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ibular condyle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18초

측두하악관절에 발생된 골성 강직 (Bony ankyl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 이병도;윤영남;엄기두;나종일;이완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2권2호
    • /
    • pp.113-118
    • /
    • 2002
  • Ankylosis of joint is defined as limited movement due to infection, trauma, or surgical procedure. A 59-year-old female with a chief complaint of limited movements during mouth opening had a positive history of trauma to her right TMJ area about 5 years ago. From that time, progressive mouth opening limitation and intermittent pain have occurred. At the time of admission the patient showed mandibular deviation to the right side during mouth opening, with a maximum opening limited to 5 mm. On plain radiographs, right condylar enlargement and joint space reduction by newly formed bony tissues were observed. CT scans showed right condylar enlargement, cortical sclerosis, and thickening of the condyle, articular fossa and articular eminence.

  • PDF

악교정 수술시 견고 및 비견고 고정에 따른 위치적 안정성에 대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OSITIONAL STABILITY BETWEEN RIGID FIXATION AND NONRIGID FIXATION IN ORTHOGNATHIC SURGERY)

  • 주성채;민병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4호
    • /
    • pp.412-420
    • /
    • 1991
  • Seventeen rigid screw fixation and sixteen nonrigid wire fixation cases of mandibular sagittal slit ramus osteotomy were selected to compare postoperative dental and skeletal changes. A constructed horizontal plane was drawn seven degrees under sella-nasion plane and detailed cephalometirc assessment was applied to serial radiographic films taken before surgery($T_0$), immediately after surgery($T_1$), and at least six months after surgery($T_2$). Linear and angular positional chang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paired t-test method and percent of positional changes(amount of post-op change/amount of intra-op change)${\times}1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29.4% in rigid fixation cases and 37.5% in nonrigid fixation cases comparing the postoperative positional change of more than 2mm at point B. So rigid fixation method was slightly more stable. 2. In nonrigid fixation cases, the positional change might be caused by incomplete bony union at the osteotomy site and soft tissue tension acting on this site. 3. In rigid fixation cases, the positional change might be caused by interaction between relapse tendency of protracted condyle-proximal segment and neighboring soft tissue tension.

  • PDF

Condylar Hyperplasia with Long-standing Temporomandibular Joint Dislocation

  • Kim, Il-Kyu;Cho, Hyun-Young;Jung, Bum-Sang;Pae, Sang-Pill;Cho, Hyun-Woo;Seo, Ji-Ho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16-20
    • /
    • 2014
  • Mandibular condylar hyperplasia is an uncommon condition of excessive unilateral growth of the condyle causing facial asymmetry and occlusal alterations. The etiology of condylar hyperplasia is unclear, but several factors are suspected, including previous trauma, hormonal disturbances, and abnormal functional loadings. Acute or chronic recurrent disloc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s common, but long-standing dislocation is rare. We present two cases of the exophytic condylar hyperplasia that lasted for over 20 years with TMJ dislocation. In both cases, we performed a condyloplasty to restore normal occlusion and facial symmetry, with satisfactory results.

하악골 수직골절단술시 MINI-HOFFMANN SETS을 이용한 하악 과두의 중심위의 보존 (CONSERVING THE CENTRIC RELATION POSITION OF CONDYLAR HEAD WITH MINI-HOFFMANN SETS IN VERTICAL RAMUS OSTEOTOMY)

  • 정인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95-99
    • /
    • 1991
  • 악안면 기형에 대한 활발한 치료가 행해지고 있는 가운데 악교정술 후에 발생하는 회귀현상(Relapse)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하악골 전돌증으로 후방이동술을 시술받은 환자의 경우에 회귀의 원인으로 Schendel, Epker, Lake, Worms, Ive, Poulton과 Ware등 많은 학자들이 하악과두의 부적합한 위치를 강조하였다. 하악골 시상골절단술시에는 이미 Leonard(1976), Zecha 등 (1978)이 상악의 선부자에 acrylic과 wire 또는 retainer 등을 이용하여 하악근심 골편의 보존을 시도하였다. 이에 저자는 하악골 전돌증의 후방 이동량이 큰 경우나 심한 안면 기형이 있는 19명의 환자에 대해 하악지 수직골절단술을 시술한 경우에 주로 정형외과에서 사용하는 External Skeletal Pin Fixation인 Mini-Hoffmann Sets을 이용하여 하악과두의 중심교합위 보존에 도움을 주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in preoperative planning for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A pictorial review and proposed structured reporting format

