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ing ag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가재 Cambaroides similis 자연 개체군의 성장률, 암수비율, 연령구조 및 교미시기 (Growth Rate, Sex Ratio, Age Structure and Mating Period of Korean Crayfish Cambaroides similis Natural population)

  • 정재호;김민섭;안동하;민기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22
    • /
    • 2009
  • 한국산 가재 Cambaroides similis 자연 개체군의 생활사를 밝히기 위해 2006년 3월부터 10월까지 약 8개월간 서울소재 관악산에 서식하는 가재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포획 및 재포획 방법을 사용하여 총 551개체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관악산의 가재 개체군은 체장 빈도 분포를 통해 4개의 연령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며, 암수 성비는 거의 동일하였다. 성장률은 수은에 크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6월에 확인된 어린 유생들은 8월에 성체로 성장하였다. 논란이 있었던 한국산 가재의 교미시기는 늦은 가을부터 시작됨을 확인하였다.

종모돈의 정액성상과 번식성적에 미치는 품종, 연령, 계절, 산차 및 교배방법의 영향 (Effect of Breed, Age, Season, Parity and Mating Type on Boar Semen Characteristics and Fertilizing Capacity)

  • 전용민;윤희진;이종관;손영곤;강권;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9-216
    • /
    • 2000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다비 AI 센타에서 사육되는 종모돈 199두와 종빈돈 4,181두를 가지고 종모돈의 정액생산과 번식성적에 미치는 품종, 연령, 계절, 산차 및 교배방법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바, 그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액량은 Landrace (L) 종이 266.8 $m\ell$로 제일 많았고, Yorkshire (Y) 종이 그 다음으로 많았으며, Duroc (D) 종이 제일 적었다. 정자 운동성은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정자농도는 Landrace 종이 4.7$\times$109 sperm/$m\ell$로 제일 낮았고, 정액량이 제일적은 Duroc 종이 5.7$\times$$10^{9}$ sperm/$m\ell$ 로 제일 높았다. 종모돈의 연령에 따른 정액량은 2세 때가 213.3 $m\ell$로 제일 많았고, 4, 3 그리고 l 세의 순서로 정액량이 감소하였다. 2. 종모돈의 계절에 따른 정액량은 겨울철이 228.6 $m\ell$로 제 일 많았고, 가을, 여름, 봄의 순서로 정액량이 감소하였다. 정자농도는 봄철이 5.9$\times$109 sperm/$m\ell$로 제일 높았으며, 여름, 겨울, 그리고 가을의 순서로 낮았다. 3. 교배방법에 따른 복당 생시체중은 품종간 처리구간에 차이점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복당 출생시 생존수에 있어서는 자연종부후 인공수정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9.5두로 제일 많았으며, 인공수정을 실시한 처리구에서는 9.2두, 그리고 자연종부를 실시한 처리구에서는 8.9두로 처리구간에 유의성 (P<0.01)이 인정되었다. 4. 교배그룹간에서는 L (우)$\times$Y (♂) 교배조합과 L (♀)$\times$L (♂) 교배조합이 Y (♀)$\times$ L (♂) 교배조합 Y (♀)$\times$Y (♂) 교배조합보다 복당 생시체중이 무거웠으며, 복당 출생시 생존 자돈수에 있어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연종부와 인공수정간에 복당 생시체중과 복당 출생시 생존자돈수는 유의차가 없었다. 5. 산차간에 있어서는 2~6 산차의 복당 생시체중과 복당 출생시 생존 자돈수가 각각 13.5 kg 과 9.5 두로 1산차와 7~9 산차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 PDF

Study on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Genotypes of Ducks under Village Condition

