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ha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4초

Scopolamine 처리에 의한 인지 및 기억력 손상 마우스에서 박하의 효과 (Mentha arvensis Attenuates Cognitive and Memory Impairment in Scopolamine-treated Mice)

  • 이지혜;김혜정;장귀영;서경혜;김미려;최윤희;정지욱
    • 생약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0-77
    • /
    • 2020
  • Mentha arvensis is used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various disorders. In the present study, M. arvensis were extracted by the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method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GC-MS).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and mechanisms of a M. arvensis extract on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and memory impairment. Mice were orally pretreated with a M. arvensis extract or normal saline, and then behavior tests were conducted 30 min after scopolamine injection. The antioxidant capacities were analyzed by free radical scavenging (DPPH and ABTS).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were also measured using Ellman's method ex vivo test. In behavior tests, percent of spontaneous alteration, escape latency and swimming time in target quadrant were improv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M. arvensis extract, which suggests that the M. arvensis extract improves memory function in the scopolamine-treated mice model. In addition, M. arvensis extract showed inhibition of the free radical and AChE activit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M. arvensis extract ameliorates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and memory deficits through the inhibition of free radicals and AChE activity. Therefore, M. arvensis may be a promising neuroprotective agent for management of learning and memory improvements in human dementia patients.

박하 속 식물의 뗏장형성에 미치는 삽목방법과 토심의 영향 (Effects of Cutting Methods and Soil Depth on Sod Formation of Mentha spp.)

  • 이충일;남상용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0-195
    • /
    • 2006
  • 허브 식물을 조경소재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삽목방법, 토심 및 품종에 따라 뗏장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1cm, 3cm, 5cm의 토심별로 천삽, 와삽, 절와삽을 한 다음 애플민트,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등 세품종을 재료로초장과 마디수, 생체중, 뗏장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세 품종 중 애플민트는 신초의 수는 적으나 엽장, 엽폭이 크기 때문에 피복률이 좋고 생장속도도 빨라서 빠른 시기에 뗏장(sod)형성이 가능하였다. 스피어민트는 초장이 작고 발육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뗏장의 이동성, 저장성면에서 양호하였다. 삽목 방법은 천삽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나 뗏장 품질은 가장 낮았으며 절와삽은 초장이 작고 신초수가 많아 고품질의 뗏장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토심별로 본 생육의 차이는 5cm의 상토에서 재배한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뗏장의 품질과 이동성은 1cm의 상토에서 밀착되어 있어 근권부의 뗏장형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하의 재배조건 및 수확시기에 따른 정유성분의 변화 (Changes of Essential Oils from Mentha piperita L. Influenced by Various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ing Time)

  • 신경은;박홍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12-519
    • /
    • 1994
  • 박하를 대상으로 재배조건 및 수확시기에 빠른 방향 성분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박하의 생육은 비닐보온시험구에서 초기에 왕성한 생육을 보였지만, 수확기가 가까와 짐에 따라 다른 시험구와 유사하게 성장하였으며, 강유량과 일조시간에 따라 줄기와 잎의 성장속도에서 매우 많은 차이를 보였다. 수확시기에 따른 조성분의 변화는 l-menthone의 l-menthol로의 환원과정이 일조시간의 차이에 따라 그 진행속도가 빨라졌으며, 수확말기에 가서는 특히 menthofuran의 함량이 급속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정유 조성분의 비율이 가장 양호한 시험구는 7월 5일과 7월 7일 수확분으로서, 이 시기가 수확 적기임을 알 수 있었고 정유의 우율도 이 시기에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 PDF

박하의 in vitro 항산화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Mentha viridis L. and Mentha piperita L.)

  • 이승은;한희선;장인복;김금숙;신유수;손영득;박충범;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55-260
    • /
    • 2005
  •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목적으로 2종의 박하(M. viridis (spicata), M. piperita)를 대상으로 수행된 몇 가지 in vitro 항산화계에서의 활성, 총페놀 함량 및 수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uperoxide 라디칼에 대한 박하의 소거능은 M. viridis가 M. piperita 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물 추출물은 대조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우수하였다. 2.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은 메탄올 추출물 및 물 추출물 모두에서 M. viridis가 M. piperita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M. viridis의 메탄올 추출물은 롤${\alpha}-tocopherol$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3. 사람의 저밀도지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박하의 저해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M. viridis가 M.piperita 보다 우수하였으며 M. viridis의 모든 추출물 ${(65.88%{\sim}77.59%,\;37.69%{\sim}87.21%)}$${{\alpha}-tocopherol\;(28.37%{\sim}66.54%)}$보다 월등하게 우수하였다. 4. Linoleic acid의 산화에 대한 저해효과는 M. viridis가 M. piperita보다 높았으며 ${\alpha}-tocopherol$의 활성에 근접하는 수준이었다. 5. 총페놀 함량은 M. viridis (17.95% & 10.18%)가 M. piperita (15.44% & 9.19%)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6. 추출물의 수율은 메탄을 추출물 및 물 추출물 모두에서 M. piperita (14.1% & 14.6%)가 M. viridis (13.3% & 13.5%)보다 높게 나타나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 함량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할 때, 실험된 박하 중에서 M. viridis가 M. piperita보다 우수한 산업화 후보 자원이라고 사료된다.

