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owiczii$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3초

백두대간 도로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수종 선정 (Native Plants Selection for Ecological Replantation in Roadside Cutting-slpoe of the Baekdu Range)

  • 이지혜;권혜진;전기성;김남춘;박관수;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7-74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roadside. In the cutting-slope area and upper forest area of the cutting-slope area, sample plots of 104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We found total 151 species in the 104 plots. The species of high frequency of Baekdu Range roadside were found in the order of Lespedeza bicolor,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Pinus densiflora, Salix hulteni, Lespedeza cuneata, Erigeron annuus, Rubus crataegifolius, Spodiopogon sibiricus, etc. The dominancy of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Lespedeza bicolor, Pinus densiflora, Salix hulteni, Spodiopogon sibiricus, Miscanthus sinensis, Lespedeza maximowiczii, Acer ginnala were 12.74%, 10.43%, 7.48%, 4.42%, 4.09%, 3.13%, 2.49%, 2.45%, 2.40% in the roadside cutting-slope,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 of Quercus mongolica, Lindera obtusiloba, Rhododendron mucronulatum, Lespedeza maximowiczii,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Lespedeza bicolor, Quercus serrata, Rhus trichocarpa were 17.32%, 13.82%, 11.60%, 11.31%, 8.76%, 8.04%, 7.65%, 7.10% in shrub layer of the upper forest area, respectively. The species of Carex lanceolata, Spodiopogon sibiricus, Carex siderosticta, Miscanthus sinensis, Artemisia sp.,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scaber, Lysimachia clethroides, Patrinia villosa, Lindera obtusiloba, Rhododendron mucronulatum,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us trichocarpa, Stephanandra incisa, Zanthoxylum schinifolium, Lespedeza sp., Lespedeza cuneata, Amorpha fruticosa, Ligustrum obtusifolium, and Weigela subsessilis, may be more helpful in stabilizing of the cutting-slope area and making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forest area.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주변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 권태호;오구균;권순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103
    • /
    • 1991
  •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과 등산로 주연부의 식생구조 변화에 대한 이용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991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및 최대 깊이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고 총 32km의 132개 조사지정에서, 관찰된 훼손형태는 다양하였으며 훼손된 지점의 등산로상태 중 해발고, 등산로폭 및 최대깊이는 건전한 지점의 상태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능선부 등산로에서는 훼손이 심화되고 있었으며 인위적인 복구공법이 필요한 환경피해도 4등급 이상인 면적이 약 34,000$m^2$에 달하고, 야영장에서도 이용압력과 훼손현상은 증가되고 있었다. 등산로 주연부의 상층수관에 있어서 우점수종은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화엄사등산로에서는 개서어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서어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서어나무로, 피아골등산로에서 졸참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로 바뀌고 있었으며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바위말발도리, 병꽃나무가 화엄사등산로에서,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국수나무, 철쭉이 피아골등산로에서 높은 상대우점치를 나타내었다.

  • PDF

ISSR을 이용한 음나무속 분류군의 유전적 다양성과 관련성 비교 (Comparison of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of Genus Kalopanax Using ISSR Markers)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40-745
    • /
    • 2006
  • ISSR 마크로 한국내 자생하는 음나무속 4분류군(음나무, 가시없는 음나무, 털음나무, 가는잎음나무)에 대해 유전적 다양성과 계통관계를 조사하였다. 64개의 재현성 높은 ISSR 밴드가 생성되었다. 음나무속의 각 개체별 분석에서 41개 밴드(64.1%)가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네 분류군을 통합하였을 때 그룹내 다양도는 0.115였고 그룹간 다양도는 0.467이였다. 종내 유전자 흐름(Nm)의 측정결과 음나무의 Nm값은 털음나무, 가는잎음나무에 비해 낮았다. 이는 지리적 거리에 따른 생식적 격리가 이 종의 집단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계통도 분석에서 ISSR 마크로 속수준의 네 분류군뿐만 아니라 집단까지도 잘 분리되어 본 연구에 사용한 마크가 분류에 효과적임이 규명되었다.

