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owiczii$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17초

한라분취의 분류학적 인식 (Taxonomic recognition of Saussurea maximowiczii var. triceps on Jejudo Island)

  • 김별아;선은미;윤선아;김승철;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4-36
    • /
    • 2018
  • 한라분취(Saussurea maximowiczii var. triceps)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 형태 및 분자적 접근을 했다. 줄기 길이, 잎의 크기와 같은 영양기관의 정량형질에서 한라분취가 버들분취(S. maximowiczii Herd.)보다 작은 경향이 있으나, 이는 연속적 변이이다. 소화, 총포를 비롯한 생식기관 성질에서 한라분취와 버들분취는 구별할 수 없었다. 버들분취와 한라분취의 염기서열을 확인한 결과 이들은 단계통을 이루었다. 한라분취는 강풍에 면한 한라산 고산지대에 적응한 버들분취의 생태표현형으로 추정된다.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Chinese Lespedeza maximowiczii (Fabaceae) based on morphological and genetic features, and recommendation as the independent species L. pseudomaximowiczii

  • JIN, Dong-Pil;XU, Bo;CHOI, Byoung-He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3-162
    • /
    • 2018
  • Lespedeza maximowiczii C. K. Schneid. (Fabaceae) is a deciduous shrub which is known to be distributed in the temperate forests of China, Korea and on Tsushima Island of Japan. Due to severe morphological variations within species, numerous examinations have been conducted for Korean L. maximowiczii. However, the morphology of Chinese plants has not been studied as thoroughly, despite doubts about their taxonomy. To clarify this taxonomic issue, we investigated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undertook a Bayesian clustering analysis with microsatellite markers. The morphological and genetic traits of Chinese individuals varied considerably from those of typical L. maximowiczii growing in Korea. For example, petals of the former had a different shape and bore long claws, while the calyx lobes were diverged above the midd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eaflet was pubescent. Their terete buds and spirally arranged bud scales were distinct from those within the series/section Heterolespedeza, which includes L. maximowiczii. Our Bayesian clustering analysis additionally included L. buergeri as an outgroup. Tho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inese samples clustered into a lineage separated from L. maximowiczii (optimum cluster, K = 2), despite the fact that the latter is grouped into the same lineage with L. buergeri. Therefore, we treat those Chinese plants as a new species with the name L. pseudomaximowiczii.

조록싸리 종내분류군과 잡종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infraspecific taxa of Lespedeza maximowiczii and hybrids with related species)

  • 진동필;박종원;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0-318
    • /
    • 2019
  •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내에 많은 종내분류군들 및 근연분류군과의 잡종들이 기록되었지만,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이견이 있다. 본 연구는 조록싸리와 근연분류군간 잡종인 지리산싸리(L. chiisanensis), 진도싸리(L. patentibicolor) 및 조록싸리의 종내분류군인 털조록싸리(var. tomentella), 늦싸리(var. elongata), 삼색싸리(var. tricolor)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외부형태를 관찰하고 microsatellite를 이용하여 유전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털조록싸리와 늦싸리의 꽃과 잎의 형태는 조록싸리의 변이폭에 속했고, 유전적으로도 두 분류군이 조록싸리와 같이 묶였다. 삼색싸리는 꽃의 구조와 색에서 근연종인 L. buergeri와 유사한 반면 소엽 정단부와 소포엽의 형태는 조록싸리와 가까웠다. 유전적 구조에서도 삼색싸리의 개체들은 조록싸리와 L. buergeri의 계통이 혼합된 형태를 보이거나(K = 3), 독립되었다(K = 5). 잡종들의 경우, 지리산싸리의 꽃과 잎의 형태는 조록싸리와 구별되지 않는 반면, 진도싸리의 꽃 형질은 싸리(L. bicolor)의 변이폭에 속했는데, 유전적 계통도 각각 조록싸리와 싸리로 지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저자들은 털조록싸리와 늦싸리를 조록싸리의 품종, f. friebeana (Schindl.) D. P. Jin, J. W. Park & B. H. Choi로 처리하였는데, 이는 L. friebeana가 var. tomentella 보다 먼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삼색싸리는 독립종, L. tricolor (Nakai) D. P. Jin, J. W. Park & B. H. Choi 로 처리하였고, 지리산싸리는 조록싸리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한편 진도싸리는 싸리의 이명으로 판단된다.

