙이고랭이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bromobutide는 파종 후 12일에 물달개비에 방제효과가 다소 떨어졌다. 그리고 carfentrazon과 pyrazolate는 올챙이고랭이 대하여 비효과적이었다. ACCase 및 ALS 저해제들에 대한 저항성 강피가 발생하지 않은 무논직파 재배 논에서 benzobicyclon+penoxsulam+pyrazosulfuronethyl정제, bromobutide+imazosulfuron+metamifop입제, 그리고 flucetosulfuron+ mesotrione+pretilachlor 입제들은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벼 무논직파 재배 논에서 발생하고 있는 강피는 cyhalofopbutyl와 penoxsulam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보였으며, mefenacet 그리고 fentrazamide에 의하여 2엽기까지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 제초제 저항성 강피, 물달개비 그리고 올챙이고랭이 등이 매우 높은 밀도로 발생하고 무논직파재배 논에서 mefenacet, fentrazamide, penoxsulam 그리고 metamifop들이 혼합된 제초제들은 벼에 대한 약해나 약효 때문에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파종 3일전 benzobicyclon+thiobencarb 32.5% 유현탁제 처리한 다음 파종 후 12일에 bensulfuron+mefenacet+thiobencarb 6.67% 입제를 사용할 경우 벼에 약해 없이 96%의 방제효과가 나타났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제초제 저항성 강피,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의 3엽기까지 소요일수는 짧게 나타났다.

HPPD 저해 제초제에 대한 벼 품종별 약해 반응 (Response of Phytotoxicity on Rice Varieties to HPPD-inhibiting Herbicides in Paddy Rice Fields)

  • 권오도;신서호;안규남;이인;민현경;박흥규;신해룡;정하일;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0-25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잡초종 방제에 효과적인 HPPD(4-hydroxy phenylpyruvate dioxygenase) 저해 제초제, mestrione, benzobicyclone 및 tefuryltrion에 대한 벼 품종 간의 약해정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26 벼 품종(통일형 8품종 그리고 일본형 18품종)은 육묘상자에서 25일 동안 생육시킨 후 이앙하였고, 이앙 후 5, 10, 그리고 15일에 각각의 제초제를 표준량 그리고 배량을 처리하였다. 비록 mestrione, benzobicyclone 및 tefuryltrion 제초제가 동일한 HPPD 저해 제초제들이지만 이들 제초제의 처리 시기나 약량에 따라 벼 품종별 약해정도와 증상은 서로 상이하였다. 시험약제 모두에서 통일형 품종이 일본형 품종보다 약해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Mesotrione은 약량이 증가할수록, benzobicyclon은 처리시기가 빠르고 약량이 증가할수록 약해가 심하였다. 반면에 tefuryltrion은 처리시기와 약량에 따라 품종간의 약해변이는 크지 않았다. Mesotrione과 benzobicyclon에 대한 통일형 품종인 한강찰벼 1호와 향미벼 1호, 초다수성 품종인 남천벼, 다산벼, 아름벼, 그리고 한아름벼 품종들의 약해는 처리시기 및 약량에 관계없이 백화, 잎과 줄기의 갈변, 잎 꺾임, 괴사를 동반한 5~8 정도의 약해 증상을 보인 반면에 tefuryltrion은 단지 1~3 정도의 황화 및 백화, 갈변 증상만을 보였다. 일본형 품종에 대한 약해는 제초제의 처리시 기와 약량에 따라 1~2 정도의 가벼운 약해 증상을 보였지만 제초제 종류에 따라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13개의 일본형 품종들은 benzobicyclone에 대해 민감하였으며, 일본형 4품종과 7품종들은 각각의 mestrione과 tefuryltrion에 대해 황화 및 백화를 동반한 증상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mestrione과 benzobicyclone, 그리고 tefuryltrion 성분이 함유된 혼합제는 처리시기 및 처리약량에 관계없이 벼 생태형 간에 심각한 약해 증상을 나타내므로 식용(기능성용 및 가공용 벼) 또는 사료용을 위한 벼 재배 포장에서의 사용을 지양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PPD 억제 제초제에 대한 벼 생태형간 약해 차이 및 수량 영향 (Differential Sensitivity of Rice Cultivars to HPPD-Inhibiting Herbicides and their Influences on Rice Yield)

