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n survival time

검색결과 641건 처리시간 0.032초

Outcomes for Pituitary Adenoma Patients Treated with Linac-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and Radiotherapy: a Long Term Experience in Thailand

  • Puataweepong, Putipun;Dhanachai, Mantana;Hansasuta, Ake;Dangprasert, Somjai;Sitathanee, Chomporn;Swangsilpa, Thiti;Vitoonpanich, Patamintita;Yongvithisatid, Pornp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279-5284
    • /
    • 2015
  • Background: The study analyzed the long term clinical outcomes of pituitary adenoma cases treated with the first Thailand installation of a dedicated Linac-based stereotactic radiation machine (X-Knif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115 consecutive pituitary adenoma patients treated with X-Knife at the Faculty of Medicine, Ramathibodi Hospital, Bangkok, Thailand from 1997 to 2003 was performed.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was selected for 21 patients (18%) including those with small tumors (${\leq}3cm$) located ${\geq}5mm$. from the optic apparatus, whereas the remaining 94 patients (82%) were treated with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FSRT). Results: With a median follow-up time of 62 months (range, 21-179), the six-year progression free survival was 95% (93% for SRS and 95% for FSRT). The overall hormone normalization at 3 and 5 years was 20% and 30%, respectively, with average time required for normalization of approximately 16 months for SRS and 20 months for FSRT. The incidence of new hypopituitarism was 10% in the SRS group and 9% in the FSRT group. Four patients (5%) developed optic neuropathy (1 in the SRS group and 3 in the FSRT group). Conclusions: Linac-based SRS and FSRT achieved similar high local control rates with few complications in pituitary adenoma cases. However, further well designed, randomized comparative studies between SRS versus FSRT particularly focusing on hormone normalization rates are required.

Prognostic Role of Circulating Tumor Cells in the Pulmonary Vein, Peripheral Blood, and Bone Marrow in 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 Lee, Jeong Moon;Jung, Woohyun;Yum, Sungwon;Lee, Jeong Hoon;Cho, Suk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3호
    • /
    • pp.214-224
    • /
    • 2022
  • Background: Studies of the prognostic role of circulating tumor cells (CTCs) in early-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re still limi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gnostic power of CTCs from the pulmonary vein (PV), peripheral blood (PB), and bone marrow (BM) for postoperative recurrence in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for NSCLC. Methods: Forty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for NSCLC were enrolled. Before resection, 10-mL samples were obtained of PB from the radial artery, blood from the PV of the lobe containing the tumor, and BM aspirates from the rib. A microfabricated filter was used for CTC enrichment,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as used to identify CTCs. Results: The pathologic stage was stage I in 8 patients (20%), II in 15 (38%), III in 14 (35%), and IV in 3 (8%). The median number of PB-, PV-, and BM-CTCs was 4, 4, and 5, respectively. A time-dependen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showed that PB-CTCs had excellent predictive value for recurrence-free survival (RFS), with the highest area under the curve at each time point (first, second, and third quartiles of RFS). In a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PB-CTCs wer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hazard ratio, 10.580; 95% confidence interval, 1.637-68.388; p<0.013). Conclusion: The presence of ≥4 PB-CTCs was an independent poor prognostic factor for RFS, and PV-CTCs and PB-CTCs had a positive linear correlation in patients with recurrence.

Laser-cut-type versus braided-type covered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s for distal biliary obstruction caused by pancreatic carcinoma: a retrospective comparative cohort study

