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cA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9초

DNA microarray-based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henotypes of clinical MRSA strains from animal hosts

  • Schmitt, Sarah;Stephan, Roger;Huebschke, Ella;Schaefle, Daniel;Merz, Axel;Johler, Sophia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54.1-54.11
    • /
    • 2020
  • Backgrou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leading cause of severe infections in humans and animals worldwide. Studies elucidating the population structure,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types, resistance phenotypes, and virulence gene profiles of animal-associated MRSA are needed to understand spread and transmission.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1) clonal complexes and spa types, 2) resistance phenotypes, and 3) virulence/resistance gene profiles of MRSA isolated from animals in Switzerland. Methods: We analyzed 31 presumptive MRSA isolates collected from clinical infections in horses, dogs, cattle, sheep, and pigs, which had tested positive in the Staphaurex Latex Agglutination Test.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by spa typing and DNA microarray profiling. In addition, we performe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using the VITEK 2 Compact system. Results: Characterization of the 31 presumptive MRSA isolates revealed 3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isolates, which were able to grow on MRSA2 Brilliance agar. Of the 28 MRSA isolates, the majority was assigned to CC398 (86%), but CC8 (11%) and CC1 (4%) were also detected. The predominant spa type was t011 (n = 23), followed by t009 (n = 2), t034 (n = 1), t008 (n = 1), and t127 (n = 1).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tend the current body of knowledge on the population structure, resistance phenotypes, and virulence and resistance gene profiles of MRSA from livestock and companion animals.

Zn-Al-Mg 합금도금강판의 헤어라인 처리가 표면흑색화 및 열확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irline treatment on surface blackening and thermal diffusion of Zn-Al-Mg alloy-coated steel sheet)

  • 박진성;윤덕빈;김상헌;김태엽;김성진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9-76
    • /
    • 2023
  • The effects of hairline treatment on surface blackening and thermal diffusion behaviors of Zn-Al-Mg alloy coated steel sheet were evaluated by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profiler and laser-flash technique. The metallographic observation of coating damages by hairline treatments showed that several cracks were initiated and propagated along the interface between primary Zn/eutectic phases. As the hairline processing became more severe, the crack occurrence frequency in eutectic phase of coating layer and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d, which ha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blackening on the coating surface. In addition, the higher interfacial areas of the blackened coating surface, caused by the hairline process, led to an increase in thermal diffusivity and conductivity of the coated steel shee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ating damage by hairline treatment was excessive and the steel substrate was expos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hermal diffusivity/conductivity of the untreated sample though the blackening degree was higher than that of untreated sample. This work suggests that the increase in the surface areas of the coating layer without exposure to steel substrate through hairline treatment can be one of the effective technical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Zn-Al-Mg alloy coated steel sheets with higher blackening level and thermal diffusivity.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MRSA 균주의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the Diversity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rains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Busan Area)

  • 최성화;박은희;박연경;김정아;김남호;이영숙;빈재훈;박호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083-1089
    • /
    • 2008
  • 부산 지역 5개 2차 종합병원 설사환자 변에서 유래한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대한 연구 결과,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142주 중 총 49주(34.5%)가 MRSA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황색포도상구균 중 MRSA 분리율이 '04, '05, '06년에 걸쳐 각각 30.0%, 32.7%, 46.7%인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RSA 균주의 항균제 내성 양상은 75.5%가 10종 이상의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1종 항균제에 대한 다제 내성균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MRSA주의 장독소 유전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 51%가 장독소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30.6%가 독소유전자 A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밖에 C (8.3%), B (4.1%) 순이었다. MRSA 총 49주에 대해 PFGE를 수행하여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크게 7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부산지역 전체에 뚜렷하게 동일한 균주의 유행은 확인 할 수 없었으나, 종합병원 내에 소규모의 MRSA 유행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고등학생들의 음란 영상매체 접촉 실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 김한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5-6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as well 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f 774 students of six high schools in Seoul, three boys' and three girls' respectively, from August 22 to August 25, 2000. This study shows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such as CD-ROMs, internet, video tapes and adult movies has become very serio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the students surveyed, $23.5\%$ of them currently has opposite-sex friends, while $42.2\%$ used to have and $34.2\%$ has never had opposite-sex friends. 2. $55.3\%$ of the students pick up their sexual knowledge from their friends, followed by mass media $(47.5\%),\;school (21.1\%),\;adult\; magazines (17.1\%)\;, internet (14.1\%)$, pornography visual $materials (11.5\%),\; sexual\; books (3.6\%)$ and pornography printed $materials (2.4\%).$ 3. Regarding the frequency of sexual education taken in school, $54.2\%$ of the students answered 'often', while $37.6\%$ answered 'almost none', 'several times' $(4.4\%)$, 'never' $(2.9\%)$ and 'frequently' $(0.9\%)$, respectively. Regarding sexual education at home, $42.2\%$ answered 'almost none', followed by 'never' $(36.3\%)$, 'often' $(16.3\%)$, 'several times' $(3.3\%)$ and 'frequently' $(1.8\%)$, respectively. 4. $68.2\%$ of the students have been exposed to adult movies, followed by pornography videos $(60.1\%)$, internet chatting $(50.2\%)$ and pornography computer diskettes $(38.0\%)$. 5. The degree of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of boy student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girl students. 6. It appears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 between the kind of schools and the degree of the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7. The higher the students' grade is. the more they have been exposed to pornographic materials. 8. It shows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9. There is also an inte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students' pocket money and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10. There is an inte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11. It appears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 between their parents' relations with them and the degree of the students'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1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ir residential area. 13.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income of their families. 14.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exposure to pornographic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mean sexual education at home.

