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river bed slop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2초

도달시간 산정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an Estimation Method for Travel Time)

  • 정종호;금종호;윤용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715-727
    • /
    • 2002
  • 하도구간의 도달시간은 일정 구간별로 하도길이를 홍수가 하류로 유하하는 평균유속으로 나눔으로써 산정 할 수 있으며, 유역추적법에 의한 홍수량 산정 시 필요한 저류상수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도달시간을 산정 할 수 있는 경험공식이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경험공식별로 계산된 도달시간은 일반적으로 큰 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0개 이상 하천의 확률홍수량에 대한 수면곡선계산 자료에서 구간별 하도의 평균경사와 평균유속을 수집하였다. 이러한 평균경사와 평균유속과의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동일한 평균경사에서도 평균유속이 많이 산포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지역별 확률강우량의 차이와 하천별 유역면적의 차이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지역별 확률강우량의 차이와 하천별 유역면적의 차이에 대한 영향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일반화된 평균경사-평균유속 관계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하천종단에서 구간별 평균경사를 산정하면 일반화된 평균경시-평균유속의 관계를 사용하여 일반화된 평균유속을 산정 할 수 있으며, 이를 지역별 확률강우량의 차이와 하천별 유역면적의 차이에 대하여 보정하여 대상하천에 대한 평균유속을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 하게된다.

유로만곡부의 횡방향 하상경사 산정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ed Transverse Bed Slope Models in Channel Bend)

  • 송재우;최인호;김지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395-1404
    • /
    • 1994
  • 유로만곡부의 횡방향 하상경사는 하천형태학적 특성연구와 하도재해방지, 그리고 수공구조물 보호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유역 유로만곡부의 횡방향 하상경사를 Odgaard의 모형외 8개의 모형을 선택하여 비교분석한 후 예측하였으며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교된 모든 모형들은 곡률반경과 수심에 비례하였고 모형들사이의 차이는 비례계수 K에 있으며 또한 측정된 횡방향 하상경사는 만곡부에서의 최대수심과 평균유속, 그리고 입자 Froude수와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Sacramento강 만곡부에서 이루어진 Odgaard의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횡방향 하상경사모형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Odgaard89모형이 실측횡방향 하상경사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하천의 지형학적 인자와 식생종수의 관계 -한강수계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Stream Geomophological Factors and the Vegetation Abundance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Han River System -)

  • 이광우;김태균;심우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73-8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ediction models for plant species abundance by stream restoration. Generally the stream plant is affected by stream gemophology. So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getation abundance and stream gemophology was develop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ream characteristic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longitudinal slope, transectional slope, micro-landforms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riparian width and geometric mean diameter and biggest diameter of bed material, and cumulated coarse and fine sand weight portion. The Pyungchang River with mountainous watershed and the Kyungan stream and the Bokha stream in the agricultural region were selected and vegetation species abundance and stream characteristics were documented from the site at 2~3km intervals from the upper stream to the lower. The Models for predicting the vegetation abundance were develop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package.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ant(species abundance) and independant(stream characteristics) variables was tested by a graphical method. Longitudinal and transectional slope had a nonlinear relationship with species abundance. In the next step, the independance between the independant variables was tes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ant and dependant variables was tested by the Pearson bivariate correlation test. The selected independant variables were transectional slope, riparian width, and cumulated fine sand weight portion.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2$for the Pyungchang river, Kyungan stream, Bokga stream were 0.651, 0.512 and 0.240 respectively. The natural stream configuration in the Pyungchang river had the best result and the lower $R^2$for Kyunan and Bokha stream were due to human impact which disturbed the natural ecosystem. The lowest $R^2$for the Bokha stream was due to the shifting sandy bed. If the stream bed is fugitive, the prediction model may not be vali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the vegetation abundance could be predicted with stream characteristics such as, transection slope, riaparian width, cumulated fine sand weigth portion, after stream restoration.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수로의 최대세굴심 산정공식 평가 (Estimation methods of maximum scour depth in steep gravel-bed bend channel)

