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gasporogenesi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식물육종에 있어서 비환원 ( 2n ) 배우자의 중요성 (Significance of Unreduced ( 2n ) Gametes in Plant Breeding)

  • Rim, Yong-W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1997
  • Unreduced (2n) gametes are meiotic products (pollen or egg) having a sporophytic (somatic) chromosome number, resulting from abnormalities during either microsporogenesis or megasporogenesis. They occur naturally at a low frequency in many plant species. Unreduced (2n) gametes in plants can be identified for four possible ways as follow i) pollen size and/or shape differences between haploid (n) and diploid (2n) pollen, ii) ploidy analysis (chromosome number) of progeny or meiotic analysis (presence of dyads andlor triads at the microspore stage), iii) progeny performance and fertility and iv) dosage of isozyme and DNA markers. Unreduced (2n) gametes can be an effective breeding tool in synthesizing new cultivars, providing a unique method to maximizing heterozygosity, i.e., transferring a large proportion of the non-additive genetic effects (intra- and inter- locus interactions) h m parent to offspring and can also be used to overcome infertility of interploidy crosses. Sexual polyploidization through 2n gametes has been a major route to the formation of naturally occurring polyploids. The three mechanisms of 2n pollen formation in potato have been discovered as follow: i) parallel spindles (ps) or tripolar spindles (ts), ii) premature cytokinesis (pc-I, pc-2) and iii) synaptic mutants (sy-2, sy-3, sy-4). 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echanisms of 2n gamete formation were controlled by single recessive gene in potato, alfalfa, red clover, etc., and by two recessive genes in wheat. The use of 2n gametes which can efficiently transfer germplasm fiom wild relatives to cultivated species, especially fiom diploid to tetraploid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germplasm base in breeding programs.

  • PDF

현호색속(현호색과) 6종의 자성배우자체 발달과정 (Development of Female Gametophyte of Six Species of Corydalis (Fumariaceae))

  • 오병운;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67-480
    • /
    • 2002
  • 현호색속 6종의 대배우자체 발달과정이 공초점현미경(LSCM)과 광학현미경으로 비교, 관찰되었다; 흰현호색, 왜현호색, 섬현호색, Corydalis nobilis, C. solida, C. ophiocarpa. 포원세포는 돌출된 주심조직의 단층 표피 밑에 존재하는 측벽세포의 최외곽층 세포들에서 하나가 기원하였으며, 직접 대포자모세포로서 작용하였다. 대포자모세포는 대포자발생과정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2회 분열한 후 선상의 4분체가 되었으며, 이들 중 주공쪽의 3개는 퇴화하고 합점쪽의 1개만이 기능성 대포자로 발달하였다. 자성배우자체의 발달 유형은 단포자성, 마디풀형(Polygonum type)이었다. 개화 전 자성배우자체는 성숙하였고, 따라서 성숙된 배낭은 3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난장치, 거대한 핵이 있는 3개의 대형 반족세포 및 2차핵이 존재하는 1개의 중앙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족세포 흡기는 반족세포의 정단에서부터 각각 발달되었으며, 주공쪽으로 신장되어 난장치와 접촉하였다. 2개의 조세포는 보통 퇴화된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이때 반족세포 흡기의 정단은 퇴화된 조세포와 연결되었다. 7-세포성 자성배우자체의 발달과정상 특징은 조사된 모든 종에서 공통적이었으나, 배낭의 형태는 흰현호색, 섬현호색, C. solida 및 C. ophiocarpa에서는 난형이었으며, 왜현호색에서는 반곡형인 반면 C. nobilis에서는 다소 납작한 난형이었다. 또한 대포자낭의 유형은 모든 종에서 도생배주였으나 왜현호색에서는 만곡배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