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dian effective dose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5초

살충제분해에 관여하는 동양종(東洋種)꿀벌의 효소활성(酵素活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nzyme Activities of a Honeybee(Apis cerana F.)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Some Insecticides.)

  • 서용택;심재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4
    • /
    • 1989
  • 동양종(東洋種)꿀벌 (Apis cerana F.)에 대(對)한 살충제(殺蟲劑)의 독성(毒性) 및 해독능력(解毒能力)을 조사(調査)하고 농약한계 사용량 결정에 기여하기 위하여 7가지 대표적인 살충제의 꿀벌에 대한 독성 및 해독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효소 활성은 해독효소로 알려진 microsomal oxidases, glutathione S-transferasecs, esterase와 DDT-dehydrochlorinase를 조사했고 성충(成蟲)일벌의 중장(中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LC_{50}$치의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 살충제중 DDT가 19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낮았고 EPN이 0.75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강(强)했다. 2. 준치사농도(準致死濃度)의 농약(農藥)이 성충(成蟲)일벌의 microsomal oxidase에 미치는 영향은 malathion 및 demeton S-methyl 처리가 aldrin epoxidase활성을 저해시켰고 N-demethylase활성은 carbayl 처리구에서 증대(增大)되었다. 3. Glutathione S-transferase(DCNB conjugation)활성은 diazinon과 malathion처리구에서 증대되었다. 4. Esterase는 malathion 및 permethrin처리구에서 ${\alpha}-NA$ esterase 활성(活性)의 저해(沮害)를 보였고 carboxylesterase와 AchE 활성은 거의 영향이 없었다. 5. DDT-dehydrochlorinase 활성은 carbaryl, malathion과 demeton S-methyl 처리구에서 저해를 보였다.

  • PDF

Intravenous caffeine citrate vs. magnesium sulfate for reducing pain in patients with acute migraine headache; a prospective quasi-experimental study

  • Baratloo, Alireza;Mirbaha, Sahar;Kasmaei, Hossein Delavar;Payandemehr, Pooya;Elmaraezy, Ahmed;Negida, Ahmed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0권3호
    • /
    • pp.176-182
    • /
    • 2017
  • Background: Current evidence suggests that intravenous magnesium sulfate might be effective for reducing migraine pain. In a recent pilot study, we showed that intravenous caffeine citrate could reduce the severity of migraine headach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intravenous caffeine citrate vs. magnesium sulfate for management of acute migraine headache.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quasi-experimental study from January until May 2016 in two educational medical centers of Shahid Beheshti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Shoahadaye Tajrish Hospital and Imam Hossein Hospital), Tehran, Iran. The study included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met the migraine diagnosis criteria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2 groups receiving either 60 mg intravenous caffeine or 2 g intravenous magnesium sulfate. The pain scores, based on the visual analog scale, were recorded on admission, as well as one and two hours after receiving the drug. A Chi-Square test and student t-test were used for analysis of baseline characteristics. A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nged rank test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between and within the groups respectively. Results: In total, 70 patients (35 patients in each group) with the mean age of $33.1{\pm}11.3years$ were included (64.3% female). For the Caffeine citrate group, the median pain score decreased from 9.0 (2.0) to 5.0 (4.0) after one hour and to 3.0 (4.0) after two hours. For the magnesium sulfate group, the pain score decreased from 8.0 (2.0) to 2.0 (2.0) after one hour and to 0.0 (1.0) after two hours. Both intravenous caffeine citrate and intravenous magnesium sulfate reduced pain scores significantly but the magnesium sulfate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the Caffeine citrate group after one hour (P < 0.001) and after two hours (P < 0.001). Conclusions: It is likely that both intravenous caffeine and intravenous magnesium sulfate can reduce the severity of migraine headache. Moreover, intravenous magnesium sulfate at a dose of 2 g might be superior to intravenous caffeine citrate 60 mg for the short term management of migraine headache in emergency departments.