포풀라류의 결정에 관한 연구(I) -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의 목부 및 수피종의 결정 (Study on the Crystals in the Populus spp.(I) - Crystals in the Woods and Barks of Populus maximowiczii and Populuss nigra × maximowiczii)

  • 이기영;김재경;김남훈;박완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17
    • /
    • 2000
  •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는 전형적인 다습심재(wetwood)로써, 심재 전체가 변재보다 높은 함수유를 나타냈다.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의 목부중에 존재하는 결정은 주로 심재중에서도 일부연룬을 따라 또는 착색얼룩을 따라 또는 국소에 집중하여, 수에 가까울수록 많았다. 또한 1연륜 내에서는 만재보다 조재에 많은 경향이 있었다. 심재에서의 결정은 전 종류의 세포에 존재하였으나, 대부분의 결정은 도관과 섬유상가도관에 존재하였다. 수피중에 있는 결정은 내수피에서 외수피까지 비교적 산재하여 존재했다. 양황철나무에서는 잎옹이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나 황철나무에서는 그 출현 빈도가 낮았다.

  • PDF

설악산 상천 계곡의 황철나무 (On the Populus maximowiczii Forest of Sangcheon Ravine, Mt. Seolag)

  • Yim, Yang-Jai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2호
    • /
    • pp.95-103
    • /
    • 1984
  • The Populus maximowiczii dominated forest of the Sangcheon ravine, Mt. Seolag, is distributed in the area with the conglemerates substrate, along the ravine stream from 170m to 550m in altitude. Toward the both slope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peak from the stream side, the zon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was recognized; P. maximowiczii forest of Pinus densiflora forest and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The pure community of P. maximowiczii with even more 80-98% in relative basal area (aspen basal area/basal area) was found in the ravine area from 360m to 420m in altitude, the optimal ranges in the species and community by two dimensional ordination with thermal and xeric cline axis. The species compete with Pinus densiflora, in the ravine stream side, and with deciduous broad leaved tree species such as Fraxinus rhynchophylla, Prunus sargentii, Lindera obtusiloba, in the mountain slope sides. On the other hand, the ravine vegetation, including the aspen forest, was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Pinus densiflora-Carpinus laxiflora, Pinus densiflora-Populus maximowiczii, jessoensis, Acer mono-Fraxinus rhynchophylla, Carpinus laxiflora-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Quercus ariena, Quercus ariena, Quercus variabilis-Stephanandra incisa, Picrasma quassioides-Celtis sinensis, Betula davurica-Zanthoxylum schinifolium and Styrax obassia-Lindera obtusiloba association.

  • PDF

버드나무과(科) 버드나무속(屬) 쪽버들의 격리분포(隔離分布) 및 분류학적(分類學的) 고찰(考察) (Disjunct Distribution and Taxonomical Studies of Salix maximowiczii Kom. on the Genus Salix (Salicaceae))

  • 박완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61-71
    • /
    • 1995
  • 한국산(韓國産) 쪽버들의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형태학적(形態學的), 화분학적(花粉學的)으로 재검토하였으며, 어떠한 일정한 지역에만 분포(分布)하고 있는 쪽버들의 격리분포(隔離分布) 특성에 대한 조사를 행하였다. 1. 쪽버들의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인 특성(特性)을 그림과 함께 명확히 하였다. 2. 쪽버들의 화분학적(花粉學的) 특성(特性)은 하나의 명확한 종(種)임을 입증하였다. 3. 쪽버들은 강원도(江原道) 설악산의 백담계곡 일부 지역과 한계령의 양쪽 계곡 지역에 격리분포(隔離分布)하고 있으며, 북한의 성북(成北) 경성군(鏡城郡)과 성남(成南) 신흥군(新興郡) 및 풍산군豊山郡)의 일부 고지대(高地帶)의 계곡 지역에만 분포하고 있다. 4. 쪽버들의 격리분포(隔離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環境因子)로는 수환경(水環境)의 지배가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5. 쪽버들의 생태학적(生態學的), 분류학적(分類學的) 정보들은 사방수종(砂防樹種), 목재생산(木材生産), 귀지공간조성(歸地空間造成) 등과 같은 조림(造林)에 관한 실제적인 적용에 이용될 수 있다.