  • PDF

컴포넌트 기반 모바일 임베디드 컨버전스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 (Framework for Developing Mobile Embedded Convergence Software using CBD)

  • 김행곤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9-72
    • /
    • 2008
  • 최근의 컴퓨팅 시스템은 모바일을 사용한 비즈니스와 다양한 컨버전스 분산 업무 처리로 확대되면서 모바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 대해 모바일 비즈니스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최근 재사용성과 독립성 그리고 이식성을 가진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에 또한 많은 초점이 집중되고 있다. 컴포넌트 기반 임베디드 응용 시스템 개발은 제품의 생산성과 유지보수성 그리고 신뢰성을 보장한다. 컴포넌트 각 요소들 간의 계층적, 수평적 서비스 지원 및 협력을 위한 명확한 인터페이스 정의를 통한 컴포넌트의 원활한 조립이 컴포넌트 기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성공을 위한 필수적 요소이다. 즉, 관련 아키텍처 정의와 이를 기반으로 한 생성 프로세스 및 컴포넌트의 명세화, 그리고 컴포넌트 프레임워크의 효과적 적용 단계를 통해 모바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의 성공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최대한 접근하고 모바일 임베디드 도메인을 기반으로 둔 소규모 단위 모바일 컴포넌트(MIC: Mobile Embedded Component)를 대상으로 조립을 위한 인터페이스 명세 제공을 서술한다. 모바일에 확장적 컴포넌트 계층화와 모바일 비즈니스 로직 확보를 위해 재구성 가능한 설계 패턴 및 컴포넌트 군(비즈니스 도메인 카테고리)을 형성하고 제공한다. 제안하는 모바일 임베디드 컴포넌트 프로세스는 기존 프로세스가 가지는 비 일치성을 보완하여 컴포넌트의 개발과 사용에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의한다. 모바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위한 의미 지향적이며 모델링 기반 원칙에 따라 명확하고 풍부한 프로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기능의 모듈성과 독립성이 보장되고 조립 가능한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동적이고 복잡한 모바일 비즈니스 영역에 적용 가능한 개발 모델을 제시하고 작성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임베디드 개발 사례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컴포넌트 기반 모바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는 효율성, 생산성 및 신뢰성과 유지보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 PDF

미생물 전기화학 기술이 적용된 단일 혐기성소화조에서 전극재질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성 효율 평가 (Evaluation of Biogas Production Rate by using Various Electrodes Materials in a Combined Anaerobic Digester and Microbial Electrochemical Technology (MET))

  • 신원범;박준규;이범;김용근;전항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2-88
    • /
    • 2017
  • 최근, 미생물전기화학기술(microbial electrochemical technology, MET)을 혐기성 소화에 적용하여 바이오가스 발생량을 증대시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내부저항에 따른 Scale-up 측면에서는 아직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며, 내부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전류밀도가 높은 전극의 선정, 이온강도 및 전기전도도의 증가, 다양한 전극의 형태 및 재질 선정 등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Stainless steel은 내구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비용 역시 저렴하고, 특히 음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백금 금속이나 탄소기반의 섬유재질의 전극과 유사한 효율이 나타남에 따라 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raphite carbon에 전기전도도 및 전류밀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Ni, Cu, Fe의 코팅 여부와 최근 주목받고 있는 Stainless steel 재질의 판형과 그물망 형태의 전극을 사용하여 전기화학적 특성과 바이오가스 발생량을 비교함으로서 그 효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각 전극 재질에 따른 전류밀도는 $GC-C_M$, GC, SUS-P, SUS-M이 각각 2.03, 1.36, 1.04, $1.13A/m^2$으로 나타났으며, 메탄수율은 $GC-C_M$, GC, SUS-P, SUS-M이 각각 0.27, 0.14, 0.19, 0.21 $L-CH_4/g-COD_{rem.}$로 나타났다. 즉, Stainless 재질의 금속이 코팅된 Graphite carbon과 유사한 전류밀도와 메탄수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timicrobial resistance studies in staphylococci and streptococci isolated from cows with mastitis in Argentina