옥상녹화지에서 허브식물의 관수처리에 따른 생육특성 (Effect of Irrig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Herb Plants on a Green Rooftop Area)

  • 김동엽;박희령;하유미;류경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6-105
    • /
    • 2018
  • 허브식물을 이용한 옥상녹화시 관수를 실시한 처리구에서 좋은 생육특성을 보인 허브식물은 애플민트, 레몬밤, 스피아민트, 파인애플세이지, 초코민트, 옥스아이데이지, 캐모마일 및 타임이었다. 반면, 무관수 처리구에서 좋은 생육특성을 보인 허브식물은 페퍼민트, 장미허브 및 피버퓨였다. 관수에 따른 생장에 차이가 없는 허브식물은 라벤다, 로즈마리, 탠지, 레몬버베나, 헬리오트로프, 소프워트 및 레이디스맨틀이었다. 관수 및 무관수 처리가 허브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최대 광합성 효율을 조사한 결과, 관수처리 시 생장이 증가하고 최대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식물로는 초코민트, 스피아민트, 레몬밤, 애플민트 등으로 나타났다. 무관수시 생장이 증가하고 최대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식물로는 페퍼민트와 탠지였으며, 장미허브는 무관수시 생장은 증가한 반면 최대 광합성효율은 감소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관수 및 무관수 처리에 따른 생장 차이가 없으나, 최대 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는 로즈마리와 소프워트였으며, 레몬버베나, 피버퓨, 헬리오트로프 등은 관수 및 무관수에 따른 생장 차이가 없고, 최대 광합성 효율 역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코민트와 페퍼민트는 중부지방에서 월동 가능함과 동시에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상록으로 유지되어 옥상녹화에 적합한 식물이라고 생각되었다. 반면, 장미허브, 파인애플세이지, 애플민트는 추위에 약하고 월동이 안 되어서 옥상녹화에 부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스피어민트와 레몬밤은 엽색의 변화와 동해 피해로 인해 관상가치는 떨어졌으나, 월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옥상녹화에 어느 정도 적용 가능한 식물로 판단되었다. 중부지방에서 활용 가능한 저관리형 옥상녹화용 허브식물로는 무관수시 생장이 증가하고 월동이 가능한 페퍼민트와 탠지가 저관리형 옥상녹화용 식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몬버베나, 소프위트 및 레이디스맨틀도 중부지방에서 옥상녹화용 허브식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질형세포와 피지선세포 공배양을 통한 지루성 피부염 억제 소재 연구 (The Study about Relief Effect of Essential Oil on Seborrheic Dermatitis with Co-culture System)

  • 김아름;김수나;이현기;전병배;박원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1-319
    • /
    • 2012
  • 보통 지루성 피부염은 과다 생성된 피지와 함께 피지를 영양분으로 상재하는 M. globosa 이스트에 의해서 얼굴, 몸 및 두피에 자주 발생하는 피부질환이다. 본 연구는 천연정유성분(Natural essential oils)으로부터 지루성 피부염과 관련된 항염증 활성과 M. globosa 이스트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지루성 피부염 진정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지루성 피부염 환경을 모사한 공배양 세포 평가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평가모델을 통해서 육계(Cinnamomum zeylanicum, Cinnamon bark)의 껍질 및 박하(Mentha arvensis, Cornmint)의 잎에서 추출한 천연정유 성분이 다양한 지루성 피부염 자극원에 따른 Interleukin-$1{\alpha}$ (IL-$1{\alpha}$),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사이토카인의 발현량 증가와 피지생성 증가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루성 피부염 유발균으로 알려진 M. globosa 이스트에 대한 증식 저해 평가를 통해 두 정유성분에서 유의한 M. globosa 증식 억제 능(MIC ${\leq}0.0625%$)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육계껍질 및 박하 잎 정유성분이 지루성 피부염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감소시켰다. 특히 육계 껍질 오일은 지루성 피부염 주요 원인인 Malassezia furfur 및 M. globosa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지루성 두피 염증의 예방과 효과적인 관리 제품의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음을 알 수 있다.

