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ticatory function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8초

금속 도재 수복물을 이용한 청년기 법랑질 이형성증 환자의 수복증례 (Oral rehabilitation of a young adult with amelogenesis imperfect using metal-ceramic restoration: a clinical report)

  • 김홍준;이재훈;한동후;문홍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0-215
    • /
    • 2012
  • 전반적인 치아변색과 치아마모가 심한 환자들이 심미를 위해 전치부 치료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법랑질 이형성증에 대해 의심해 보아야 하며 임상 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인을 해야 한다. 법랑질 이형성증으로 판단된 경우 단지 심미적 목적 하에 전치부 치료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증례는 법랑질 이형성증으로 진단된 청년기 환자에서 대부분의 치아를 금속 도재 수복물로 치료하였다. 전반적인 변색 및 마모, 치관 파절이 있었으며, 좌측 전치부와 구치부에 교차교합이 있었다. 심미적, 기능적인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치아를 수복하였다. 전치부의 교차교합은 해소하였고, 구치부의 교차교합은 해소하지 않은 채로 진행하였다. 수복 이후 환자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하였으며, 3개월간의 임상관찰에서 특이할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 실패 환자에서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전환한 치료 증례 (A conversion to implant overdenture in failed fixed implant prosthesis of edentulous maxilla: A case report)

  • 김준수;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93-400
    • /
    • 2016
  •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과 가철성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를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이다. 임플란트 보철물 선택 시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이루어 지지 않고 치료방향을 선택하게 되면 생역학적, 기능적 및 심미적으로 불리한 치료결과를 낳고 장기적인 예후 또한 보장할 수 없다. 본 증례의 환자는 개인치과의원에서 상악 완전 무치악에 8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고정성 보철물로 치료하였으나 상악 보철물의 실패로 인해 재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환자의 요청으로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 할 수 없었고 구강위생관리 문제 해결, 기존 임플란트의 활용 및 연결 고정을 통한 안정화,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바를 이용한 가철성 피개의치로 치료를 결정하였다. 심미성과 저작기능, 구강위생관리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불량한 식립 방향을 갖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하악 Milled Bar 임플란트 피개의치수복 증례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ttachment on implants with unfavorable fixture angulation: A case report)

  • 서용호;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01-406
    • /
    • 2016
  •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전통적인 총의치에 비해 높은 유지력 및 저작능력, 환자의 만족도를 보인다. 특히 골흡수가 심한 하악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서는 우선되는 치료방법으로 고려된다.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한 attachment에는 임플란트간 연결된 bar type과 연결되어있지 않은 solitary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solitary type의 경우 임플란트간의 평행관계가 중요하며, 임플란트간의 평행관계가 불량한 경우 attachment의 마모 및 유지력 감소로 유지관리를 내원횟수가 증가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평행하지 못한 두 개의 하악 임플란트 식립 환자에서 milled bar를 이용하여 제작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과 임플란트 시술 전·후의 구강보건행동 및 치료만족도 (Treatment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he before and after dental implanting treatment)

  • 김정숙;박지영;백지민;이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087-1094
    • /
    • 2013
  • Objectives : In this study, for before/after dental implant surgery, our aim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based on the decision of the treatment by measuring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and finding out the intention to revisit a hospital and also by recommendation. Methods : We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a cross-tabulations, paired t-test and a correlation analysis of 146 data who had visited at 6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located in Daegu for dental implant surgery, with SPSS (PASW 18.0 for Windows, SPSS Inc, USA)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before/after dental implant surgery. Results : The satisfaction related to before/after dental implant surgery of oral health was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 masticatory,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the satisfaction towards the treatment, the intention to revisit a hospital and also by recommendation. Independent variables explained the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before/after dental implant surgery as 19.1% and indicated a significantly high value in general. Conclusions : The satisfaction was higher on satisfactory of the postoperative treatment than on satisfactory of the preoperative treatment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refore, the dental medical team should take into account dental implanting as a way which improves the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related with oral health and have continuous managements and careful concerns.