  • Koh Kitagawa;Akira Mitoro;Takahiro Ozutsumi;Masanori Furukawa;Yukihisa Fujinaga;Kenichiro Seki;Norihisa Nishimura;Yasuhiko Sawada;Kosuke Kaji;Hideto Kawaratani;Hiroaki Takaya;Kei Moriya;Tadashi Namisaki;Takemi Akahane;Hitoshi Yoshiji
    • Clinical Endoscopy
    • /
    • 제55권3호
    • /
    • pp.434-442
    • /
    • 2022
  • Background/Aims: Covered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s (CMSs) are widely used for malignant distal biliary obstructions (MDBOs) caused by pancreatic carcinoma. This study compar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laser-cut-type and braided-type CMSs. Methods: To palliate MDBOs caused by pancreatic carcinoma, the laser-cut-type CMSs was used from April 2014 to March 2017, and the braided-type CMSs was used from April 2017 to March 2019. The tested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s were equipped with different anti-migration systems. Results: In total, 47 patients received CMSs for MDBOs (24 laser-cut type, 23 braided-type). The time to recurrent biliary obstruction (TRBO)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braided-type CMSs (p=0.0008), and the median time to stent dysfunction or patient death was 141 and 265 days in the laser-cut-type CMSs and braided-type CMSs, respectively (p=0.0023). Stent migration was the major cause of stent dysfunction in both groups, which occurred in 37.5% of the laser-cut-type CMSs and 13.0% of the braided-type CMS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urvival duration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TRBO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braided-type CMSs with an anti-migration system than for the laser-cut-type. Stent migration tended to be less frequent with the braided-type CMSs than with the laser-cut-type CMSs.

저분화 성상세포종-수술후 방사선치료가 필수적인가 ? (Low Grade Astrocytoma-Ne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or Not?)

  • 홍성언;최두호;김태성;임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171-180
    • /
    • 1992
  • 저분화 성상세포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역할이나 적정 방사선량, 치료시기등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후향적 분석결과로 얻은 정보는 방사선량이나 외과적 또는 방사선 치료에 의한 시술시기 등의 관점에서 전향적인 연구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 저자들은 1979년부터 1989년까지 경희대학병원에서 수술로 확진된 저분화 성상세포종 환자중 천막하부를 제외한 총 56(남 : 여 =29:27)명에 대한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절제범위는 38명 ($68\%$)에서 근치수술하였고, 18예 ($32\%$)는 부분절제 또는 조직생검만 시행하였다. 총 56예중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36명 ($64\%$)이었고, 방사선량은 최저 5000 cGy를 국소조사하였다. 총 56예의 5년 및 10년 생존율은 각각 $44\%$$32\%$였으며, 중간 생존기간은 4.1년이었다. 조직소견에 따른 5년 및 10년 생존율은 grade I(23명)이 각각 $52\%$$35\%$이고, grade II(23명)는 $20\%$$10\%$였다. Oligodendroglioma 환자는 성상세포종보다 생존율이 높았으며(5년 생존율=$65\%$ vs $36\%$)장기간 생존율은 각각 $54\%$$23\%$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다량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54 Gy)환자는 소량의 방사선 (<54 Gy)이나 수술만 받은 환자보다 5-년 및 10-년 생존율이 높았다(P<0.05). 수술범위에 따른 5년 생존율은 $46\%$$41\%$로 비슷하였으나, 10년 생존율은 근치수술한 경우가 $41\%$, 부분절제 또는 조직생검한 경우는 $12\%$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01). 과거 여러 저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환자나이, 수술범위, 방사선치료유무, 악성도, 증상 발현기간, 수행능력 상태등이 성상세포종의 중요 예후인자라고보고하였으나, 본 저자들의 예에서는 grade I조직소견 (p<0.025)과 환자나이 (p<0.001)가 가장 중요한 예후일자였으며 향후 무작위화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이성 폐암에 대한 폐절제술의 성적 (Clinical Outcome of Pulmonary Metastasectomy in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is)