한라산(山) 아고산지대(亞高山地帶) 구상나무림 군집구조(群集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Community at Subalpine Zone in Hallasan)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1-167
    • /
    • 2007
  • 한라산 국립공원의 윗세오름(1,714m) 대피소를 중심으로 한 아고산지대에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구상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20개의 조사구$(10{\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MIP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가 57.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주목이 16.2%로 나타났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주목과 산개벚지나무, 화살나무; 사스레나무와 섬매발톱나무, 산벚나무; 산개벚지나무와 화살나무; 섬매발톱나무와 산벚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상나무의 활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44%는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 고사목은 흉고직경 5-15cm 범위가 대부분을 차지하었다.

한국 미기록 식물: 물꼬리사초(사초과) (A new record of Carex aequialta Kük. (Cyperaceae) in Korea)

  • 지성진;양종철;오병운;이유미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8-90
    • /
    • 2014
  • 사초과의 미기록종인 물꼬리사초(Carex aequialta K$\ddot{u}$k.)가 경상북도 예천군과 제주도 제주시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아직립하는 측소수, 망(까락)이 없는 자인편, 짧은 지하경, 산방형으로 배열하는 화서를 가져 근연종인 왕비늘사초(C. maximowiczii Miq.), 가는비늘사초(C. suifunensis Kom.), 비늘사초(C. phacota Spreng.), 이삭사초(C. dimorpholepis Steud.), 산꼬리사초(C. shimidzensis Franch.) 및 구슬사초(C. tegulata H. Lev. & Vaniot)와 구분된다. 국명은 외부형태와 생육지를 고려하여 '물꼬리사초'로 신칭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가야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 (The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Gaya Mountain National Park)

  • 김준선;김갑태;임경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5
    • /
    • 1989
  • 가야산국립공원지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생상관 및 종조성에 의한 식물사회학적 분석을 통해 식생군집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녹지자연도를 사정하였다. 가야산의 식생은 크게 소나무림과 낙엽활엽수림으로 구성되었으며 구분된 식생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소나무 군집 1) 소나무-진달래 하위군집 2) 소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3) 소나무-조릿대 하위군집 4) 소나무-대사초 하위군집 2. 신갈나무 군집 1) 신갈나무-철쭉군집 a) 전형하위군집 b) 산앵두나무 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릿대군집 3) 신갈나무-조록싸리군집 3. 졸참나무 군집 4.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5. 흰참꽃군집 6. 참싸리-억새군집 또한 가야산국립공원지역의 녹지자연도 등급은 2차림으로 구성된 녹지자연도 7,8이 93.9%를 차지하였다.

  • PDF

국내 자생 포플러나무에 의한 디젤오염토양 정화특성 연구 (Phytoremediation Study of Disel Contaminated Soil by Indigenous Poplar Tree)

  • 장순웅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5호
    • /
    • pp.51-5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포플러나무중 양황철을 대상으로 토양칼럼에서의 디젤(TPH) 제거 특성 및 식물체에 미치는 독성효과를 평가하였다. 포플러 삽목은 2달간 생장시킨 후 본 실험에 이용되었으며, 다양한 디젤농도(0, 200, 500, 1000, 2000 mg/kg)를 대상으로 60여 일간 진행되었다. 양황철에 의한 디젤 제거 실험에서 낮은 디젤농도에서는 효과적인 처리가 관찰된 반면, 농도가 증가할수록 처리효율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뿌리생장이 활발한 토양칼럼 하부에서의 처리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양황철 생장과 증산량을 비교하여 디젤의 양황철에 미치는 독성효과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양황철의 황백화 현상, 뿌리생장 저하, 증산량 감소 현상 등이 관찰 되었다. 또한 토양칼럼 깊이별 측정한 미생물 활성도 결과는 뿌리 생장이 많은 토양 칼럼 하부와 영양염류 및 디젤 분해미생물을 추가로 주입해준 경우가 높았다. 이러한 식물의 정화효과는 근권에 있는 토양미생물에 유용한 뿌리 분비물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의 활발한 번식 및 분해활동이 더욱 촉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울릉도 나리분지의 산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Community and Environment Factor of Nari Basin in Ulleung Island)