Enhancing Production of Terpenoids in Metabolically Engineered Transgenic Spearmint (Mentha spicata L.) by Salt and Fungal Elicitors

  • Choi, Myung Suk;Park, Dong Jin;Song, Hyun Jin;Min, Ji Yun;Kang, Seung Mi;Lee, Chong Kyu;Cho, Kye Man;Karigar, Chandrakant;Kim, Ho Kyoung;Kang, Young Mi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43-252
    • /
    • 2014
  • Forest tree species usually takes for long periods to be harvested and cultivated but spearmints are a good model system for woody plant because of reducing and shortening cultivation time. Spearmints are good model plants (Mentha species) for research about terpenoids production and industrial essential oil manufacture. Isopentenyl pyrophosphate isomerase (Iso) and limonene synthase (Limo) are the key enzymes of terpenoid biosynthesis pathway. Transgenic and wild spearmints (Mentha spicata, MS) were cultured in vitro and assessed for the essential oil contents. The content of essential oil of transgenic spearmint also was enhanced slightly depending on the target terpenoid genes. In an attempt to increase productivity of terpenoids further, salt and fungal elicitation strategy was adopted on transgenic Mentha spicata. The salt (800 mM NaCl) as abiotic and two fungi (Botrytis cinerea and Glomerella cingulata) as biotic were used for elicitors. In the absence of salt stress four terpenoids were detected from the spearmint extracts, all of them being monoterpenes. On the other hand, the transgenic (MSIso) extracts contained eleven terpenoids (10 monoterpenes and 1 phenylpropene) while transgenic (MSLimo) extracts contained seven monoterpenes. After 3 days of fungal infection, the resistance indices further increased to 4.38, 3.89 and 2.04 for wild type, MSIso and MSLimo, respectively. The salt and fungal elicitators proved beneficial towards modifying both the terpenoids profile and improvement in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applications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essential oils and forest biotechnology with respect to spearmint.

추출방법에 따른 애플민트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s of Applemint (Mentha rotundifolia(L.) Hud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민용규;윤향식;김지연;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65-1470
    • /
    • 1999
  • 충북청원에서 재배되고 있는 애플민트(Mentha rotundifolia(L) Huds)의 향기성분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SDE, SFE, headspace 추출하여 GC, GC/MS로 동정하였으며 GC-sniffing test로 향기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67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SDE 추출물에서는 39개, SFE추출물에서는 42개, headspace 추출물에서는 16개가 동정되었다. 동정된 화합물 중 SDE와 headspace추출물은 terpene화합물이, SFE추출물은 hydrocarbone류가 여러종류로 나타났다. 그러나 SDE와 SFE추출물의 주성분은 piperitenone oxide, germacrene-D, trans sabinene hydrate등으로 유사하였으나 headspace추출물은 3-octanol, 1,8-cineol, camphene, benzeneacetadehyde등으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Sniffing test로 향기특성과 강도 및 화합물을 동정한 결과 SDE추출물을 구성하는 주된 향기특성으로는 상큼한 단내와 사과냄새(ethyl 2-methyl butanoate), 단내와 과일내$({\alpha}-thujene)$, 생버섯내(1-octen-3-ol, 3-octanol) 그리고 쓴 약초향$({\delta}-cadidene)$이었다. Headspace 추출물의 주된 향기특성으로는 알코올내, 상큼한 단내와 사과냄새(ethyl 2-methyl butanoate), 화학적이고 불쾌한내 그리고 쓴약초와 풀내(camphene)로 나타났다.

  • PDF

Antimicrobial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Essential Oils

  • Arldogan, Buket-Cicioglu;Baydar, Hasan;Kaya, Selcuk;Demirci, Mustafa;Ozbasar, Demir;Mumcu, Ethem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860-864
    • /
    • 2002
  •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Origanum onites, Mentha piperita, Juniperus exalsa, Chrysanthemum indicum, Lavandula hybrida, Rosa damascena, Echinophora tenuifolia, Foeniculum vulgare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se eight aromatic extracts; their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disk diffusion testing, according to the NCCLS criteria. Escherichia coli (ATTC 25922),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and Pseudomonas aeruginosa (ATTC 27853 were used as standard test bacterial strains. Origanum onites record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test bacteria, and was stronges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For Rosa damascena, Mentha piperita and Lavandula hybrida antimicrobial activity was recorded only to Staphylococcus aureus. Juniperus exalsa, and Chrysanthemum indicum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oth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We also examined the in vitro ar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components of the essential oils and found some components with antimicrobial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