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experiences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직관의 특징에 의한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by the Characteristics of Intuition of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 이대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7-215
    • /
    • 2010
  • 직관적 추론 과정을 바탕으로 하는 수학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직관의 특징이 수학 학습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직관의 특징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가를 자체 제작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학생들은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여러 가지 직관의 특징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 결과는 학생들의 직관적이고 일상적인 경험으로 형성된 지식이 직관의 특징에 의해 수학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교현장실습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 (Effect of teaching practicum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changes about teacher's knowledge)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4호
    • /
    • pp.351-363
    • /
    • 2015
  • In this study, 45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re surveyed about how the perception of knowledge through teaching practicum have changed and how the knowledge learned in college and teaching practicum helped to format teachers' knowledge and analyzed survey's resul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elt the knowledge for understanding students were needed the most and considered the experiences from teaching practicum were more useful than the knowledge learned from college classes. However, they had low appreciations on connecting knowledge on learned contents with real-life or other subjects and on necessity of knowledge of using various learning tools or mathematical materials in class. Also, they have answered the knowledges from college classes and teaching practicum were useless in those areas. Especially, they pointed out that guidance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um were insufficient in instructing. Therefore, we suggest the following two to improve th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rough teaching practicum. First, college and secondary school cooperating programs such as class-observation and student-mentor system connected with local society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special re-training program for guidance teachers of teaching practicum is needed.

What Feminist Mathematics Education tells to South Korea?

  • Kim, Rin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245-259
    • /
    • 2019
  • I examine the discussions of studies related to feminist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I attempt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s on feminist mathematics: What is the epistemological background of feminist mathematics education? How is feminist mathematics education defined and implemented? What does feminist mathematics education suggest in South Korea's mathematics curriculum? From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s, I found that feminist mathematics education reflects not just the rights of female's rights but also a paradigm shift in epistemology of mathematics and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regard, feminist mathematics questions the existing mathematics education related to the female students who were marginalized in the composition and delivery of mathematics. Feminist mathematics education points out that in the course of the transfer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schools, female students understand unilateral information procedurally without understanding the concept. Mathematics educators should consider alternative curricula that reflect the views of female students regarding the nature of mathematics.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ceive equal mathematics education in a school regardless of their gender. In this case, equal mathematics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methods that are suitable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existing mathematics content and its teaching methods were designed based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male students, which made them relatively difficult for female students to understand.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Non-Textual Elements i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 Lee, Ji-Eun;Ligocki, Daniell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181-217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how pre-service teachers (PSTs) view, interpret, and utilize non-textual elements (NTEs) in mathematics curriculum. Fifty-two PSTs, who enrolled in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at a Midwestern university in the U.S., engaged in a three-part task that consisted of evaluations and modifications of NTEs in the sample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We ascertain what PSTs consider to b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NTEs, how they define the primary goals of NTEs, and how they would work to modify or adapt existing NTEs with effective teaching in mind. By using the Curricular Noticing Framework, we can better understand how PSTs recognize opportunities within mathematics curriculum and gain a deeper understanding regarding how PSTs' prior experiences may affect their curricular-attending habits, which has consequences for their future teaching. Findings indicate that PSTs understand NTEs to be simply a support for tradi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ather than tools on their own. Also, they tend to prefer NTEs that are familiar to them. From our findings, we draw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ors who support PSTs'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NTEs.

뉴노멀(New Normal) 시대 대학수학교육에서의 과정중심 PBL 평가 - '인공지능을 위한 기초수학'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valuation in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 이상구;함윤미;이재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421-437
    • /
    • 2020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로 인한 비대면(Untact, 비접촉) 대학수학교육에서 적절하고 공정한 평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2020년 여름 S대학에서 진행한 도전학기에서 '인공지능을 위한 기초수학' 강좌를 운영하면서 평가의 공정성을 보장하면서도 교육의 양과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온라인과 오프라인 평가를 혼용한 과정중심 PBL(Problem/Project-Based Learning, 문제/프로젝트 기반학습) 평가를 전면적으로 도입하였다. 그 결과, 해당 강좌를 수강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예외 없이 관련 지식을 폭넓게 학습했음을 확인했으며, 학습자들로부터 언택트 시대에 보통의 온라인 강좌에 적용 가능한 이상적이고 공정하며, 합리적이고 동시에 효과적인 평가방법이라는 피드백을 받았다. 본 원고에서는 과정중심 PBL 평가 사례를 구체적으로 증빙과 함께 소개한다.