  • 이영옥;이응배;류경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0호
    • /
    • pp.674-679
    • /
    • 2007
  • 배경: 완전절제가 가능한 고형암의 폐전이에 대한 절제술은 이미 표준화된 치료방법이며, 1997년 International Resistry of Lung Metastases (IRLM)에서 대규모의 연구를 통해 전이성 폐암에 대한 병기설정 및 예후인자에 관하여 제시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전이성 폐암에 대한 수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치료방법의 개선에 따른 생존율 역시 좋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지난 10년간 전이성 폐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치료결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전이성 폐암 환자 89명에 대해서 96예의 폐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이들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생존율 및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병리학적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나이는 $45.9{\pm}17.4$세($10{\sim}75$세)였으며, 남성이 51명, 여성이 38명이었다. 이 중 암종의 폐전이가 55예, 육종인 경우가 30예, 기타 4예였다. 암종 중에서는 대장암이 35예(64%), 육종 중에서는 골육종이 22예(73%)로 가장 많았다. 원발암 치료 후부터 폐절제술까지의 종양자유기간은 평균 $29.6{\pm}27.9$개월($0{\sim}180$개월)이었으며, 원발암과 동시에 발견된 경우는 3예(3.4%)였다. 전체 환자들의 3, 5, 10년 생존율은 각각 52.5%, 32.1%, 20.7%였고 중앙 생존기간은 38개월이었다. 재수술은 15예(16.8%)에서 시행하였다. IRLM 제시에 따른 병기별 5년 생존율은 1기 63.5%, 2기 33.3%, 3기 22.1%, 4기 0%였다. 36개월 미만의 종양자유기간, 양측 폐전이, 5개 이상의 전이병소를 가진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았다(p<0.05). 결론: 완전절제가 가능한 전이성 폐암에 대한 폐절제술은 만족할만한 생존율을 보였으며, 특히 양측의 다발성 전이가 있는 경우 예후가 불량함을 보였다. 하지만 각 종양별로의 치료성적 및 예후에 관한 보다 많은 경험과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

Risk Factors for Early Recurrence of HBV-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Meeting Milan Criteria after Curative Resection

  • Zhu, Wen-Jiang;Huang, Chu-Ying;Li, Chuan;Peng, Wei;Wen, Tian-Fu;Yan, Lv-Nan;Li, Bo;Wang, Wen-Tao;Xu, Ming-Qing;Yang, Jia-Yin;Jiang, 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101-7106
    • /
    • 2013
  • Background: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fter curative resection varies greatly. Few studies had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for early recurrence (recurrence-free time ${\leq}$ 1 year) of hepatitis B virus (HBV)-related HCCs meeting Milan criteria.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224 patients with HCC meeting Milan criteria who underwent curative liver resection in our center between February 2007 and March 2012. The overall survival (OS) rate, recurrence-free survival (RFS) rate and risk factors for early recurrence were analyzed. Results: After a median follow-up of 33.3 months, HCC reoccurred in 105 of 224 patients and 32 died during the period. The 1-, 3- and 5-year OS rates were 97.3%, 81.6% and 75.6% respectively, and the 1-, 3- and 5-year RFS rates were 73.2%, 53.7% and 41.6%. Cox regression showed alpha-fetoprotein (AFP) > 800 ng/ml (HR 2.538, 95% CI 1.464-4.401, P=0.001), multiple tumors (HR 2.286, 95% CI 1.123-4.246, P=0.009) and microvascular invasion (HR 2.518, 95% CI 1.475-4.298, P=0.001) to be associated with early recurrence (recurrence-free time ${\leq}$ 1-year) of HCC meeting Milan criteria. Conclusions: AFP > 800 ng/ml, multiple tumors and microvascular invasion are independent risk factors affecting early postoperative recurrence of HCC. In addition resection appears capable of replacing liver transplantation in some situations with safety and a better outcome.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Induction Regimens for Nasopharyngeal Cancer