  • 정재민;윤준혁;신재권;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1-7
    • /
    • 2011
  • 본 연구는 울릉도 나리분지의 군락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산림식생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나리분지의 산림군락은 너도밤나무군락, 당마가목군락, 소나무군락, 풍게나무군락, 두메오리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DCCA 분석 결과, 환경요인 중 해발이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너도밤나무군락과 당마가목군락은 방위, Na, C/N의 환경요인과 군락단위의 분포지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풍게나무군락은 Ca, K 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메오리나무군락은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나무군락은 Ca,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enetic diversity assessment of lily genotypes native to Korea based on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 Kumari, Shipra;Kim, Young-Sun;Kanth, Bashistha Kumar;Jang, Ji-Young;Lee, Geung-Jo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158-164
    • /
    • 2019
  •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 genotypes reveals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genetic diversity that helps to develop a proper breeding program. In this study, a total of 30 EST-based simple sequence repeat (EST-SSR) markers derived from trumpet lily (Lilium longiflorum) were used across 11 native lily species for their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se 30 markers, 24 SSR markers that showed polymorphism were used for evaluation of diversity spectrum. The allelic number at per locus ranged from 1 at SSR2 locus to 34 alleles at SSR15 locus, with an average of 11.25 alleles across 24 loci observed. T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ranged from 0.0523 for SSR9 to 0.9919 for SSR2 in all 24 loci with an average of 0.3827. The allelic frequency at every locus ranged from 0.81% at SSR2 locus to 99.6% at SSR14 locus. The pairwise genetic dissimilarity coefficient revealed the highest genetic distance with a value of 81.7% was in between L. dauricum and L. amabile. A relatively closer genetic distance was found between L. lancifolium and L. dauricum, L. maximowiczii and L. concolor, L. maximowiczii and L. distichum (Jeju), L. tsingtauense and L. callosum, L. cernuum and L. distichum (Jeju ecotype), of which dissimilarity coefficient was 50.0%. The molecular fingerprinting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 could serve boldly to recognize genetically distant accessions and to sort morphologically close as well as duplicate accessions.

싸리류(類)의 예확회수별(刈穫回數別) 생산성(生産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Productivity of Lespedeza Species by the Number of Cutting Times)

  • 한영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7
    • /
    • 1974
  • 1972년(年)부터 1973년(年)까지 2개년간(個年間) 싸리 조록싸리 풀싸리를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예확회수별(刈穫回數別) 생육상황(生育狀況) 생산성(生産性) 사료가(飼料價) 비료가(肥料價)의 변화(變化)를 구명(究明)코저 년간(年間) 1.2.4회(回) 예확구(刈穫區)를 설정(設定) 예확시험(刈穫試驗)을 실시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싸리 조록싸리 풀싸리 모두가 년간(年間) 4회예확(回刈穫)의 4번예(番刈)만을 제외(除外)하고는 전년도(前年度)보다 생육(生育) 및 생산량(生産量)이 증가(增加)하였다. 2. 예확회수별(刈穫回數別) 종별(種別) 생산량(生産量)은 종간예확회수간(種間刈穫回數間) 1%가 넘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가 있으며 종간(種間)에서는 싸리 풀싸리 조록싸리의 순위(順位)로 수확량(收穫量)이 많았고 년간(年間) 4회예확(回刈穫)의 4번예(番刈)는 생육(生育) 및 수확량(收穫量)의 감소(減少)를 가져왔다. 3. 싸리 조록싸리 풀싸리 모두 년간(年間) 예확회수(刈穫回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생건비(生乾比)(건중량(乾重量)/생중량(生重量)) 엽경비(葉莖比)(경중량(莖重量)/엽중량(葉重量))는 감소(減少)했다. 4. 사료가중(飼料價中) 조단백질은 생육(生育)시기가 진행(進行)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데 반해 조섬유는 증가(增加)하였으며 특(特)히 조지방(粗脂肪)은 예확회수별(刈穫回數別) 예확시기(刈穫時期)에 따라 변화(變化)가 많았다. 5. 비료가(肥料價)는 공시종(供試種) 전부(全部) 예확시기(刈穫時期)가 늦은것이 낮게 나타났다. 6. 싸리류(類)를 사비료(飼肥料)로 사용(使用)코저 할때는 사비료가(飼肥料價)가 높은 싸리 풀싸리로써 년간(年間) 2-3회(回) 예확(刈穫)이 좋겠고 연료(燃料)로 사용(使用)코저 할때는 생산량(生産量)이 많은 싸리로써 년일회(年一回) 예확(刈穫)이 좋은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