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sial canal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The effect of ultrasonic file sizes on smear layer removal in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 Kang, Hye-Ju;Jung, Sera;Cho, Ara;Park, Mi-Gon;Jo, Hyoung-Hoon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5호
    • /
    • pp.276-283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K files as an ultrasonic instrument, and to determine most efficient file size for smear layer removal.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ix extracted human mandibular premolars with single, straight root canals and mature apices were mechanically prepar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Control) underwent conventional needle irrigation, Group 2 (CKS) underwent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with a #20 CK file, and Group 3 (CKL) underwent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with a #30 CK file. After preparation and irrigation, all teeth were dried and split with a chisel to obtain the mesial and distal half of their roots. Each sample was evaluat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rank sum tests (p<0.05). Results: The CKS group showed less debris in the apical third than the other groups (p<0.05). In this se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other group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ny groups for the middle third sec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UI with #20 CK file removed more smear layer compared to using #30 CK file at the apical third of the root canal.

  • PDF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regenerative endodontic treatment performed by endodontic postgraduate students: a retrospective study

  • Hadi Rajeh Alfahadi;Saad Al-Nazhan; Fawaz Hamad Alkazman;Nassr Al-Maflehi; Nada Al-Nazha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7권2호
    • /
    • pp.24.1-24.15
    • /
    • 2022
  • Objectives: Regenerative endodontic treatment is a clinical procedure aimed at biologically regenerating damaged root canal tissue of immature permanent teeth. This study aimed to report the outcomes of regenerative endodontic treatment performed by endodontic postgraduate student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of 27 patients, aged 10-22 years, who underwent regenerative treatment of immature permanent teeth from 2015 to 2019 were followed up, wherein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for each patient. Postoperative success rate and tooth survival were analyzed, and the postoperative radiographic root area changes were quantified. Results: A total of 23 patients attended the dental appointments, showing that all teeth survived and were asymptomatic. Specifically, 7 periapical pathosis cases were completely healed, 12 were incompletely healed, and 4 cases failed. Moreo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discolored and non-discolored teeth, and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iapical radiolucency. Additionally, 3 anterior teeth showed complete closure of the apical foramen, while the apical foramen width was reduced in 17 teeth and failed in 3 teeth. Root length was also found to have been increased in 7 anterior and 4 posterior teeth, and the average length ranged from 4.00-0.63 mm in the anterior teeth, 2.85-1.48 mm of the mesial root, and 2.73-2.16 mm of the molar teeth distal root. Furthermore, calcified tissue deposition was observed in 7 teeth. Conclusions: A favorable outcome of regenerative endodontic treatment of immature permanent teeth with necrotic pulp was achieved with a high survival rate.

외상성 골낭의 치험례 (TRAUMATIC BONE CYST : A CASE REPORT)

  • 오민형;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25
    • /
    • 2005
  • 외상성 골낭(Traumatic Bone Cyst)은 상피이장이 없는 비치성낭으로 감염의 증거가 없으며 많은 액체가 내장되는 특징을 가지는 병소이다. 외상성 골낭은 자각증상이 없는 병소로 10대에서 20대 사이에 호발하며 주로 남자에서 호발한다. 병소는 방사선학적으로 조개껍질 모양의 명확한 경계를 가지며 방사선 투과상을 보인다. 병소는 해면골에 위치하며 간혹 치밀골을 팽창시키거나 비박화시킨다. 병소 주변의 치아는 생활력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외상성 골낭은 방사선학적, 임상적인 기준으로 진단을 내리게 된다. 외상성 골낭의 치료법은 일반적으로 외과적인 적출술과 소파술을 시행한다. 본 두 증례 중 첫 번째 증례에서 환아는 개인치과의원에서 치수치료 도중 방사선 사진에서 방사선 투과상이 발견되어 본원으로 의뢰되었으며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촬영 결과 좌측 하악골에 명확한 경계를 보이는 방사선 투과상을 보였다. 두 번째 증례에서 환아는 치외치인 상악 우측 제2소구치의 농양을 동반한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였다가 초진시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우측 하악골에 명확한 경계의 방사선 투과상을 보였다. 두 증례 모두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결과 외상성 골낭으로 진단받았다. 첫 번째 증례에서는 생활력을 상실한 인접치아의 치근단공에 과기구 조작을 시행하여 병소를 교통시킨 후 지속적인 세척을 시도하여 병소가 치유되는 양상을 보였고, 두 번째 증례에서는 아무런 처치 없이 지속적인 관찰결과 병소의 크기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두 증례에서 외과적인 적출술과 소파술을 시행하지 않고 보존적인 처치를 하였음에도 병소가 치유양상을 보이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3개의 치근을 가진 하악 유구치 : 증례보고 (MANDIBULAR PRIMARY MOLARS WITH 3 ROOTS : CASE REPORT)

  • 송제선;최병재;최형준;이제호;손흥규;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7-174
    • /
    • 2008
  • 하악 유구치와 제1대구치는 보통 근심과 원심에 하나씩 2개의 치근을 가지나 원심설측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부가치근을 갖는 경우가 발견된다. 발생 빈도는 하악 제1대구치의 경우 백인에서는 3% 정도로 드물게 나타나지만 중국이나 일본, 에스키모, 북미 인디언 등 황인종에서는 20% 내외로 비교적 높다. 유구치의 경우는 제1대구치보다는 적게 발생되고 제1유구치보다는 제2유구치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하악 유구치에 부가치근이 관찰되면 후방에 있는 유구치와 제1대구치에서도 부가치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부가 치근을 가지는 하악 제1유구치의 치관의 형태는 원심설측에 존재하는 부가치근의 영향으로 삼각형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증례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5명의 환아에게서 발생된 하악 유구치와 제1대구치의 부가 치근에 관한 보고로서 부가치근을 가진 유구치는 치근의 수와 치관의 형태 등에 문제가 있으므로 치수치료나 기성금관 수복, 발치 시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