  • Elisa, Crespi;Ana M., Pereyra;Tomas, Puigdevall;Maria V., Rumi;María F., Testorelli;Nicolas, Caggiano;Lucia, Gulone;Marta, Mollerach;Elida R., Gentilini;Mariela E., Srednik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6호
    • /
    • pp.12.01-12.10
    • /
    • 2022
  • Background: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eptococcus agalactiae are the main cause of clinical mastitis in dairy cattle in Argentina, whereas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NS) and environmental streptococci are the main cause of subclinical mastitis. Bacteria isolated from infected animals show increasing antimicrobial resistance.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taphylococci and streptococci isolated from milk with mastitis, and to genotypically characterize the methicillin-resistant (MR) staphylococci. Methods: Isolation was performed on blood agar and identification was based on biochemical reactions.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was according to th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guidelines.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SCCmec type and spa type were detected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Results: We isolated a total of 185 staphylococci and 28 streptococci from 148 milk samples. Among the staphylococcal isolates, 154 were identified as CNS and 31 as S. aureus. Among the 154 CNS, 24.6% (n = 38)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14.9% (n = 23) to erythromycin, 17.5% (n = 27) to clindamycin, 6.5% (n = 10) to cefoxitin and oxacillin. Among the S. aureus isolates, 16.1% (n = 5)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3.2% (n = 1) to cefoxitin and oxacillin (MRSA). Six MR isolates (5 CNS and 1 MRSA) were positive to the mecA gene, and presented the SCCmec IVa. The MRSA strain presented the sequence type 83 and the spa type 002. Among the 28 streptococcal isolates, 14.3% (n = 4)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10.7% (n = 3) to erythromycin and 14.3% (n = 4) to clindamycin. Conclusions: The present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a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main bacteria isolated from cows with mastitis in Argentina.

하수처리장 유입.유출수 내 EDC/PPCPs의 발생 특성 (Occurrence of EDC/PPCPs in Influent and Effluent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 이민주;류재나;오재일;김현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783-792
    • /
    • 2009
  • 서울 인근의 하수처리장에서 채취한 유입/유출수에 내포되어 있는 31개의 미량 EDC/PPCPs(내분비계장애물질/의 약 개인관리용품물질)의 발현 특성에 대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입수에서 검출된 EDC/PPCPs의 용도별 분류에 따른 총농도 관점의 발현 비율은 각성제(59.67%), X선 조영제(20.20%), 난연제(9.00%), 기타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출수의 경우에는 베타 차단제(30.54%), 난연제(20.49%), X선 조영제(18.17%), 기타 등의 순으로 발현 빈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출된 대상 미량물질의 전반적인 농도 검출 범위는 다른 국내 선행연구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의 연구결과와 비교해서는 상당한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럽 지역의 연구결과와 비 교하면 일부 의약물질항목에 따라서는 수천 배의 농도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선택된 9개의 의약물질에 대해 유입수와 유출수의 예상환경농도(PEC)를 계산하고 실제 측정된 농도(MEC)와 비교한 결과 물질별 발현 농도 수치 관점에서는 큰 편차를 보였으나, 물질별 상대적 발현 빈도 순서 관점에서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배출가스 규제기준이 소요환기량에 미치는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xhaust emission standards on the required ventilation rate in vehicle tunnels)

  • 김효규;류지오;송석헌;정창훈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409-420
    • /
    • 2017
  • 터널환기 계획시 소요환기량은 환기시설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이며, 소요환기량 산정을 위한 차종별 오염 물질 배출량(환기설계를 위한 기준배출량)은 현재 환경부에서 제시하는 '제작차 허용배출 기준'을 근거하여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부터 환경부에서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산정하기 위한 규정으로 '자동차 총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에 관한 규정'을 고시하고 이 규정에 '자동차 차종별 배출계수'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로터널의 소요환기량 산정시 이를 적용하는 것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경유차량의 배출가스 조작사건 이후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강화에 따라 터널의 소요환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최근 환경부에서 개정한 '제작차 허용배출량 기준'과 '자동차 차종별 배출계수'에 의한 소요환기량과 EURO 배출기준을 적용한 소요환기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소요환기량 산정 근거에 따른 합리적인 환기시스템 용량결정을 위한 기초 설계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동주택 내 비상방송설비의 음성명료도 실태 분석 및 재실자 인지성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ing Speech Intelligibility of Emergency Broadcast Equipment in the Apartments)

  • 오소영;조현민;이영주;이민주;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60-68
    • /
    • 2018
  • 공동주택의 복잡한 평면 구조와 향상된 벽간 차음성능으로 인해 화재상황의 전달 및 인지가 어려워 피해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 평면 형태를 대상으로 소방시설 중 비상방송설비의 명료성에 대한 실태분석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피난방송의 명확한 인지를 위한 음성명료도 개선 방안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현장측정 결과 72, 84, 101 Type 모두 국내 경보설비기준인 90 dBA를 R1 지점에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2 Type의 L1 지점(거실) 79.8 dBA를 제외하고는 모든 측정지점에서 출입문을 열었을 때와 닫았을 때 모두 NFPA 기준 75 dBA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침실의 출입문 개구 상태를 기준으로 국내 화재안전기준에서 제시된 1 m 이격지점에서 90 dBA 이상을 만족시 각 침실에서 NFPA 기준인 음압레벨 75 dBA와 CIS 0.7을 만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