  • 조재웅;남아름;우태영;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529-536
    • /
    • 2016
  • 본 연구는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수로의 이동상 수리실험을 이용하여 만곡부 최대세굴심 산정공식들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균입경 43mm의 하천자갈을 $90^{\circ}$ 만곡 급경사 개수로에 포설하고 유량과 하상경사에 따른 만곡부의 최대세굴심을 조사하고 세굴심 공식으로 산정한 최대세굴심과 비교하였다. 자갈하상 만곡부 국부세굴은 유입부의 하상경사 0.02이상 $F_r$ 0.95이상에서 발생하였다. 이 수로에서 Lacey공식과 Zeller공식을 제외한 기존 세굴심 산정공식들은 최대세굴심을 과대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상재료를 고려한 Lacey공식과 접근경사와 만곡도를 반영한 Zeller공식은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부의 최대세굴심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갈하천에서 연속적인 수위 자료를 이용한 경사면적법 유량 산정 -달천 사례연구- (Application of Slope-area Discharge Estimation Method using Continuously Observed Water Level Data in a Gravel Bed River -Case Study of the Dal Cheon River-)

  • 이찬주;김지성;김치영;김동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503-51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연속적인 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경사면적법으로 유량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하천은 괴산댐 하류의 달천으로 여울과 웅덩이를 포함하는 약 960m의 구간이다. 하상 재료의 입경을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3가지 조도계수값을 산정하여 유량 계산에 활용하였으며, 추가로 하천정비기본계획의 조도계수도 사용되었다. 경사면적법으로 계산된 유량은 댐 방류량과 비교되었다. 댐 방류량과 비교한 상대오차는 조도계수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 구간에 적절한 조도계수는 0.042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구간의 평균하상 경사보다 완만한 수면경사를 갖는 계산 구간에서는 구간 전체의 조도계수보다 낮은 조도계수를 사용할 경우 유량 오차가 적었으며, 수면경사가 평균하상경사보다 급한 구간에서는 조도계수를 크게 사용하여야 상대오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도의 전체적인 하상경사를 고려하여 조도계수를 설정할 경우에는 수면경사가 완만한 구간과 급한 구간을 모두 포함하도록 전체 계산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500 cms 이상의 유량에서는 실측 유량과의 상대 오차가 일정해지므로, 비교 유량 측정이 이루어질 경우 조도계수를 검증한 후, 경사면적법을 적용함으로써 간접 유량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강에 대한 하천분류체계의 적용 연구 (An Application of Stream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Nam River, Korea)

  • 김기흥;정혜련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2호
    • /
    • pp.118-127
    • /
    • 2015
  • 하천은 구간에 따라 하도의 지형학적인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수리 및 하도 특성 평가를 위해서는 하천의 유형을 분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하도 특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체계는 하천 유형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분류체계의 한국 하천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Rosgen의 하천분류체계와 Yamamoto의 하천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였고, 남강을 사례로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하천 지형학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지방 및 국가하천의 평균하상경사와 종적 연속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하천 지형학적인 측면에서 Yamamoto의 하천분류체계가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상재료의 측면에서 Rosgen 분류체계가 Yamamoto의 분류체계보다는 하상경사와의 상관성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Yamamoto의 분류체계는 하상경사에 따른 토사분급 (수리분급)을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강에 대하여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Rosgen의 분류체계로서는 하상경사와 하상재료의 관계로서 하천유형을 분류할 수 없으나, Yamamoto 분류체계는 그 상관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다만, 자연하천에 대하여 추가적인 적용성 검토가 필요하다. 하도 특성 평가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3개의 하천유형을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하천 수리특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유속공식에 의한 하천유량 산정 (Estimation of Rivers Discharge by Probabilistic Velocity Function Considering Hydraulic Characteristics)

  • 추태호;이상진;박상우;오륜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B호
    • /
    • pp.537-542
    • /
    • 2009
  • 수위만의 함수로 작성되는 기존의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교적 쉽게 취득할 수 있는 하천의 폭, 넓이, 윤변, 하상경사 등 기본적인 수리특성인자를 활용하고 확률론적 방법인 엔트로피 기법을 연계하여 하천 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평균유속과 최대유속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하천의 평형상태를 나타내는 엔트로피 함수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하천 수리특성 인자가 반영된 유속공식으로 하천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캐나다 알버타 대학 등에서 제공된 수리실험실 및 자연하천 수문자료를 활용하여 유량을 산정한 결과 기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에서 추정된 유량에 비해 오차가 작고 실측치에 근사하여 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