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sure of association

검색결과 3,640건 처리시간 0.035초

연관성 규칙의 탐색을 위한 순수 대칭적 J 측도의 활용 (Utilizing Purely Symmetric J Measure for Association Rules)

  • 박희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2865-2872
    • /
    • 2018
  • 데이터 마이닝 분야에서 개발된 기법에는 연관성 규칙, 군집분석,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들 중에서 연관성 규칙은 지지도, 신뢰도, 그리고 향상도 등 여러 가지 연관성 평가 기준을 이용하여 항목들 간에 특정한 연관성을 탐색하는 기법이다(Park, 2014). 이러한 연관성 규칙은 Agrawal et al.(1993)이 처음 제안하였으며, 그 이후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차 엔트로피와 관련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Park, 2016b).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J 측도에 방향성과 순수성을 고려한 순수 대칭적 J 측도를 제안하고 예제를 활용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동시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순수 대칭적 J 측도가 기존의 J 측도와 대칭적 J 측도, 순수 교차 엔트로피 측도보다 훨씬 분명하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불일치빈도의 크기에 따라서도 순수 대칭적 J 측도가 변화하는 폭이 더 커짐에 따라 연관성 유무를 더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순수 대칭적 J 측도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어느 분야에서든지 연관성 규칙의 평가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혼합자료에서 독립성검정에 의한 연관성 측정 (A unified measure of association for complex data obtained from independence tests)

  • 이승천;허문열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4호
    • /
    • pp.523-536
    • /
    • 2021
  • 두 확률변수의 연관성을 측정하는 측도는 많이 있으나, 이러한 측도는 같은 유형인 변수들 간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 유형의 변수들이 혼재되어 있는 혼합자료에서 사용하기는 곤란하다. 본 논문에서는 두 확률변수의 독립성 검정을 통해 구한 p-값으로 혼합자료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연관성 측도를 구하였으며, 이렇게 구하여 진 연관성 측도가 혼합자료에서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비교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혼합자료에서 독립성 검정에 의한 연관성 측정 (A Unified Measure of Association for Complex Data Obtained from Independence Tests)

  • 이승천;허문열
    • 응용통계연구
    • /
    • 제16권1호
    • /
    • pp.151-167
    • /
    • 2003
  • 두 확률변수의 연관성을 측정하는 측도는 많이 있으나, 이러한 측도는 같은 유형인 변수들 간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 유형의 변수들이 혼재되어 있는 혼합자료에서 사용하기는 곤란하다 본 논문에서는 두 확률변수의 독립성 검정을 통해 구한 p-값으로 혼합자료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연관성 측도를 구하였으며, 이렇게 구하여진 연관성 측도가 혼합자료에서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비교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관규칙 탐색에서 새로운 흥미도 척도의 제안 (A New Interestingness Measure in Association Rules Mining)

  • 안광일;김성집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1-48
    • /
    • 200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asure to evaluate the interestingness of association rules. Ultimately. to evaluate whether a rule is interesting or not is subjective. However, an interestingness measure is useful in that it shows the cause for pruning uninteresting rules statistically or logically. Some interestingness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in association rules mining. We present an overview of interestingness measures and propose a new measure. A comparative study of some interestingness measures is made on an example dataset and a real dataset.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new measure can avoid the discovery of misleading rules.

연관성 방향을 고려한 부호 헬링거 측도의 제안 (Signed Hellinger measure for directional association)

  • 박희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353-362
    • /
    • 2016
  • 데이터 마이닝은 빅 데이터에 내재되어 있는 새로운 법칙이나 잠재되어 있는 지식을 탐색한 후, 이를 근거로 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위키 백과사전에 의하면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의 하나인 연관성 규칙은 연관성 평가 기준에 의해 관심 있는 항목들 간에 관련성을 찾아내는 기법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관성 평가를 위한 흥미도 측도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중에서 헬링거 측도는 여러 가지 흥미도 측도들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으나 연관성의 방향을 판단하기가 곤란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부호를 가지는 헬링거 측도를 제안하고 몇 가지 예제를 통하여 유용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부호 헬링거 측도는 양의 연관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양의 값으로 나타나고 음의 연관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시발생빈도, 동시 비 발생빈도, 그리고 불일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본적인 연관성 평가 기준들과 부호 헬링거 측도는 증감 여부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었다.

Relation for the Measure of Association and the Criteria of Association Rule in Ordinal Database

  • 박희창;이호순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7-213
    • /
    • 2003
  • One of the well-studied problems in data mining is the search for association rules. The goal of association rule mining is to find all the rules with support and confidence exceeding some user specified threshold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the measure of association and the criteria of association rule for ordinal data.

  • PDF

확률적 흥미도를 이용한 유사성 측도의 연관성 평가 기준 (Exploration of PIM based similarity measures as association rule thresholds)

  • 박희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127-1135
    • /
    • 2012
  • 연관성 규칙 기법은 대용량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항목들 간의 관련성을 수치화 하는 것으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에서는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연관성 규칙을 탐사하기 위한 연관성 규칙 평가 기준에는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신뢰도는 비대칭적 측도일 뿐만 아니라 항상 양의 값만을 취하고 있어서 항목 간에 연관성 규칙을 생성하는 데 여러가지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확률적 흥미도 측도 기반, 특히 주변 비율을 고려하지 않은 유사성 측도를 연관성 평가 기준으로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예제에 의한 비교를 통하여 Yule과 Michael의 유사성 계수와 Pearson의 파이 계수는 신뢰도와 동일하게 연관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부호를 포함하고 있어서 연관성의 방향도 알 수 있었으나, 카이 제곱 통계량 기반 측도들은 항상 양의 값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신뢰도와는 변화하는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셰익스피어의 희극 "자에는 자로" 무대의상 연구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Shakespear's "Measure for Measure")

  • 홍선옥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39-150
    • /
    • 2012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tage costumes, examine and analyze their theoretical ideas in order to propose new designs and support the studies and advances of stage costumes in play. The writer operated and produced the costume designs of Shakespeare's play, Measure for Measure as a costume director, which was played on September 16 to 17, 2011 at the Haneul Theater in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nd on September 3, 2011 at the Jinnam Munye Theater. The study was followed by 1. Proposing a new modern point of view of the design of the traditional dresses in 16th to 17th centuries. 2. Expressing a symbolism based on personality, role and nature of characters in the play by a creative and modern image of the dress in color, line, and silhouette, which are basic factors of a clothes design.

  • PDF

Criteria of Association Rule based on Chi-Square for Nominal Database

  • 박희창;이호순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38
    • /
    • 2004
  • Association rule mining searches for interesting relationships among items in a given database. Association rules are frequently used by retail stores to assist in marketing, advertising, floor placement, and inventory control. There are three primary quality measures for association rule, support and confidence and lift.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lation between the measure of association based on chi square statistic and the criteria of association rule for nominal database and propose the objective criteria for association.

  • PDF

정보이론에 기반한 연관 규칙들의 새로운 중요도 측정 방법 (A New Importance Measure of Association Rules Using Information Theory)

  • 이창환;배주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1호
    • /
    • pp.37-42
    • /
    • 2014
  • 연관 규칙들을 이용한 분류학습은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분야의 하나이다. 이러한 연관 규칙을 이용한 분류에는 연관 규칙들에 대한 수치적 중요도를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이론을 사용한 H measure 라는 새로운 규칙 중요도 기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Hellinger 변량을 이용하여 연관규칙의 중요도를 계산한다. 제안된 H measure 의 다양한 특성들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H measure를 이용한 분류학습의 성능을 다른 규칙 measure를 이용한 분류학습의 성능과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