  • Singh, Rashmi;Bhalla, Ashu Seith;Manchanda, Smita;Roychoudhury, Ajoy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1권3호
    • /
    • pp.313-321
    • /
    • 2021
  • Ankylos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s a disabling disease resulting from fibrous or bony fus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and the glenoid fossa.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are essential to prevent facial deformity and other complications. Conventional radiography has limitations in demonstrating the true extent of ankylosis. It is important for surgeons to be aware of the size and degree of bony ankylosis in order to perform complete resection of the ankylotic mass. In addition, a detailed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adjacent vital structures such as the internal maxillary artery, inferior alveolar nerve canal, external auditory canal, and skull base are crucial to avoid iatrogenic injury.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is the current imaging modality of choice for preoperative assessments. Herein, the authors propose a structured CT reporting template for TMJ ankylosis to strengthen the value of the preoperative imaging report and to reduce the rates of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A Large Subchondral Cyst in an Osteoarthritic Temporomandibular Joint: A Case Report

  • Jeon, Hye-Mi;Ahn, Yong-Woo;Ok, Soo-Min;Ju, Hye-Min;Jung, Kyung-Hwa;Kwon, Eun-Young;Jeong, Sung-H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7권1호
    • /
    • pp.67-71
    • /
    • 2022
  • Subchondral cysts are frequently encountered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TMJ OA), particularly in advanced stage. Subchondral cysts within osteoarthritis are typically lying adjacent to the joint surface where initial load bearing occurs during activity and have been associated with greater pain and disease progression. Although the etiology of these cysts remains uncertain, recently studies report that the induction of the subchondral bone mechanical stress caused subchondral cysts. Repeated overloading leads to further deterioration of subchondral bone which render subchondral bone structure more fragile, increase the risk of osteoarthritis prog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and longitudinal osseous changes of a large subchondral cyst in a mandibular condyle in a symptomatic TMJ OA patient.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suspected to be associated with ankylosing spondylitis based on cervical computed tomography images: A pictorial essay

  • Ikuho Kojima;Shinnosuke Nogami;Shin Hitachi;Yusuke Shimada;Yushi Ezoe;Yuka Yokoyama-Sato;Masahiro Iikub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4권2호
    • /
    • pp.201-206
    • /
    • 2024
  • This report showed a case of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nkylosis suspected to be associated with ankylosing spondylit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bony ankylosis of the cervical spine on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A 53-year-old man presented with a chief complaint of difficulty in opening his mouth. His medical history indicated that in his 20 s, he became aware of the difficulty in moving his neck. CT revealed marked osteoarthritic changes in the right mandibular condyle, suggesting fibrotic TMJ ankylosis. In addition, bony ankylosis of the cervical vertebral body and facet joints from the axis (C2) to C5 in continuity was observed. CT of the entire spine also showed bony deformity of the sacroiliac joints and bony ankylosis. Based on these findings, ankylosing spondylitis was suspected. The possibility of an ankylosing spondylitis compli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ases of TMJ ankylosis if bony ankylosis of the cervical spine is observed.

한국인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유치와 영구치 크기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dimension In korean hemifacial microsomia patients)

  • 장영일;양원식;남동석;김태우;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52
    • /
    • 2000
  • 반안면 왜소증 (Hemifacial microsomia) 은 선천성 악안면기형 중 발생빈도가 두 번째로 높은 질환으로서, 상, 하악골 뿐만이 아니라 외이나 중이, 두개의 일부, 협부 연조직, 안면신경, 근육 등의 복합적인 부위를 침범하는 광범위한 선천성 기형으로서, 환자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성장에 따라 교합면 경사와 함께 이환 측으로 안면 비대칭의 정도가 점점 심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반안면 왜소증에서 치아와 관련된 증상으로는 치아 성숙도의 차이, 치아 수의 감소, 맹출지 연, 법랑질 저형성증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치아는 악골의 크기나 형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발육하기 때문에,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경우 치아 발육에서 변화가 발생되기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편측성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에서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크기와 형태 차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였던 편측성 반안면 왜소증 환자 34명 (남자 18명, 여자 15명, 초진시 평균연령 5세 11개월)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각 치아별 근원심과 협설측 폭경 을 계측한 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paired t-test로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의 근원심 폭경 비교에서 이환 측의 하악 제 2 유구치와 하악 제1 영구 대구치가 비이환 측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 이것은 하악 전치부와 제 1유구치의 근원심 폭경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과 연관지어볼 때, 이환측 하악의 최후방 구치에서 근원심 폭경 감소의 경향 (gradient of severity)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의 협설측 폭경 비교에서 모든 치아에서 통계학적 유의차를 볼 수 없었지만, 이환 측의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협설측 폭경이 비이환 측에 비하여 보상적으로 다소 큰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반안면 왜소증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하악골의 이한측 치아, 특히 최후방 구치, 의 크기와 형태 이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가령에 따른 흰쥐 하악과두 섬유층의 미세구조 및 교원원섬유의 변화 (ULTRASTRUCTUAL ANALYSIS OF THE FIBROUS LAYER OF CONDYLE IN THE RAT TEMPOROMANDIBULAR JOINT WITH AGEING)