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and Concurrent Weekly Paclitaxel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 Xie, Cong-Ying;Jin, Xian-Ce;Deng, Xia;Xue, Sheng-Liu;Jing, Zhao;Su, Hua-Fang;Wu, Shi-Xi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129-6132
    • /
    • 2012
  • Objective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simultaneous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SMART) and concurrent weekly paclitaxel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Methods: Forty-on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treated by SMART with concurrent weekly paclitaxel. Daily fraction doses of 2.5 Gy and 2.0 Gy were prescribed to the gross tumor volume (GTV) and clinical target volume (CTV) to a total dose of 70 Gy and 56 Gy, respectively. Paclitaxel of $45mg/m^2$ was administered concurrently with radiation therapy every week. Adjuvant chemotherapy was given four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adiotherapy (RT) if the tumor demonstrated only a partial response (PR). Results: All patients completed the radiotherapy (RT) course. Adjuvant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12 patients due to PR. The CR (complete remission) rate was 82.9% three months after RT. Thirty-nine (95.1%) patients completed the concurrent weekly chemotherapy with paclitaxel, and two patients skipped their sixth course. Seven patients had a 15% dosage reduction at the fifth and sixth course due to grade 3 mucositis. The median follow-up was 30 (range, 14-42) months. The three-year overall survival (OS), metastases-free survival (MFS), and local control rates were 77.0%, 64.4%, and 97.6%, respectively. No correlation between survival rate and T or N stage was observed. Grade 3 acute mucositis and xerostomia were present in 17.1% and 7.1%, respectively. Conclusion: SMART with concurrent weekly paclitaxel is a potentially effective and toxicity tolerable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PC.

Concurrent Weekly Docetaxel Chemotherapy in Combination with Radiotherapy for Stage III and IVA-B Nasopharyngeal Carcinoma

  • Wei, Wei-Hong;Cai, Xiu-Yu;Xu, Tao;Zhang, Guo-Yi;Wu, Yong-Feng;Feng, Wei-Neng;Lin, Li;Deng, Yan-Ming;Lu, Qiu-Xia;Huang, Zhe-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3호
    • /
    • pp.785-789
    • /
    • 2012
  • Background and Purpose: Cisplatin is the most common chemotherapeutic agent for loco-region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however, toxicity is a limiting factor for some patients. We retrospectively compared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weekly docetaxel-based and cisplatin-base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loco-regionally advanced NPC. Methods and Materials: Eighty-four patients with Stage III and IVA-B NPCs, treated between 2007 and 2008,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irty received weekly docetaxel-based concurrent chemotherapy, and 43 were given weekly cisplatin-based concurrent chemotherapy. Radiotherapy was administered using a conventional technique (seven weeks, 2.0 Gy per fraction, total dose 70-74 Gy) with 6-8 Gy boosts for som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disease. Results: Median follow-up time was 42.3 months (range, 8.6-50.8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3-year loco-regional failure-free survival (85.6% vs. 92.3%; p=0.264), distant failure-free survival (87.0% vs. 92.5%; p=0.171), progression-free survival (85.7% vs. 88.4%; p=0.411) or overall survival (86.5% vs. 92.5%, p=0.298) of patients treated concurrently with docetaxel or cisplatin. Severe toxicity was not common in either group. Conclusions: Weekly docetaxel-base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s potentially effective and has a tolerable toxicity;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are required to determine if docetaxel is superior to cisplatin for advanced stage NPC.

서양종(西洋種)꿀벌의 살충제분해효소에 관(關)한 연구(硏究) (Enzyme Activities of a Honeybee(Apis mellifera L.)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Some Insecticides)

  • 서용택;심재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41-248
    • /
    • 1988
  • 서양종(西洋種) 꿀벌(Apis mellifera L)에 대(對)한 살충제의 독성(毒性) 및 해독능력(解毒能力)을 조사(調査)하고 농약한계사용량(農藥限界使用量) 결정(決定)에 기여(寄與)하기 위하여 7가지 대표적(代表的)인 살충제의 꿀벌에 대한 독성(毒性)및 해독효소(解毒酵素)의 활성(活性)을 조사(調査)하였다. 효소활성(酵素活性)은 해독효소(解毒酵素)로 알려진 microsomal oxidases, glutathione S-transferases, esterases 와 DDT-dehydrochlorinase를 조사(調査)했고 성충(成?)일별의 중장(中腸)을 사용(使用)하여 측정(測定)하였다. $LC_{50}$치(値)의 측정결과(測定決果) 공시(供試) 살충제중(殺?劑中) DDT가 58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낮았고 EPN이 1.61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강(强)했다. 준치사농도(準致死濃度)의 농약(農藥)이 성충(成?)일벌의 microsomal oxidase에 미치는 영향은 malathion 및 permethrin 처리(處理)가 aldrin epoxidase 활성(活性)을 저해(沮害)시켰고 N-demethylase 활성(活性)은 diazinon 처리구(處理區)에서 증대(增大)되었다. Ghtathione S-transferarse(DCNB conjugation) 활성(活性)은 diazinon과 permethrin 처리구(處理區)에서 증대(增大)되었다. Esterase는 malathion 및 permethrin 처리구(處理區)에서 ${\alpha}-NA$ esterase활성(活性)의 저해(沮害)를 보였고 diazinon처리구(處理區)에서 carboxylesterase활성(活性)이 증대(增大)되었으며 AChE 활성(活性)은 거의 영향(影響)이 없었다. DDT-dehy drochlorinase활성(活性)은 carbaryl 및 permethrin 처리구(處理區)에서 증대(增大)되었다.