선분, 직선, 반직선의 학습 내용과 학습 계열 분석 (Contents and Sequences for Line Segments, Straight Lines, and Ray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and Textbooks)

  • 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635-652
    • /
    • 2023
  •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선'의 학습 내용 즉, 선분, 직선, 반직선 등의 학습 내용과 학습 계열을 분석하였다. 수학과 교육과정 및 수학 교과서에서 1차부터 7차까지, 그 이후 2007 개정, 2009 개정, 2015 개정, 2022 개정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에 선분, 직선, 반직선을 도입하는 시기와 그 표현을 통하여 학습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 학습 순서 및 활동 중점을 통하여 학습 계열을 분석하였다. 학습 내용의 도입 시기와 정의 방식의 변화 분석에서 본다면, 선분, 직선, 반직선을 주로 2차원 평면도형의 그 구성 요소로서 즉, 다각형의 변이나 각의 변으로서 다루어왔지만, 수학과 교과서에 비추어 볼 때 기초 도형으로서 선분, 직선, 반직선이라는 다양한 선을 탐색할 기회가 부족하였다. 둘째, 선분, 직선, 반직선의 정의에서 점과 선의 관계 설정 및 선들 사이의 관계 설정에 따라 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며 이들을 비교하여 그 장단점을 교수학습 관련 연구 및 근거들이 요구된다. 셋째, 선분에서 곧은 선(최단거리)의 아이디어와 직선과 반직선에서 끝없이 나아가는 선(무한성)의 아이디어는 수학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로서, 생활 주변의 여러 사물에서 선의 개념을 형성하고 점차 구체적인 선을 이상화하여 유클리드 기하의 도형으로 나아가도록 상상하고 경험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모델링 문제 만들기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Modeling Problem Creation Activities)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41-162
    • /
    • 2023
  • 최근 학교수학에서는 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초·중·고등학교 또는 현직 교사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미래의 교수자인 예비교사들에게 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들을 적용하는 것은 제한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학창시절 경험들을 살펴보고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모둠 활동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문제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여 그에 대한 결과물들과 그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초·중·고등학교 학창시절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대한 경험이 매우 적었으며,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수학적 모델링 문제를 만드는 것에 부족한 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후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와 교수자의 입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의 해석과 적용: 2015 개정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s mathematical competency: A case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은현;김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89-403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이 어떻게 해석, 적용되고 있는지 교과서 분석을 통해 탐구하였다. 중학교 1-3학년 10종 30권 교과서의 191개 과제를 정보처리 능력 하위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하위요소별, 교과서별로 차이가 컸으며 공통적으로 '공학적 도구 및 교구 활용'에 매우 치우쳐 있었다. 과제 유형별로도 해석과 적용 방법의 다양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처리 능력 함양을 위한 개선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e-Mathematics Integration Program on Mathematical Attitude and Money Calcula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Yun, Suk Young;Nam, Yu Jung;Kwon, Yong Il;Choi, Byung 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1-332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concept of 'money' in the numbers and operations domain is a fundamentally necessary domain of economic lif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horticulture-mathematics integration program on mathematical attitude and money calculat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s: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mathematical attitude and money calcula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 special school in the city of D, Republic of Korea, with 12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12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August 27 to October 29, 2019. Result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three items of mathematical attitude for the control group,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ook part in the horticulture-mathematics integration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three items, such as self-concept about the subject (p = .003), attitude toward the subject (p = .004), and study habit related to the subject (p = .012). The horticulture-mathematics integr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the mathematics curriculum, used plants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to provide students with positive experiences in mathematics. These included the sense of closeness, curiosity, interest, attention, and enjoyment, leading to positive changes in mathematical attitude. In terms of money calculating ability, both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cross the three items,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degrees of increase, 15.0 or more, in the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tilizing horticultural materials as a part of purchase learning programs with elements of money calculation chapter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could lead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bility in money calculation. These positive changes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high degrees of interest in horticulture among students, which led to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enabled the simple and repeated purchase activities in the program to generate positive changes in the money calculation ability of the students.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 따른 한국과 싱가포르의 통계영역 과제 분석: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Analyzing Tasks in the Statistics Area of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Modeling: Focusing on 7th Grade)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83-308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통계영역에 제시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나라의 학생들이 각각 접할 학습 내용과 학습 경험의 기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통계영역의 교과서 개발 및 보완 측면에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교과서 과제는 수학적 모델링 과정 반영, 데이터 제공 유형, 표현 형식, 문제 상황 맥락, 수학적 활동의 5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싱가포르 교과서 모두 수학적 결론을 구하는 과제와 과제 해결에 필요한 데이터만 제공되는 과제, 표나 그림으로 표현되는 과제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한국과 싱가포르 교과서에 반영된 실세계 맥락과 수학적 활동의 경우는 서로 비중에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교과서 과제 개발에 대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균형 있는 경험 제공과 다양한 표현 형식의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지적 수준을 높이며, 의미 있는 수학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또는 학습동기를 위해 맥락적 현실성이 높은 과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