  • 변기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305-315
    • /
    • 1998
  • 흰쥐에 있어서 가령에 따라 하악과두에 가해지는 기계적 부하의 변화에 따라 하악과두 섬유층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악과두 섬유층의 세포는 생후 초기에는 미분화간엽세포 및 섬유모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령에 따라 생후 14일, 27일군 등에서는 생후 초기에 비해 교원원섬유를 활발하게 합성, 분비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섬유모세포가 발달하였는데 이들 세포는 과립형 물질로 채워져 있는 내강이 대단히 확장되어 있으며, 리보솜이 치밀하게 존재하는 과립세포질세망과 골지장치가 발달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 세포내에는 세포소기관 사이에 세사가 점차로 발달하는 양상을 보였다. 생후 55일군 이후에서는, 가늘고 긴 세포돌기를 가지며, 과립세포질세망 및 골지장치가 발달되어 있어 교원섬유의 합성이 왕성한 것으로 추측되는 세포, 약간 둥글거나 다각형의 모양을 보이며, 세포질내에 사립체, 용해소체 및 골지장치가 발달하였으며, 손상된 교원섬유 혹은 변성된 세포의 흡수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세포, 세포질의 상당부분이 세사로 채워져 있으며, 사립체, 용해소체 및 과립세포질내세망과 같은 세포질내 소기관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아 가해진 기계적 자극에 대해 적응하였거나 활동이 정지된 세포 등 3종류의 세포가 관찰되었다. 세포간질의 교원원섬유는 생후 초기부터 가령에 따라 점차로 치밀하게 배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교원원섬유의 직경은 생후 1일, 7일군에서는 $38.48{\pm}3.81nm$, $38.06{\pm}3.86nm$로서 유사하였으나 생후 14일군에서는 $50.21{\pm}3.93nm$로 가장 굵은 양상을 보였으며(p<0.05), 그후 생후 27일, 55일군에서는 각기 $40.05{\pm}2.52nm$, $43.63{\pm}1.20nm$로서 점차로 가늘어져 생후 1년군에서는 $37.38{\pm}2.17nm$로서 가장 가늘어 졌다(p<0.05). 그 분포에 있어서는 생후 초기에는 직경이 30-60인 교원원섬유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unimordal한 분포를 보였으나, 생후 27일 이후에는 직경이 작은 교원원섬유가 점차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가령에 따른 결과로 미루어보아 하악과두 섬유층의 미세구조, 교원원섬유의 배열 및 직경의 분포에서의 변화는 가해지는 기계적 부하에 대한 적응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 PDF

하악골 골절 667 증례의 임상통계학적 분석 (A Clinicostatistical Study of 677 Mandibular Fractures)

  • 이상한;이승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50-62
    • /
    • 1989
  • 저자는 1982년 1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대구시내 주의료기관인 5개 종합병원에 입원가료한 바 있는 하악골 골절환자 677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연구를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발생빈도에 있어서 연도별로는 약간의 증가추세에 있었고, 월별로는 5월과 9월에 호발하였고 지역별로는 대구시(55.7%)가 많았으며 대도시 (63.0%)에서 다소 높았다. 연령별 및 성별에서 20대(38.3%)에서 가장 호발하였으며 10대(18.5%), 30대 (18.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녀비는 4.64 : 1로서 남자에게서 호발하였다. 원인별로 볼때 구타(31.5%), 교통사고 (29.5%)와 추락(15.2%), 전도(15.1%)로 많은 비중을 나타내었으며,별로 보면 20-40시 사이에 구타가 가장 많았다. 골절부위별로는 하악골 단독골절이 95.5%였으며 중안면골 골절이 동반된 경우가 4.5%였으며 골절 부위 수는 총 1,033개로서 1인당 평균 1.53개였으며 정중부(39.8%), 우각부(25.2%), 과두부(22.7%)의 순이었으며 정중부를 제외한 좌우측 비교에서 좌측이 364례로서 우측의 257례보다 많았다. 수상후 24시간이내에 전체의 62.9%가 내원하였으며, 1차 진료기관을 거친 경우가 42.4%였으며 유형별로는 일반의원(44.6%), 일반병원(27.9%) 및 치과의원(25.4%)의 순으로 나타났다. 처치내용별로는 관혈적정복수술이 전체의 55.0%를 차지하였고 37.2%는 비관혈적 정복수술을 받았으며, 소아에서는 주로 비관혈적 정복수술이 50.6%를 차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