  • PDF

국소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선행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효과 (Effect of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of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rcinoma)

  • 김재원;손희영;전시영;박정제;안성기;강기문;김진평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6-32
    • /
    • 2008
  • Purpose:Hypopharyngeal carcinoma is usually diagnosed as an advanced disease after an asymptomatic beginning, and it is related to a high frequency of lymph node metastases. An eventual negative outcome may occur not only because of possible locoregional failures but also for frequent distant metastases. Thus, the efficacy of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with regards to the response, survival rate and complications for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rcinoma patients, was examined. Methods and Materials:Since July 1998 to February 2001, 18 patients having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rcinoma were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and the result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gimen of the induction chemotherapy was the 5-flurouracil(5-FU, 1,000mg/$m^2$ daily for 5 consecutive days) and cisplatin(100mg/$m^2$ on day 1) combination at 3-week intervals for 2 cycles. The total radiation dose for the primary tumor and metastatic lymph nodes was 68.4-72.0Gy(median:70.2Gy) Results:The 3-year overall survival rate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were 31.3% and 22.2%, respectively. In 6 patients(33.3%), preservation of the larynx for over 3 years was possible. After the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 complete response was noted in 14 patients(77.8%), and a partial response in 4 patients (22.2%), with an overall response rate of 100%. Conclusion: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and larynx preservation rate was 33%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rcinoma in our report.

직장암의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결과 (Results of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Rectal Cancer)

