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ga-regional developmen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5+2광역경제권의 지역경제력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Regional Economic Power of the Korean 5+2 Mega-regional Economic Zones)

  • 박숙진;김태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18-328
    • /
    • 2010
  • 본 광역권별 경제력 비교분석은 정부의 지역경제정책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콜드스타트(cold start)된 5+2광역경제권의 상이한 경제여건과 펀더멘털을 고찰하고 설정된 비교지표를 중심으로 전국 7대 광역권의 지역경제력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글로벌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자립적 광역경제권을 육성한다는 정부의 지역경제정책의 타당성과 향후 광역경제권의 정책방향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제력지수 비교결과, 수도권의 경제력지수가 절대 우위에 있는 반면 강원권, 호남권, 제주권은 상대적 열위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의 특성과 경제적 펀더멘털이 다르기 때문에 향후 지역발전 및 광역경제권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는 이를 고려한 세심한 배려와 발전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부는 지역경제여건을 감안한 광역경제권사업의 지역안배와 조정을 통하여 지역사업의 중복성 문제를 원천 차단함으로써 재정의 효율성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수요분석에 기초한 demand-based policy와 demand-pull policy, 지역낙후성을 감안하여 예산균등할(豫算均等割)정책보다는 비균등할 지원책을 탄력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독일의 광역경제권으로서 '메트로폴리탄지역' 육성정책 (Development Policy of 'Metropolregionen' as Mega Economic Regions in Germany)

  • 안영진;조영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57-575
    • /
    • 2009
  • 최근 들어 독일에서는 새로운 국토 및 지역발전정책에서 중요한 수단의 하나로 광역경제권 또는 광역발전권으로서 '대도시지역'의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이 글은 독일의 이러한 광역경제권 체제의 구축 배경과 육성전략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우리나라의 최근 지역발전정책을 구상함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광역경제권의 구축과 개발 전략을 모색하는 데 적잖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메가 시티 서울의 기술상용화 네트워크 도시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Seoul-focused Network City for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 정성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47-53
    • /
    • 2015
  • 이 논문의 목적은 메가 시티 서울의 기술상용화 네트워크 도시 형성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국가적 차원에서 볼 때,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하고 있지만, 지역적 차원에서 살펴보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심각한 지역불균등 발전을 경험하고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지역불균등 발전의 해결 방안으로 서울을 중심으로 기술상용화 네트워크 도시 형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상용화 네트워크 도시는 남북도시협력 축(통일 R&BD 지향-복합기술 R&BD 축), 메가 시티 확장 축(녹색 수출 R&BD 지향-녹색 수출 R&BD 확장 축), 중소도시 연계 축(평창 올림픽 R&BD 지향-생명기술 R&BD축), 메갈로 폴리스 축(R&D-R&BD 연계 협력 지향-기초기술 R&BD 축) 등 4가지 축으로 이루어진다.

지역 간 상호연계에 기반 한 농촌과 도시 간 생활권의 차이 - 부산.울산 광역도시권을 중심으로 - (Disparity between Rural and Urban Living Area Based on Regional Interaction - Focused on Busan-Ulsan mega city -)

  • 김현종;강동우;조덕호;이성우
    • 농촌계획
    • /
    • 제16권4호
    • /
    • pp.61-75
    • /
    • 2010
  • Daily living area can be delim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area is to be focused. Based on regional interaction,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living areas focusing on rural area and ones relying on urban area. We established two types of living areas in Busan-Ulsan mega city with different focus areas (rural versus urban), using travel OD data (2006).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onn of spatial clusters in urban living area differed from that of spatial clusters in rural area; the boundaries of living area were not fit to those of administrative areas in both types; and living areas in both types tended to extend over more than two administrative areas. The results cast some implications concerning spatial planning and policy for living area delimitation. First, since the spatial structure and interconnection of urban area differs to those of rural area, it is required to delimit living areas discriminatively depending on the objectives of the spatial plan. Additionally, the living area should be established more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by further subdividing the form of spaces depending on the objectives and types of the plan. Second, the administrative areas should be consolidated now that the difference of boundaries of administrative and living areas lead to inconvenience of residents, increased administration costs and scale diseconomy. Lastly, the living areas should be delimited by the metropolitan or mega city planning and thus be reflected to its offsprings.

미국의 광역경제권과 생활권 -한국의 광역경제권 및 농촌지역 생활권 구축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of the US Metropolitan Economic Zone on the Association of Rural Living Area and Metropolitan Economic Zone in Korea)

  • 이성우;김현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7권4호
    • /
    • pp.799-825
    • /
    • 201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metropolitan economic zone in Korea followed by in-depth case studies on the US Metropolitan Economic Region. This study looked into diverse experiences of the US mega regions investigating their key strategies, requirements and standards, etc. Urban areas in the US are designated based on CBSA, a standard for statistical area since 1950. The US has a clear standard to define rural and suburban area and is trying to reflect urban structural changes including suburbanization. The US annexation system is relatively simple to operate. Furthermore, the system helps the growth of rural areas by gradually incorporating rural areas into urban areas. We found that action plans of the US mega regions facilitate strategic growth and development for balanced territorial development, incorporating multi-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We also found that the US mega regions are designated with regard to the local natures. Couple of policy implications were extracted from the US experiences. First, since the construction of mega regions in Korea concerns less on the inter-regional connections with other regions, we need to incorporate diverse standards to divide the regions with respect to the spatial and local characteristics. Second, local governments shoul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for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of the metropolitan economic zones. Administrative districts renovation can be a immediate and effective solution to facilitate the collaboration. We recommended to consider consolidating administrative areas to construct successful metropolitan economic zones.

