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ter curv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4초

이봉분포 마스터커브를 이용한 SA508 Gr. 3 원자로용기강의 파괴인성 평가 (Evaluation of Fracture Toughness for SA508 Gr. 3 Reactor Pressure Vessel Steel Using Bimodal Master Curve Approach)

  • 김종민;김민철;이봉상
    •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60-66
    • /
    • 2017
  • The standard master curve (MC) approach has the major limitation because it is only applicable to homogeneous datasets. In nature, materials are macroscopically inhomogeneous and involve scatter of fracture toughness data due to various deterministic material inhomogeneity and random inhomogeneity. RPV(reactor pressure vessel) steel has different fracture toughness with varying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due to cooling rate in manufacturing process; deterministic inhomogeneity. On the other hand, reference temperature, $T_0$, used in the evaluation of fracture toughness is acting as a random parameter in the evaluation of welding region; random inhomogeneity. In the present paper, four regions, the surface, 1/8T, 1/4T and 1/2T, were considered for fracture toughness specimens of KSNP (Korean Standard Nuclear Plant) SA508 Gr. 3 steel to investigate deterministic material inhomogeneity and random inhomogeneity. Fracture toughness tests were carried out for four regions and three test temperatures in the transition region. Fracture toughness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bimodal master curve (BMC) approach which is applicable to the inhomogeneous material. The results of the bimodal master curve analyses were compared with that of conventional master curve analyses. As a result, the bimodal master approach considering inhomogeneous materials provides better description of scatter in fracture toughness data than conventional master curve analysi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T_0$ determined by two master curve approaches was insignificant.

폴리스티렌의 점탄성 계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iscoelastic Coefficient of Polystyrene)

  • 윤경환;유봉근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751-754
    • /
    • 2000
  • Stress relax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material properties to be used in the linear viscoelastic study. Master curve of the modulus of polystyrene were obtained by using the time-temperature superposition principle. Because Shyu and Tobolsky's tensile relaxation modulus master curve or Polystyrene material showed very large difference, in-house data were required to calculate the residual stresses in injection-molded products more accurately. Our own experimental data showed that the master curve Shyu's data should be shifted about two orders in material time coordinate.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Master Recession Curve Model

  • Lee, Jae-Hyoung;Oh, Nam-Sun;Lee, Hee-Ju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3호
    • /
    • pp.61-71
    • /
    • 2001
  • A regional master recession curve model to predict groundwater discharges in a given basin was presented. Considering a stream-aquifer system, bo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baseflow equations were compared and a practical groundwater discharge equation was derived, The groundwater discharge equation was expanded and transformed to the discharge equation at the basin exit. For practical use, the equation was expressed as a function of watershed area, the mean slope of basin and the recession constant. To verify the model, the model was applied to Ssang-chi basin where long-term and temporal hydrological data at the upper basin were collected. Our results show that a master recession curve of unmeasured area can be predicted.

  • PDF

아스팔트 콘크리트 메스터 극선에 대한 수정 Ramberg-Osgood 모델 적용 (Application of Modified Ramberg-Osgood Model for Master Curve of Asphalt Concrete)

  • 권기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31-40
    • /
    • 2008
  •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동탄성계수는 아스팔트 포장 해석 및 설계에 매우 중요하다. 동탄성계수의 메스터 곡선은 일반적으로 시그모이달 함수로 표현된다. Ramberg-Osgood 모델은 지반동역학분야에서 변형률 크기에 따른 정규화 탄성계수 감소 곡선에 대한 피팅모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일한 동탄성계수 시험자료에 대하여 시그모이달 함수와 수정 Rambeyg-osgood 모델 모두를 사용하여 메스터 곡선을 획득하였으며, 두 피팅모델 모두 적용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그모이달 함수의 계수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메스터 곡선의 절대값과 형상 특성을 서로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Ramberg-Osgood 모델의 계수는 물리적 의미가 명확할 뿐 아니라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메스터 곡선에 대한 영향요소를 서로 분리하여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스터곡선 작성 방법의 비교 및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Process of Master Curve Determination for Hot Mix Asphalt)

  • 이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199-4204
    • /
    • 2011
  • 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는 포장체의 내구성 및 공용성을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최근 미국의 AASHTO 2002 설계법 및 한국형 포장설계법에서도 아스팔트 포장체의 가장 중요한 물성중 하나를 동탄성계수로 정의하였고, 이를 아스팔트 포장의 설계 및 해석에 적극 이용하고 있다. 동탄성계수를 설계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마스터곡선을 작성하여야 한다. 마스터곡선은 각각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평가된 동탄성계수 값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마스터곡선을 결정하는 방법은 표준화되어 있으나, 저온영역(-10도)에서는 시험장비 계측장비의 결로로 인한 측정오차 및 고온영역(55도)에서는 아스팔트 바인더의 유체화 및 실험기기 세팅상의 문제들이 발생하여 측정 결과값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대역의 자료를 제외한, 5도, 21도 및 40도에서 측정된 결과값을 이용하여 마스터곡선을 작성 및 분석하였고, 이를 기존의 표준방법으로 결정한 마스터곡선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된 마스터곡선은 고온영역에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충분히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지나해 저서 어자원에 대한 트롤어구의 어획선택성에 관한 연구-III (A Study on the Selectivity of the Trawl Net for the Demersal Fishes in the East China Sea-III)