  • Kertmen, Neyran;Aksoy, Sercan;Cengiz, Mustafa;Yazici, Gozde;Keskin, Ozge;Babacan, Taner;Sarici, Furkan;Akin, Serkan;Altundag, Kadri;Gullu, H. Ibrahi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호
    • /
    • pp.59-63
    • /
    • 2015
  • Background: The standard treatment of local advanced nasopharyngeal cancer is chemoradiotherapy. There is a lack of data concerning induction therapy.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examined patients treated with induction therapy and chemo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ncer patients treated between 1996 and 2013 in our clinic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ree different induction regimens were administered to our patients in different time periods. The regimen dosages were: CF regimen, cisplatin $50mg/m^2$ 1-2 days, fluorouracil $500mg/m^2$ 1-5 days; DC, docetaxel $75mg/m^2$ 1 day, cisplatin $75mg/m^2$ 1 day; and DCF, docetaxel $75mg/m^2$ 1 day, cisplatin $75mg/m^2$ 1 day, 5-Fu $750mg/m^2$ 1-5 days. Most of the patients were stage III (36.4%) and stage IV (51.7%). Results: Median follow-up time was 50 months (2-201 months). Three-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was 79.3%, and 5-year PFS 72.4% in all patients. Three-year overall survival (OS) was 87.4% and 5-year OS 76% in all patients. In terms of induction therapies, 3-year OS was 96.5% in the DCF group, 86.6% in the DC group and 76.3% in the CF group (p=0.03).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 rate and PFS between the three regimens. OS in the DCF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However, this study was retrospective and limited toxicity data were available; the findings therefore need to be interpreted with care.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인자로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의 의의 (Prognostic Valu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고혁재;박정현;심혁;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6호
    • /
    • pp.676-685
    • /
    • 2001
  • 연구배경 : 종양 내 혈관신생은 고형성 종양의 성장이나 전이에 매우 중요한 인자로 종양의 부피가 $1-2mm^3$ 이상이 되면 종양세포나 침윤된 대식세포 혹은 비만세포에서 여러 혈관형성인자를 생성하여 종양 내 미세혈관을 증식시키는데, 이 중 VEGF는 미세혈관에서 혈장단백의 투과를 증가시키고 혈관내피세포를 증식시킨다. VEGF는 여러 고형암에서 발현되며, 위암 및 유방암에서 VEGF 발현은 생존율 및 원격전이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며 독립적인 예후인자 및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보고하였다. 최근에 폐암에서 VEGF와 예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보고들이 있어 저지들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비소세포폐암에서 VEGF 발현정도와 생존기간과의 관계를 검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원발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은 후 근치 목적의 절제술을 받았던 환자 69명을 대상으로 paraffin에 보관된 조직을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VEGF 항원의 발현을 약 발현군과 강 발현군으로 나누어 확인 한 후 두 군간의 생존율을 Kaplan-Meier법, Log-rank로서 검색하였다. 결 과 : 대상군은 69례로 남:녀는 54:15였고, 평균연령은 63세였으며,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암 47례, 선암 17례, 대세포암 5례였고, TNM병기는 I이 37례, II가 17례, IIIA은 15례였으며, VEGF 약발현군은 41례, 강 발현군은 28례로 VEGF 발현정도와 병리조직형, TNM병기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VEGF 약발현군과 강발현군의 중간 생존기간은 24개월, 19개월이며, 2년생존률은 52%, 48%, 3년 생존률은 35%, 33%로서 VEGF 약발현군이 강발현군보다 생존기간이 양호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 못하였다. 결 론 : 비소세포폐함에 있어서 비록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지만, VEGF 강발현군은 생존기간이 약발현군의 생존기간보다 불량한 경향이었다.