  • 김상열;오성환;이지윤;여운상;이종희;조준현;송유천;오명규;한상익;서우덕;장기창;나지은;박성태;남민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60-165
    • /
    • 2012
  • HPPD 효소를 저해하여 카로티노이등 생합성을 억제하는 최근에 등록된 제초제 benzobicyclon 및 mesotrione+pretilachlor에 대한 통일형(장립종) 및 일반벼(단립종)간 약해 발생 차이 및 수량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초제 MP 및 bezobicyclon에 대한 약해 반응은 벼 생태형에 따라 달랐는데 통일형 벼인 한아름벼, 한아름2호, 다산벼는 대부분 약해인 백화증상이 나타났으나 일반형인 주남조생, 일미벼, 주남벼는 약해증상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제초제 별로는 MP가 benzobicyclon보다 초기에 약해발생이 심하였으나 후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통일형 벼는 제초제 처리 후 5일부터 백화증상을 보였고 10일에 약해증상이 뚜렷하였으며 처리 후 20일에는 약해증상이 처리 후 10일 보다 약해지는 경향이었다. 제초제 처리에 따른 카로티노이드 합성은 백화현상과 비슷하게 butachlor 대비 MP 처리가 benzobicyclon처리보다 초기에 더 억제가 되었으나 후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3. Benzobicyclon 및 MP 처리에 대한 약해로 통일형벼의 출수기가 butachlor 처리보다 3일가량 지연되었고, $m^2$당 수수가 11~50개가 적고 등숙비율이 0.9~7.5% 낮아져 쌀 수량은 benzobicyclon 처리가 7~10%, MP처리는 3~5% 감수하였다. 4. 하지만 일반형 품종은 benzobicyclon 및 MP를 처리해도 출수기, 벼 생육특성 및 쌀 수량은 butachlor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제초제 저항성 잡초 강피,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동시 우점한 논에서 효과적인 제초관리 (Effective Weed Control in Paddy Field Simultaneously Dominated by Herbicide-Resistant Weeds, Echinochloa oryzoicola, Monochoria vaginalis and Scirpus juncoides)

  • 박태선;조현숙;황재복;구본일;김학신;서명철;박홍규;이건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51-158
    • /
    • 2015
  • 본 실험은 ACCase 및 ALS 저해제들에 대한 저항성 강피와 sufonylurea (SU)계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가 동시에 우점한 논에서 이들 잡초들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인공기상실 실험에서 저항성 강피 0.5엽기까지는 이앙 전에 사용하는 oxadiazon 12% 유제, pyrazolate 36% 액상수화제, pretilachlor 14% 유제 그리고 thiobencar 50% 유제들이 완전하게 방제하였다. Fentrazamide 1% 입제와 mefenacet 18% 액상수화제는 저항성 강피 2엽기까지, 그리고 triafamone 0.98% 액상수화제는 4엽기까지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 SU계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 물달개비와 올채이고랭이는 HPPD 저해제들인 benzobicyclon, mesotrione 그리고 tefuryltrione 액상수화제들이 효과적이었다. 한편, 제초제 저항성 강피, 물달개비 그리고 올챙이고랭이가 동시적으로 우점한 논에서 이앙 전 처리제들 중에서 benzobicyclon + oxadiargyl 유제가 가장 효가 좋았다. 그리고 올챙이고랭이가 동시적으로 우점한 논에서 이앙 후 12일에 처리한 제초제들 중에서 matazosulfuron입제가 이앙 후 60일까지 가장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