  • 윤미선;남택근;김형록;나병식;정웅기;김영진;안성자;송주영;정재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47-256
    • /
    • 2008
  • 목 적: 직장암에서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항문 괄약근 보존율, 생존율, 예후인자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직장암 환자로 진단되어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모두 150명이었다. 이 중 진단시 원격전이가 없고 재발암이 아니며 본원에서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 중 계획된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총 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8{\sim}2\;Gy$씩, 주 5회 $41.4{\sim}46\;Gy$ (중앙값 44 Gy)를 전 골반에 조사한 후 원발부위 및 고위험 부위에 총 방사선량이 $43.2\;Gy{\sim}54\;Gy$(중앙값 50.4 Gy)까지 추가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66명(80.5%)에서 5-fluorouracil (5-FU), leucovorin, cisplatin을 정주하였고, 15명(19.5%)에서는 5-FU와 leucovorin만을 정주하여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4주 간격으로 2회 시행되었다. 수술은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종료 후 $3{\sim}45$주(중앙값 7주)가 경과되어 시행되었다. 수술 후 유지 항암화학요법은 총 38명(47.6%)에서 시행되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항문 괄약근 보존율은 73.2%(60명)이었다. 이 중 종양의 최하 위치가 항문연으로부터 5 cm 미만인 환자 48명중 31명(64.6%)에서, 5 cm 이상인 환자 34명 중 29명(85.3%)에서 항문 괄약근을 보존할 수 있었다. 수술 후 병리적 완전관해율은 14.6% (12/82)였다. 전체 환자의 T병기 하강률은 42.7% (35/82)였고, N병기 하강률은 75.5% (37/49)였으며, 전체 병기 감소율은 67.1% (55/82)였다. 전체 환자의 추적 관찰 기간은 $11{\sim}107$ 개월로 중앙값은 38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 무병생존율 및 국소종용제어율은 각각 67.4%, 58.9%, 84.4%였다. 수술 후 병기별 5년 생존율은 0 (n=12), I (n=16), II (n=30), III (n=23)기에서 각각 100%, 59.1%, 78.6%, 36.9%이었고 IV 병기 1예는 43개월 현재 생존 중이다(p=0.02). 병기별 5년 무병생존율은 0, I, II, III, IV 기에서 각각 77.8%, 63.6%, 58.9%, 51.1%, 0%였다(p<0.001). 병기별 5년 국소종양제어율은 0, I, II, III기 에서 각각 88.9%, 93.8%, 91.1%, 68.2%였고 IV병기 1예는 43개월 현재 국소재발 없이 생존 중이다(p=0.01).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령(${\geq}55$세 VS. >55세), 임상적 병기(I+II vs, III), 방사선치료 종료 후 수술까지의 경과기간(${\leq}6$주 vs. >6주), 수술방법 (항문괄약근보존술 vs. 비보존술), 병리학적 T병기, 병리학적 N 병기, 병리학적 전체병기(0 vs. I+II vs. III+IV), 병리학적 완전관해여부 등 총 8개의 다변량 분석상, 연령과 병리학적 N병기는 전체 생존율에, 병리학적 전체 병기는 무병생존율에, 병리학적 N병기는 국소종양제어율에 각각 유의하였다. 전체 환자 중 재발한 환자는 모두 25명으로 국소재발 10명, 원격전이 13명, 국소 및 원격전이가 동시에 있던 환자 2명이었다 항암화학 방사선치료 중 등급 3 이상의 혈액학적 독성은 백혈구 감소가 2명이었고, 등급 3의 피부반응이 1명이었다. 수술 후 60일 이내의 입원을 요할 정도의 합병증으로는 총 11명으로 문합부 누출 5명, 골반부 농양이 2명, 그외 4명 등이었다. 결 론: 직장암에서 수술 전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으로 병기 하강 및 항문 괄약근 보존에 유용한 결과를 얻었고, 수술 전 항암화학방사선요법으로 인한 독성은 미미하였다. 병리학적 N병기가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에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수술 후 보조적 요법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두경부암 환자군에서 구강건조증지표 분석 (Evaluation of Xerostomia Following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 이석호;김태현;지의규;임현선;임은실;류준선;정유석;박성용;김주영;표흥렬;신경환;김대용;조관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06-114
    • /
    • 2004
  • 목적 :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를 시행받은 두경부암 환자군에서 구강건조증 지표들을 측정시점별로 비교분석 하고 이 지표들과 이하선에 조사된 방사선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2월부터 10월까지 두경부암으로 IMRT를 시행받은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MRT군의 연령은 43$\~$77세(중앙값 57세)이었고, 구강건조증을 평가하는 주관적 지표로서 4항목으로 구성된 구강지표점수(xerostomia questionnaire score: XQS)와 객관적 지표로서 자극유무에 따른 saliva의 분비량(unstimulated &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USFR & SSFR)을 측정하였고, 주관적 그리고 객관적 통합지표로서 LENT SOMA scale(LSC)을 측정하였다. 측정시점은 치료 전, 치료 후 1개월, 3개월이었다. IMRT군 내에서 전체 환자군과 전체이하선에 조사된 평균방사선량을 기준으로 나눈 두 군에서의 측정시점에 따른 지표들 간 변화유무를 보았고, 나아가, 구강건조증지표들과 타액분비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IMRT군 전체13명 내에서 치료 전과 치료 후 1개월, 3개월에 측정된 XQS, LSC, USFR & SSFR은 유의한 변화가 없어 구강건조증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이하선에 조사된 평균선량 3,500 cGy를 기준으로 환자군을 나누어 보았을 때, 3,500 cGy 미만 조사받은 8명의 환자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3,500 cOy이상 조사받은 5명의 환자군에서는 XQS, LSC, SSFR그리고 USFR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구강건조증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또한, 각 지표들과 타액분비량 간의 상관관계를 보았을 때, 치료 후 1개월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치료 후 3개월째에서 XQS, LSC가 커질수록 USFR, SSFR이 감소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IMRT는 구강건조증을 상당한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XQS와 LSC이 유용한 임상지표로서의 가능성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삶의 질을 저하할 정도의 심한 구강건조증을 피하기 위해서는 양측 이하선 전체에 조사되는 평균선량을 가능한 한 3,500 cGy미만으로 조사되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향후, 충분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체이하선의 평균선량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결과와 나아가 타액의 분비량을 대신할 수 있는 임상적지표를 선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제1병기 성인 고환 정상피종에 대한 임상적 고찰 및 치료결과 분석 (Is Radiotherapy Necessary for Stage 1 Testicular Seminoma?)