  • PDF

자궁경부암 환자의 근치적 방사선치료성적 (Treatment Results of Radical Radiotherapy in Uterine Cervix Cancer)

  • 허승재;김보경;임도훈;신성수;이정은;강민규;안용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37-245
    • /
    • 2002
  • 목적 :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목적으로 외부조사와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이용하여 치료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9월부터 1998년 7월까지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1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환자의 연령분포는 $22\~89$세(중앙값, 61세)이었다. 98명의 환자에서 편평상피암이었다. 환자의 FIGO 병기는 CIS 4명, IA 4명, IB 17명, IIA 15명, IIB 33명, IIIA 2명, IIIB 27명, IVA가 4명이었다. ECOG 활동도는 88명에서 1이하였다. 11명의 환자에서 전보조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상피내암인 4명을 제외한 102명에서 30.6-50.4 Gy를 외부 조사하였으며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모든 환자에서 A점 기준으로 24 Gy/6회 시행하였다. 치료 예후 인자는 연령($\leq60$세 vs >60세), 병리조직학적 소견(편평상피암 vs 기타 병리), FIGO 병기(IIA 이하 vs IIB vs IIIA 이상), ECOG 활동도(ECOG 0, 1 vs 2), 항암화학요법의 시행여부, 그리고 방사선치료 후 반응정도(완전관해 vs 부분관해), 방사선치료기간($\leq55$일 vs >55일)에 따라 비교하였다.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6\~66$개월(중앙값, 28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82\%,\;73\%$이었으며, 무병생존율은 각각 $72\%,\;69\%$이었다. FIGO 병기별 생존율은 병기 IB, IIA, IIB, 그리고 III에서 3년 생존율이 각각 $100\%,\;83\%,\;87\%,\;62\%$이었고 5년 생존율은 IB $100\%$, IIA $69\%$, IIB $80\%$, III에서는 $62\%$이었다. 단변량분석에 따른 예후인자를 살펴보면 전체생존율에서는 FIGO 병기와 방사선치료의 반응이 무병생존율과 골반부 조절율에는 나이와 병기, 방사선치료의 반응, 방사선치료기간이 의미 있는 인자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 부작용으로 직장 출혈은 모두 14명$(13\%)$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결론 : 자궁경부암 환자의 고선량율 강내치료와 외부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치료기간의 단축이 중요한 예후 결정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 예후 인자와 전체 치료기간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f Rectal Cancers - with the Emphasis of the Overall Treatment Time -)

  • 김주영;이명학;이규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303-310
    • /
    • 1998
  • 목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직장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 전통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근치적 수술 및 보조 방사선 및 항암치료의 성적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7월 부터 1993년 12월 까지 항문상방 15 cm 이내에 존재하는 직장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수술을 받은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eV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여 주5회씩 5040 cGy 까지 조사되였고 수술후 21일에서 94일 사이에 시작되었고 5-FU와 ACNU chemotherapy가 4주 간격으로 시행되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58.8$\%$및 57$\%$였다. 대상환자들의 2년 국소제어율은 76.6$\%$였다. 생존기간 및 무병생존기간의 중앙값은 각각 30개월 및 27개월이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분석시 무병생존율에 의미있게 예후인자로 작용했던 요인은 국소림프절로의 전이여부, 4개 이상의 임파선 전이, 6주이상의 수술과 방사선치료 시작 사이의 간격 및 7일 이상 지속되는 방사선치료 도중의 휴식기간 등이었다. 결론 : 국소적으로 진행된 직장암의 경우 근치적 수술 및 방사선치료 및 5-FU/ACNU를 기본으로 한 항암제를 시행하였을 때 B3 이상의 병기에서는 아직도 생존율이 저조하며 bowel wall penetration이 있거나 국소 림프절전이가 있을 때는 국소제어율도 환자의 절반 정도에서 밖에 얻을 수 없을 뿐만이 아니라 림프절전이가 없는 경우라도 원격전이율이 치료실패의 많은 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좀더 효과적인 항암치료제의 선택과 투여 방법이 방사선치료와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수술 후 보조적인 방사선치료를 시행함에 있어서 방사선치료가 시작되는 기간이 지연될 때, 또 방사선치료가 7일 이상 중단될 때 치료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직장선암의 경우 수술과 방사선치료시작까지의 기간이 필요이상으로 연장되거나 치료중 휴식기간이 생겨 전체치료기간이 길어지지 않게 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