외배엽 이형성증 어린이의 구강 회복: 증례보고 (ALTERNATIVE ORAL REHABILITATION OF A CHILD WITH ECTODERMAL DYSPLASIA: A CASE REPORT)

  • 이은경;김지연;김신;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27
    • /
    • 2017
  • 본 증례에서와 같이 외배엽 이형성증 환자에서는 획일화된 치료 방법은 없다. 술자 입장에서는 기능적 또는 형태적으로 완벽한 장치가 아니라 할지라도, 외배엽 이형성증의 무치악 환아에게는 심미적 요구가 만족됨으로써 자존감을 드높일 수 있는 치료가 될 수 있다. 특히 외배엽 이형성증 환아는 어린 나이에 의치 장착을 시작하기 때문에 환자의 나이와 구강상태, 심미적인 요구 수준, 저작 방법 등 여러가지를 고려한 개별적 맞춤화 과정을 통해 치료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자의 성장에 맞춰 장치를 교환해주며 타 과와의 활발한 교류로 최선의 치료를 해주는 것이 추천되며, 술자와 환자 및 환자 보호자간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 치료 방법을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좋다.

Shell teeth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SHELL TEETH UNDER GENERAL ANESTHESIA: A CASE REPORT)

  • 장은정;이형직;김지연;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35
    • /
    • 2018
  •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Shell teeth에 이환된 소아 환자를 전신마취 하에 치료하였다. 임상검사시 다수 치아의 치관 파괴와 치수 노출 및 상악 유전치 잔존치근이 관찰되었다. 방사선검사상 전반적인 유치열에서 정상보다 큰 크기의 치수강과 넓은 치근관 및 얇은 경조직 층이 존재했으며 발생중인 영구치 치배의 형태이상이 관찰되었다. 환자의 언니와 아버지를 포함한 부계 가족 구성원 일부에서 상아질형성부전증 병력이 조사되었다. 치료시 수복이 불가능한 치아는 발거하였고 보존 가능한 치아는 치수치료 및 기성금속관, 복합레진 수복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 환자의 통증이 감소하였고 저작능력이 회복되었다. 주기적인 내원 및 경과관찰이 요구된다.

측두하악장애의 진단 및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최영찬;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19-328
    • /
    • 2009
  • 측두하악장애(TMD)는 측두하악관절, 저작근 및 주변 구조물과 관련된 많은 임상적 문제들을 포괄하는 집합적인 용어로 정의되어 왔다. 1934년 이비인후과의사인 Costen이 턱 내측과 주변부의 통증 및 관련된 귀 증상이 교합의 변화로 개선되었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간한 이후, 턱관절장애의 진단과 치료는 교합이라는 개념 안에 속해 있었으나, 이에 대한 대부분의 최근 저서들은 교합장애를 더 이상 그 범주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측두하악장애 영역에서 교합장애를 배제시키려는 이러한 경향에도 불구하고 측두하악장애와 교합치료와의 유대는 여전히 강력하다. 현재 측두하악장애의 병인에 관한 가장 대중적인 이론들은 사회심리생물학적 모형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따라서, 향후의 치료방식들은 관절 및 근육 통증의 병태생리학적 과정뿐만 아니라, 만성 통증의 사회심리적 측면들까지도 그 대상으로 해야 할 것이다.