  • Jalil, M.A.;Ali, A.;Begum, J.;Islam, M.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192-195
    • /
    • 1997
  • Thirty adults Desi and Khaki Campbell ducks were distributed to 6 farmers of Chakcharpur village of Mymensingh district. These ducks were subjected 3 types of mating e.g. Desi ${\times}$ Desi, Khaki Campbell ${\times}$ Khaki Campbell and Khaki Campbell ${\times}$ Desi-having 10 ducks (male : female = 1 : 4) in each mating group. Each mating group was then divided into two having 5 ducks(male : female = 1 : 4) and distributed to 2 farmers. After collecting eggs from each mating category, these were hatched by broody hens from which a total of 90 day old ducklings, 30 from each genotype were raised from birth to 90 days after the onest of laying. Although the weight of the day old chicks were similar in all genotypes (40-43 g), body weight was the highest (p <0.01) for Khaki Campbell ${\times}$ Desi (1,543) before the onset of laying followed by Khaki Campbell (1,552 g) and Desi (1,448 g) ducks. Khaki Campbell attained maturity at an earlier (p < 0.01) age (147 days) followed by Khaki Campbell ${\times}$ Desi, (154 days) and Desi (161 days) ducks. Khaki Campbell laid maximum (p < 0.01) number of eggs (46) compared to Khaki Campbell ${\times}$ Desi, (30) and Desi (18) ducks 90 days after the onset of laying. However, eggs were heavier (p < 0.01) in Desi (61.9) ducks compared to other genotypes. Fertility and hatchability were also higher in Desi ducks than the other two genotypes. Mortality was also lover in Desi ducks (3.33%) followed by Khaki Campbell ${\times}$ Desi (6.66%) and Khaki Campbell (16.66%) ducks. The results presented here indicated the superiority of Desi ducks over the other two genotypes with respect to egg weight, fertility, hatchability and mortality under village condition. Pure and crossbreds, on the other hand, were heavier at sexual maturity at relatively younger age and laid more eggs.

실외 번식시설에서 여우의 번식 행동 (Breeding Behavior of Red Fox (Vulpes vulpes) in an Outdoor Breeding Facility)

  • 송동주;송병철;권준혁;신평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7-54
    • /
    • 2018
  • 발정기, 교배 기간 및 발정기를 포함하는 교미 중 붉은 여우 (Vulpes vulpes)의 행동을 실외 번식시설에서 환경 요인과 함께 조사하였다. 여우의 평균 교배 지속시간은 19.95분(n = 13, 범위 = 1.17-35.25분)이었다. 번식기는 1년 미만 여우의 경우, 3월 중순(60.0%)이었고, 1년 이상 여우는 2월 초순(56.6%)으로 나타났다. 교미 지속시간은 암 수컷 모두가 1세 이상 일 때 가장 길었고($24.4{\pm}11.08$분), 교배는 나이와는 관계없이 이루어졌다. 여우는 발정기를 시작한 후 2일 이내에 두 번 교배하고 두 마리의 수컷과 교배한 암컷의 임신율이 100%였다. 또한, 짝짓기 개체 간 연령이 1년 이상 된 경우 임신율이 87%로 가장 높았다. 여우는 야간보다는 주간 교미를 선호했고 대체로 맑은 날과 부분적으로 흐린 날의 10시부터 12시 사이에 교미를 했다. 수컷 여우는 다른 암컷과 최대 5번 교미했으며, 수컷의 교미 빈도가 높아질수록 교미 지속시간이 늘어났다. 교미에 대한 관심은 수컷은 3회, 암컷은 2회 교미 후 줄어들었다. 수컷은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교미 사이에 최소 4시간 46분의 휴식이 필요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여우의 복원에 있어 개체 확보를 위한 번식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기본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Modulations during Oviposition and Egg laying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 Singh, Tribhuwan;Saratchandra, Beera;Raj, H.S.Phan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2호
    • /
    • pp.115-123
    • /
    • 2003
  • Oviposition and egg laying is an important physiological and behavioural event in the life cycl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Oviposition and egg laying is dependent on a number of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viz., neural, hormonal, environmental, physical, behavioral etc for the perpetuation of population. Although, the virgin female moths have fully developed embryos but active egg laying begins under the influence of mating which provides essential copulation stimulus for oviposition. After mating drastic biochemical changes occurred that incites egg laying under the influence of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s. Weight of pupae as well as larval density has significant role on oviposition and egg laying behaviour in the silkworm wherein high pupal weight and inadequate rearing space affects not only the biology, morphology and physiology but also the oviposition and egg laying. Surface topography, plane of inclination, mating length, age of male moth, temperature and photoperiod etc has significant effect on reproductive physiology of silkworm. An attempt has been made in this review article to elucidate briefly the works carried out on mating behaviour, direct and indirect copulation stimulus, vitellogenesis,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besides effect of weight of pupae and or pharate adult and larval density on oviposition and egg laying behavior in the silkworm, B. mori and its significance in silkworm seed production.

