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nitol dehydrogenas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Fast-growing과 Slow-growing Rhizobium japonicum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ast-and Slow-Growing Rhizobium japonicum)

  • 김창진;김성훈;민태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17
    • /
    • 1985
  • 국내에서 분리된 대두근류균을 생육속도에 따라서 2.4시간의 평균세대시간을 가지는 fast-grower와 13.1시간의 평균세대시간을 가지는 slow-grower로 나눌 수 있었다. Fest-grower는 6-phosogluconate dehydrogenase 효소역가가 slow-grower 보다 높았으며 sucr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하였다. Fest-grower 중에서 특히 R4, R278은 NaCl 0.5M농 도에서도 생육하였으며 시험한 대두 근류균은 모두 pH 4.5 이하에서 생육이 저지되었다. 또한 식물배양기 조건하에서 접종실험을 한 결과 시험된 모든 대두품종에 양호하게 근류를 형성하였으며 L-259 (NRRL) 균주에 비해서 0.1-2배의 질소고정력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형 Streptococcus mutans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Korean type Streptococcus mutans)

  • 현성희;장성렬;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0-258
    • /
    • 1989
  • 한국사람으로부터 치마우식증의 원인규능로 알려진 S. mutans를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과 기존의 실험실균주간의 생리 및 생화학적 특성과 이들이 합성하는 다당류의 구성당을 비교하였다. 분리배지인 MS. MST와 선택배지인 MSP. MSPT. MSB 그리고 MSBT에서 모두 생장하고, mannitol dehydrogenase를 분비하는 균주 108, 110 및 120이 S. mutans로 분리, 동정되었다. 분리균주와 기존의 실험실균주간의 생리 및 생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분리한 3균주 모두 기존의 실험실균주와는 달리 hippuraterktnqnsgogyth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균주 108은 lactose 발효 능력이, 균주 110은 sorbitol, lactose, inulin, melibiose, raffinose 발효능력이 , 균주 120은 inulin. raffinose 발효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실험 실균주와는 물론 이들 각각도 다른 생리 및 생화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와 같이 분리균주 108, 110 그리고 120은 생리, 생화학적 특성 및 자당으로부터 합성되는 glucan의 양에 있어서도 기존의 실험실균주와 다르게 나타나 이들을 각각 한국형 S. mutans KHC108, KHCH10, KHC120이라 명명하였다.

  • PDF

Mesangial 세포에서 고포도당에 의한 insulin-like growth factor의 분비조절기전에 관한 연구: cAMP와의 관련성 (The regulatory mechanism of insulin like growth factor secretion by high glucose in mesangial cell: involvement of cAMP)

  • 허정선;강창원;한호재;박수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63-571
    • /
    • 2003
  • Dysfunction of mesangial cells has been contributed to the onset of diabetic nephropathy. Insulin like growth factors (IGFs) are also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nephropathy. However, it is not yet known about the effect of high glucose on IGF-I and IGF-II secretion in the mesangial cell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MP and high glucose on the secretion of IGFs was not elucidated. Thus, we examined the mechanisms by which high glucose regulates secretion of IGFs in mesangial cells. Glucose increased IGF-I secretion in a time- (>8 hr) and dose- (>15 mM) dependent manner (p<0.05). Stimulatory effect of high glucose on IGF-I secretion is predominantly observed in 25 mM glucose (high glucose), while 25 mM glucose did not affect cell viability and lactate dehydrogenase release. High glucose also increased IGF-II secretion. The increase of IGF-I and IGF-II secretion is not mediated by osmotic effect, since mannitol and L-glucose did not affect IGF-I and IGF-II secretion. 8-Br-cAMP mimicked high glucose-induced secretion of IGF-I and IGF-II. High glucose-induced stimulation of IGF-I and IGF-II secretion was blocked not by pertussis toxin but by SQ 22536 (adenylate cyclase inhibitor). Rp-cAMP (cAMP antagonist), and myristoylated protein kinase A (PKA) inhibitor amide 14-22 (protein kinase A inhibi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MP/PKA pathways independent of Gi protein may mediate high glucose-induced increase of IGF-I and IGF-II secretion in mesangial cells. Indeed, glucose (>15 mM glucose) increased cAMP formation. In conclusion, high glucose stimulates IGF-I and IGF-II secretion via cAMP/PKA pathway in mesangial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