광범위 종양절제술 후 발생한 하악 결손의 재건 : 결손부위에 따른 비골 유리 피판의 다양한 디자인 (Reconstruction of Mandible Defect after Tumor Ablation Surgery : Versatility of Fibular Free Flap Design)

  • 설철환;이영대;탁관철;유대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0-195
    • /
    • 2005
  • Background and Objectives: Fibula is the flap of choice for reconstruction of wide mandible defects after tumor ablation surgery. In mandible reconstruction, restoring the mandible frame to provide mandibular contour and dental arch while restoring masticatory function are important. Even though vascularized fibula can be osteotomized freely, proper design and flap insetting is not easy because of its three dimensional structure and difference in design according to the defect sites. We reviewed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le reconstruction with fibular flaps according to the defect sites and suggest proper modification methods of fibular flap according to the various defects sites after tumor ablation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consecutive mandible reconstruction with fibular free flaps were performed for defects after tumor ablation surgery.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mandibular defect(Group 1 : defect on central segment including symphysis, Group 2 : defect on lateral segment(with or without central segment) confined to body, Group 3 : defect on body and ascending ramus that does not include the condyle, Group 4 : defect including the condyle). Results: We suggest different modification methods of fibular free flap for each patient group. Group 1, 3 ; contour by using multiple closing wedge osteotomy. Group 2 ; single or double barrel reconstruction without wedge osteotomy. Group 4 ; contour using single or multiple wedge osteotomy and condylar reconstruction with costochondral graft. Conclusion: Fibular free flaps can be contoured to any desired shape after multiple osteotomies to restore various mandibular defects. It is a reliable and versatile method for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efects after tumor ablation surgery.

Comparison on the Effects of Masseter Muscle Tension on Restricted Movement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Bae, Young Sook;Park, Yong Nam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75-47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masseter muscle tension according to the levels of restricted movement and pain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TMJ), thereby verifying the fact that excessive masseter muscle tension can be a cause for restricted movement and pain in the TMJ.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1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feel uncomfortable with their masticatory function on the preferred chewing side. The subjects were measured in terms of the range of motion (ROM) and deviation of the TMJ and the degree of pain in the affected region. The ROM and deviation of the TMJ were measured using the Global Posture System(GPS) after instructing each subject to open his/her mouth to the fullest and taking photos of the subject with a digital camera. The tension of the masseter muscle was measured with a Pressure Threshold Meter(PTM). After the measurements, in order to compare the ROM of the TMJ,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ROM of above 35mm and below 35mm. For the deviation and pain, based on the average of total subj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above and below average. Thereafter, the levels of masseter muscle tension were compared between each pair of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each variable was compared between the respective two groups, in terms of the deviation, the pressure pain threshold(PPT) of the masseter muscle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However, the ROM and pai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sequently, masseter muscle tension may cause restricted movement in the TMJ. In particular, the deviation and tension in the masseter muscle is considered to be a factor that causes deviation in the TMJ.

유치악자와 총의치 장착자의 저작운동시 교근과 측두근의 근할성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E MASSETER AND ANTERIOR TEMPORAL MUSCLES DURING MASTICATORY FUNCTION OF SUBJECTS WITH NATURAL TEETH AND COMPLETE DENTURE WEARERS)

  • 최승현;최부병;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3-71
    • /
    • 199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uscular activity of the complete denture wearers compare with subjects with natural teeth. For the study, 10 subjects with natural dentition and 18 upper and lower complete denture wearers selected and the Bio-electric Processor EM2(Myo-tronics Reaserch, Inc., U.S.A.) with the surface electrodes was used to record electromyographic activity from the right and left middle of masseter and anterior temporal muscles of each subject during mandibular postural rest position, tapping of teeth from postural rest position, maximal clench, and right and left gum and raw carrow chewing. Th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mandibular postural rest position, the denture wearers produces high muscular activity in contrast to natural objects(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tate of denture removal and insertion, and the muscle activity of the anterior temporal muscle was high than the middle of masseter muscle in natural objects and denture wearers. 2. In tapping of tee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between natural objects and the state of denture removal of denture wearers. 3. In maximal clench, there was markedly lower denture wearers than natural objects in muscle activity, and the ratio of mean voltages was about 36 percentages. 4. In gum and raw carrow chewing, the activity was lower than natural object, the ratio was about 59 percentages. 5. In chewing, the mean voltages of the middle of masster muscle on the chewing side was highest, followed by the anterior temporal on the chewing side, the anterior temporal and masster muscles on the non-chewing s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