돼지의 교배조합·도체등급 및 출하일령이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ing System, Carcass Grade and Age at Marketing on Carcass Characteristics of Pigs)

  • 김계웅;김석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69-74
    • /
    • 2009
  • 본 연구는 도체 등급판정을 받은 비육돈 LY 및 LYD 교잡종 중 암퇘지 128두와 거세돈 528두, 총 656 두를 공시돈으로 교배조합, 도체등급 및 출하일령별 도체 및 육질특성을 조사하여 고급돈육생산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교배조합별 도체특성의 변화에서 근내 지방도와 보수력은 두 교배조합 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으나, 도체중, 등지방 두께, 육색, 도체등급 및 출하일령은 두 교배조합 간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등급별 도체특성 분석에서 도체중은 도체등급이 떨어질수록 유의하게(p<0.05) 무거웠다. 등지방 두께는 도체등급이 높을수록 유의하게(p<0.05) 얇은 성적을 나타났으나, 육색도에서는 도체등급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보수력은 도체등급 간에 유의한 차이(p<0.05)를 보인 반면에, 출하일령은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출하일령별 도체특성에서 도체중과 등지방 두께는 출하일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일령이 많을수록 무겁게 나타났으나, 육색은 일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내 지방도는 출하일령이 많을수록 유의하게(p<0.05) 높았으나, 도체등급과 보수력에서는 출하일령이 적을수록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A 등급 출현율은 출하일령이 높은 돈군보다 166~170 일령 돈군에서 5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체형질 간의 상관계수 추정에서 도체중은 등지방 두께와 정(+)의 중등 상관이었으나, 도체등급과는 부(-)의 상관이 존재하였으며, 등지방 두께와 도체등급 간에는 부(-) 상관, 육색과 보수력 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 그리고 근내 지방도와 보수력은 정(+)의 중등 상관이 각각 존재하였다.

담배나방의 우화, 교미 및 산란의 행동과 일일리듬 (Behavior and Circadian Rhythm of Emergence, Copulation and Oviposition in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othis assulta Guenee)

  • 조점래;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3-110
    • /
    • 1988
  • 사육실조건($25pm$$1^{\circ}C$,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60%)에서 조사된 담배나방(Heliothis assclta Gueness)의 우화, 교미 및 산란의 행동과 일일리듬은 다음과 같다. 불꺼진 후 3시나 이내에 75% 이상이 우화하였으며, 우화된 날개확장과 경화까지는 약 33분이 소요되었다. 성충 수컷은 교미때까지 촉각 운동, 날개 진동, hairpencils확장 , 암컷 산란관 두드림등 일련의 행동을 보였으나, 암컷은 복부끝의 수죽과 이완, 날개 진동 등의 다소 단순한 행동을 보였다. 모든 교미는 암기간 전반기에 주로 일어났으며, 불꺼진 2시간 전후에서 최대 피크를 보였으나, 처녀 암컷의 경우 연령증가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미율은 24시간된 미교미암컷에 가장 높았으며,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되는데 같은 경향이 미교미수컷에서도 나타났다. 교미지속기단은 평균 $77\pm$14분이었다. 산란 역시 암기간 전체를 통하여 일어났지만, 불꺼진 후 2시간 이내에 최적 피크를 보였으며, 산란수는 교미후 3일에서 가장 많았다. 교미율, 산란수, 수명은 성비에 따라 달랐으며, 교미한 성충의 수명이 교미하지 않은 것보다 더 짧았다.