신지역정책의 작동요인에 관한 연구 (What Makes Korea's New Regional Policy Workable?)

  • 조명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86-505
    • /
    • 2011
  • 한국의 경제발전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또한 많은 이론화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에 견주어 한국발전의 공간적 차원에 대해선 그렇지 못해 왔다. 사실, 한국의 지역(산업)정책은 한국의 발전레짐을 공간적으로 업그레이드시키는 데 주효한 역할을 했다. 이 논문은 한국의 지역산업정책을 산업경제를 바탕으로 했던 구지역정책과 신지식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신지역정책으로 구분하되, 특히 후자의 성공적 작동 요인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경제의 선진화와 더불어 직면하게 되는 새로운 지역정책의 도전을 살펴보면서 지역정책의 향후 보완과제도 함께 검토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of Smart Pole for Smart City Construction

  • Kim, Tae Yeun;Bae, Sang Hy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8
    • /
    • 2019
  • Smart pole is one of mega trend in smart city development. It has multi-function to get as much as data from the street to better city management. And smart street lighting of smart pole as core part of smart city development is being implemented by many cities in globally. Refer to the latest edition of Navigant Research's Smart City Tracker includes smart city projects in 221 cities, a quarter of which are deploying smart street lighting ranging from initial pilots to citywide and regional deployments that span tens and even hundreds of thousands of light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smart street lighting solution is "Connectivity" through the IoT technology. In order to implement the smart city, we should have so-called intelligent watchdog and mesh networked post for keeping the various smart city technology development progress and operation properly. Smart street lighting solution could be main infrastructure as an enabler for a range of smart city applications. We can talk about the expected role of smart street lighting for the smart city development on this paper.

PROJECT MANAGEMENT STRATEGY FOR SUSTAINABLE INTEGRATION OF STADIUMS

  • Sven Schmedes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269-272
    • /
    • 2011
  • The impact of a new stadium on the urban context and regional development is significant. Especially where several new stadiums are built for single mega events like the Olympic Games, Commonwealth Games or the Soccer World Cup the impact is even higher.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key drivers for sustainable integration of stadiums within the existing context. The level of sustainability is analyzed based on four different categories: urban,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s. Particular focus is on the project management strategy for implementation of the key drivers during pre-design, design and execution. In conclusion key elements of the project management strategy for sustainable integration of a stadium within the urban,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context are summarized.

  • PDF

미래도시 전망 분석 (An Analysis on the Expert Opinions of Future City Scenarios)

  • 조성수;백효진;한정훈;이상호
    • 지역연구
    • /
    • 제35권3호
    • /
    • pp.59-7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도시의 모습을 시나리오로 만들고, 델파이 분석을 통해 미래도시 변화의 시기와 실현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미래도시 시나리오는 빅데이터 분석과 환경스캐닝 기법, 문헌연구를 통해 도시구조, 토지 이용, 교통 및 인프라, 도시개발로 도출되었다. 델파이는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호주, 일본, 중국, 인도 등 6개국 24명의 전문가를 통해 진행되었다. 델파이 구조는 시나리오의 실현 가능성을 리커트 5점 척도로 전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실현 시기를 근미래(10년 이하), 중미래(10~20년), 먼미래(20년 이상)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구조는 단기적으로 수위 및 광역 대도시(Global and Mega-City)를 중심으로 집중되며, 중장기적으로 지방 중소도시는 쇠퇴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둘째, 토지 이용은 근미래에 수직적, 수평적으로 혼합될 것이며, 공유 공간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셋째, 교통 및 인프라는 ICT 기반의 통합 플랫폼을 통한 도시관리가 진행되며, 스마트 기술을 통해 공공 및 개인(민간) 교통이 활성화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시개발은 교통 결절지(TOD) 중심의 개발이 활성화될 것이며,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 중점을 둘 것으로 전망되었다.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정책화 과정과 동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and Processes of Regional Policy on the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Suncheon Bay Korea 2013)

  • 이정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849-864
    • /
    • 2014
  • 이 논문은 2013년 순천시에서 열린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구상이 지역정책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에 대한 특징과 영향요인을 고찰하였다. 정원박람회 개최구상의 정책화 과정은 제1단계(1992-2002)인 순천만 보전운동 태동기, 제2단계(2003-2007)인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조성기, 제3단계(2008-2010), 정원박람회 개최구상 정책화 및 박람회 유치기, 제4단계(2011-2013)인 박람회장 조성 및 박람회 개최기 등으로 구분되었다. 정원박람회 정책화 과정에는 많은 사회 정치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지만, 순천만 존재와 순천만 보전을 위한 시민운동, 광양만권에서 중심도시를 유지 강화하려는 순천시 도시발전전략, 도시정책 연속성을 유지한 지자체장과 지역사회의 리더십, 인접한 여수시와의 연대와 경쟁의식 등이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메가 이벤트 개최를 통해 순천시는 도시이미지 개선, 순천만정원이라는 공공재 확보, 환경을 중시하는 도시정책을 추진한 지역사회의 리더십 구축 등에서 일정한 성과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