  • 이주희;김삼곤;김민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9권3호
    • /
    • pp.177-182
    • /
    • 1993
  • In order to estimate the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s and the optimum mesh size, experiments were made by the cover net method with the cod-ends of the five different the opening mesh sizes(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After that 163 hauling were performed and there by investigated, on the training vessel Saebada in the Southern Korean Sea and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In this report, the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s were fitted by using logistic function(S=1/(1+exp super(-(aR+b))), R=(L-L sub(0))/(M-M sub(0)) and the optimum mesh sizes were estimated from each master curve. In this case, a and b are the selection parameters, M is the mesh size of each experimental cod-end. L is body length, L sub(0) and M sub(0) is the distance from the coordinate origine to intersection of linear regression between 25% and 50% selection length.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rachurus japonicu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2. 25, -4.73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79.3mm. 2. Trichiurus lepturu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0.81, -3.17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64.5mm. 3. Photololigo eduli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1.30m, -4.10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89.9mm. 4. Todarodes pacificu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1. 35, -3.45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89.4mm.

  • PDF

감수곡선을 이용한 산림소유역 유출특성의 시계열 변화 평가 (Analysis of Secular Changes i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mall Forested Watershed using a Baseflow Recession Curve)

  • 이익수;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83-391
    • /
    • 2014
  • 본 연구는 주지하수 감수곡선을 이용하여 산림소유역의 유출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3년부터 2011년까지 9년간 관측한 강우-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곡선 감수부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림소유역에서는 직접유출 감수계수가 기저유출의 감수계수 값보다 작았다. 또한 산림소유역에서의 직접유출량은 대유역에 비해 상당히 적은 양을 보였으며, 기저유출량은 차이가 크지 않았다. 시험유역에서 주지하수 감수곡선의 회귀식과 감수계수는 각각 $y=0.7528e^{-0.022x}$($R^2=0.8938$, 범위는 0.3 mm~0.8 mm), K = 0.978로 산출되었다. 주지하수 감수곡선과 연유출량과는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출량이 많으면 주지하수 감수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유출량이 줄어들면 감수곡선의 기울기가 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를 거듭할수록 주지하수 감수곡선의 기 울기가 완만해지는 경향이 나타나, 점차 기저유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시험유역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산림의 홍수조절기능 및 수원함양기능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대 영상의 보간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for Shape Interpolation of Magnified Image)

  • 이용중;이형우;이화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3165-3168
    • /
    • 1999
  • When a input image is extensively magnified on the computer system,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plicate the original shape because of mismatched coordinates system.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the shape of the magnified image has been reconfigured using the bilinear interpolation method, low pass special filtering interpolation method and B-spline interpolation method. Ferguson curve interpolation method based on the CAD/CAM curve interpolation algorithm.

  • PDF

전이함수 결정법에 따른 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 비교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Dynamic Modulus of Hot Mix Asphalt with Different Shift Factors)

  • 김현오;이관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49-61
    • /
    • 2005
  • 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는 시험온도 하중주파수의 조합에 따라 각각의 동탄성계수값을 평가한다. 실험에서 얻어진 각각의 동탄성계수를 하중시간과 온도중첩원리를 이용하여 마스터곡선(Master Curve)을 결정한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마스터곡선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3개의 다른 전이함수(Shift Factor)에 -즉, Arrhenius, 2002 AASHTO Guide, Experimental method- 따른 마스터곡선의 변화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평가를 위해 사용된 골재는 화강암이고, 아스팔트(AP-3 및 AP-5)를 이용하여 표층용 및 기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를 평가하였다. 배합설계는 Superpave Level 1 기준을 준용하였고, 다짐은 선회다짐기를 이용하였다. UTM시험기를 이용한 동탄성계수 시험은 5개의 온도(-10, 5, 20, 40, 55도) 및 5개의 하중주파수(0.05, 0.1, 1, 10, 25 Hz)를 이용하였고, 각각의 아스팔트 혼합물의 위상각 및 동탄성계수를 평가하였다.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Sigmoidal Function방정식을 만족하는 입력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전이함수 및 활성에너지 (activation energy)를 결정하였다.

  • PDF

저장중의 두부에 WLF식을 이용한 물성 변화 예측에 관하여 (Prediction of the Rhelolgical of Soybean Curd during Storage by using WLF equation)

  • 장원영;김병용;김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3-198
    • /
    • 1995
  • 여러 저장온도($5{\sim}2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의 두부의 물성 변화는 응력완화현상을 이용하여 시간-온도 중첩 이론을 통해 계산하고 분석하였으며 WLF(Williams-Landel-Ferry)식을 이용해서 품질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적용식을 제시하였다.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저장시 두부 조직의 초기응력 및 평형응력(equilibrium stress)이 강하게 나타났고, $15^{\circ}C$ 온도를 기준으로 이동인자를 이용하여 좌우 수평으로 이동시 하나의 중첩곡선(master curve)을 구하였다. 이동인자와 중첩곡선을 이용하여 WLF식에 적용해서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하였고 임의 온도에서 저장 시간을 예측하였으며, 실제 두부 조직의 저장성을 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