  • PDF

Age and weight at first mating affects plasma leptin concentration but no effect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gilts

  • Lee, SuHyup;Hosseindoust, Abdolreza;Choi, YoHan;Kim, MinJu;Kim, KwangYeol;Lee, JunHyung;Kim, YoungHwa;Chae, ByungJ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5호
    • /
    • pp.285-293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best mating age of gilts at the first parity. Gilts (n = 86) were divided into nine groups in a factorial arrangement with three Ages (AG1, ${\leq}220d$; AG2, 220 to 240 d; AG3, $240{\leq}d$), and three weights (WT1 ${\leq}140kg$; WT2, 140 to 149 kg; WT3, $150{\leq}kg$). A higher body weight gain in AG2 sows during gestation. Sows in AG2 group showed a higher body weight gain at first parity and backfat gain in the parity 2 and 3 during gestation. A greater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was observed in AG1 sows compared with AG3 sows at weaning in the second parity. Sows in WT1 grou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lasma IGF-1 at breeding and weaning time in parity 2. Sows in AG3 group showed a higher plasma leptin at breeding, farrowing, and weaning in the parity 1, and at farrowing in parity 2. Sows in WT3 group showed a higher plasma leptin at breeding, farrowing, and weaning in the parities 1 and 2. Considering the insignificant longevity results, the most efficient time for gilts insemination can be at 220 d when their body weight is 140 kg or lower.

CARCASS QUALITY TRAITS AMONG CROSSES OF ANGUS, SANTA GERTRUDIS AND GELBVIEH BEEF CATTLE

  • Khan, R.N.;Benyshek, L.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219-223
    • /
    • 1993
  • A total of 333 calves were evaluated for carcass quality traits including: dressing percentage (DP), yield grade (YG), marbling score (MS), fat thickness (FT) and percent body fat (PF). Mating types included straightbred Angus (A) and Santa Gertrudis (S), the reciprocal crosses of these two breeds and Gelbvieh (G) ${\times}$ Angus. The year of birth, slaughter group and dam breed were found to have greatly influenced DP. Mating types had no effect on DP. For YG, sire breed, sire within sire breed and slaughter group were important. Crossbreds of A ${\times}$ S had the highest YG followed by A purebreds. Crossbreds of G ${\times}$ A had the lowest YG. Sire breed, dam breed and the slaughter group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MS. Sire breed, sire nested within sire breed and slaughter group were found to have greatly influenced the FT. Sires and dams of A produced the greatest FT while sires of G produced the lowest. Slaughter group 2 (slaughtered at 433 days of age) had a greater FT than group 1 (slaughtered at 393 days of age). For PF, sire breed, sire within sire breed, dam breed and slaughter group had significant effects. A purebreds had the largest PF while S purebreds and G ${\times}$ A crosses had the least.

Milk yield and kit development of four breeds of rabbit in Ibadan, Nigeria

  • Jimoh, Olatunji Abubakar;Ewuola, Emmanuel Olabis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2호
    • /
    • pp.25.1-25.7
    • /
    • 2017
  • Background: Rabbit breeding with high performance imported ones would be of benefit for genetic diversity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 domestic rabbit breeds. The rearing of more productive rabbit breeds could be pathway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Maternal nutritional status exert a great influence on reproductive functions of does, which may expand from conception, through gestation and parturition and development of kits to puberty. Methods: Four breeds of rabbit were evaluated for their parturition, weaning and pubertal differences among the rabbit population in Ibadan, Nigeria. The breed consist of Fauve De Bourgogne (FDB), Chinchilla (CHA), British Spot (BS) and New Zealand White (NZW) rabbits. A total of 60 bucks and 360 does consisting of 15 bucks and 90 does per breed were mated in 6 mating cycles, three each of natural mating and artificial insemination. All does were synchronized for estrus with 20 IU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48 h prior to mating. The does after parturition were assessed for milk yield (g) and kit survival rate (%) till weaning, weight changes of kits from birth to puberty. At puberty, the pubertal age (days) and weight (g) of the offspring were assessed. Result: Results obtained reveals that British Spot doe had highest milk yield among the breeds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growth of kit and weight at weaning in British Spot rabbits. Survival rates of Chinchilla kits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Fauve de Bourgogne, British Spot and New Zealand White kits. Puberty attainment of the rabbits indicates that British spot does and Fauve de Bourgogne bucks are early maturing. Conclusion: Chinchilla shows high kit survivability and British spot has highest milk yield among the four breeds of rabb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