  • PDF

두메오리나무 잎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Alnus Maximowiczii Call)

  • 안경환;도상학;정동욱;김준식;조수민;이민원
    • 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1-46
    • /
    • 2000
  • Phytochemical examination of the leaves of Alnus maximowiczii Call, one of the indigenous Alnus species grows in Korea, has led to the isolation of three flavonoids. Structure of these flavonoids were elucidated as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1) ,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ide (2) and myricetin-3-O-$\alpha$-L-rhamnopyranoside (3) respectively by means of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evidences.

  • PDF

The Rate of Soil Respiration in Populus maximowiczii Stand on Volcano Mt. Usu, Northern Japan

  • Moon, Hyun-Shik;Masahiro, Haruk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2호
    • /
    • pp.87-91
    • /
    • 2001
  • The response of respiration rates of root, Ao layer and mineral soil to varying environmental factors was studied in Popuius maximowiczii stand (25-year-ol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1997. Soil temperature showed a pronounced seasonal course, in contrast to soil moisture. The mineral soil respiration was high in August, and root and Ao layer respiration, were high in July. An exponential equation best describ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il temperature and mineral soil respiration, and total soil respiration (r=0.95 and 0.92, p<0.001), respectively. In P. maximowiczii stand, soil respiration rates were reduced by about 19% after removal of the Ao layer, and by about 30% after removal of living root. Therefore, mineral soil respiration seemed to contribute gretly to the total soil respiration (50%).

  • PDF

건조방법에 따른 께묵뿌리 추출물의 색도변화 (Changes in Color Intensity of Extract from Hololeion Maximowiczii Root by Drying Methods)

  • 최동연;도재호;이광승;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17-420
    • /
    • 1993
  • 건조방법을 달리한 께묵(Hololeion maximowiczii) 뿌리의 색도변화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Hunter value에서 분말의 경우에는 HADB가 더 진한 편이었으나 용액의 경우에는 HADB가 제일 연한 색깔을 띄었다. 수용액 색소의 420nm에서의 흡광도는 FD group이, 자외부에서 흡광도는 HADB group이 가장 강하였다. 께묵의 색소는 분말상태에서보다 용액상태에서 더 불안정하였으며, 색소분해에 대한 활성화에너지는$(90{\sim}100^{\circ}C)$ 약 20.9kcal/mole이었다.

  • PDF

Populus nigra×P. maximowiczii F1의 삽수직경(揷穗直徑)이 활착(活着)과 수고생장(樹高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Cutting Diameter on Survival and Height Growth in Populus nigra×P. maximowiczii F1 Clones)

  • 노의래;안진권;김영모;이상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57-62
    • /
    • 1983
  • Populus nigra${\times}$P. maximowiczii의 적정삽수(適正揷穗) 굵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삽수직경별(揷穗直徑別) Clone별(別) 활착률(活着率)과 수고생장(樹高生長)을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활착률(活着率) 80% 이상(以上)을 기준(基準)할 때 삽수(揷穗)굵기는 최소(最小) 8mm 이상(以上)이어야 하며 수고생장(樹高生長)과의 관계(關係)는 삽목(揷木) 후(後) 2개월(個月)까지는 삽수직경(揷穗直徑)이 클수록 수고(樹高)도 커지나 이러한 효과(効果)는 2개월(個月) 이후(以後) 즉(即) 7월(月)부터 점차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삽수(揷樹)의 굵기가 13mm 이상(以上)되면 그 이하(以下)의 삽수(揷穗)보다도 현격(懸隔)히 활착률(活着率)(92.7%)이 높아지며 수고생장(樹高生長)도 좋아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일일수고생장(日日樹高生長)은 8월중(月中)에 최고점(最高點)에 달(達)했으며 이후(以後) 점차 감소(減少)하면서 10월(月) 상순(上旬)에는 거의 정지(停止)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