  • 이정애;박원;임도훈;안용찬;허승재;유정일;최한용;이현무;조은윤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49-54
    • /
    • 2009
  • 목 적: 제 1 병기 성인 고환 정상피종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과 함께 근치적 고환절제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와 고환절제술 단독치료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제 1 병기 정상피종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 32명의 순수 정상피종(pure seminoma)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근치적 고환절제술 후 22명은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고, 10명은 추가치료 없이 종양표지자와 복부골반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정기적 추적관찰을 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10~15 MV 광자선을 사용하였으며 일일치료선량 1.8~2 Gy로 총 24~30.6 Gy (중앙값, 25.2 Gy)를 대동맥주위림프절(L1~L5)에 이문조사하였다. 전체 추적관찰기간은 근치적 고환절제술 시행일을 기준으로 24~155개월(중앙값, 96개월)이었다. 결 과: 환자의 연령은 22~58세(중앙값 34세)였고, 임상적으로 진단 전 주증상은 음낭 종괴 및 불편감이 대부분이었다. 이중 2명에서 잠복고환의 병력이 있었으며, 병리적으로 32명 중 23명에서 정상피종에 관내배아세포종(intratubular germ cell neoplasia)이 동반되어 있었다. 술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은 분석시점에 모든 환자가 무병상태로 100%의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을 보였다. 술후 추적관찰만을 시행한 군은 10명 중 1명에서 좌측 대동맥주위 림프절에 재발하여 구제 항암화학요법 후 완전관해되었으며 국소제어율 88.9%, 생존율 100%를 보였다. 결 론: 제 1 병기 정상피종에서 근치적 고환절제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과 추적관찰만을 시행한 군간에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환자수가 적고 추적관찰기간이 짧기는 하지만 재발 후 항암화학요법으로 구제가 잘 되고, 방사선 치료시 이차암의 가능성이 있음을 고려한다면 정기적인 추적관찰이 가능한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생략할 수도 있겠다.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의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초기 임상 결과 (Preliminary Results of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for Primary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 금기창;박희철;성진실;장세경;한광협;전재윤;문영명;김귀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23-129
    • /
    • 2002
  • 목적 :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삼차원적인 방사선치료계획 시스템을 이용한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전향적으로 실시하고 조기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원발성 간암의 비수술적 치료에서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잠재적인 역할과 가능성을 판단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원발성 간암으로 진단 후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기법을 적용하여 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가 본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대상 환자의 선정 기준은 방사선치료의 과거력이 없는 경우, 간외 전이가 없는 경우, 간경변증의 정도가 Child-Pugh classification A또는 B군인 경우, 종양이 전체 간 용적의 2/3를 넘지 않는 경우, 전신수행도가 Europea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3기 이상으로 악화되지 않은 경우이었다. 15명의 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과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이 시행되었다. 대상 환자는 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 (UICC) 병기별로 II기 1명, III기 8명, IVA기 8명이었다. 4명의 환자에서 간문맥 혈전증이 동반되었으며, 종양의 평균 직경은 8 cm이었다. 조사영역은 종양과 주변 1.5 cm이었고 조사선량의 분포는 $36\~60\;Gy$로 중앙값은 59.4 Gy이었다. 종양의 반응은 치료 후 $4\~8$주에 시행한 영상 진단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5개월이었다. 결과 : 2년 생존율은 $21.2\%$였고 평균 생존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완전 반응과 부분 반응을 포함하여 11명의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보여 반응률은 $64.7\%$였다. 종양의 진행을 보인 환자는 3명으로 이 중 2명의 환자가 조사영역 밖에서 종양의 진행을 보였다. 추적 기간 중 6명의 환자에서 원격 전이가 나타났고 폐 전이와 뼈 전이가 각각 5명과 1명이었다. 삼차원 입체 조형 치료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는 방사선 간염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Grade 2의 위염과 십이지장염이 각각 1명씩 발생했다. 치료로 인해 사망하였던 경우는 없었다. 결론 :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의 치료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적용할 것은 비교적 안전하였고 실제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향후 원발성 간암의 비수술적 치료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역할이 기대되며 이 치료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한 제 3상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