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onaldehyde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2초

주요건어제품(主要乾魚製品)중의 Malonaldehyde(MA) 함량(含量)에 대(對)하여 (Malonaldehyde(MA) in Dried Fishery Products(note))

  • 김경임;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187
    • /
    • 1974
  • 시판(市販) 주요(主要) 건어제품(乾魚製品)의 총(總) MA함량(含量) 및 동(同) MA의 유리(遊離) 및 결합상태(結合狀態)를 분획(分劃)해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총(總) MA의 함량(含量)을 TBA number로 표시(表示)해본 바, 건(乾) 멸치류가 비교적(比較的) 높았고 다음이 뱅어포이었으며, 오징어 및 명태류는 대체로 낮았다. 특히 멸치류는 종류에 따라 MA함량이 크게 달랐으며, 대살멸치(42.3)가 가장 높았고, 소살멸치(13.7)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명태도 건조공정이 상이(相異)한 제품 즉, 황태(黃太)(1.62) 및 흑태(黑太)(0.66) 등 종류에 따라 총(總) MA함량이 서로 차이가 있었다. 2. 총(總) MA함량이 가장 높은 대살멸치의 수용성획분(水溶性劃分)에 있어서의 결합(結合) 및 유리(遊離) MA를 Sephadex G-10 column으로 분획(分劃)해 본 결과, 2개(個)의 결합(結合) MA 및 1개(個)의 유리(遊離) MA가 chromatogram 상(上)에 나타났고, 결합(結合) 및 유리(遊離) MA의 비율(比率)은 94.5 : 5.5로서 대부분(大部分)이 결합상태(結合狀態)로 존재(存在)하고 있었다.

  • PDF

꾸지 뽕나무 휘발성 향기성분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Volatile Aroma Componen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tracts)

  • 고건희;남상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493-1501
    • /
    • 2012
  • 꾸지 뽕나무(C. tricuspidata)의 휘발성 향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2 가지의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꾸지 뽕나무의 향기추출물에서 동정된 10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대한 항산화활성도 측정하였다. 꾸지 뽕나무의 줄기 및 뿌리 향기추출물들은 2가지 실험법에서 모두 뚜렷하게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에서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줄기와 뿌리의 향기추출물은 각각 $77.02{\pm}8.12%$$74.19{\pm}6.82%$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ipid/malonaldehyde assay에서 $16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줄기 및 뿌리의 향기추출물은 각각 $61.43{\pm}2.11$$76.17{\pm}4.25%$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꾸지 뽕나무의 향기추출물에서 동정된 향기성분들은 7종의 terpenes and terpenoides, 14종의 alkyl compounds, 11종의 nitrogen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3종의 oxygen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12종의 aromatic compounds, 9종의 lactones와 7종의 miscellaneous compounds였다. 꾸지 뽕나무의 향기추출물에서 동정된 향기성분들 중에서 eugenol, isoeugenol 및 2,4-bis(1,1-dimethylethyl)phenol은 lipid/malonaldehyde assay에서 $16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91.74{\pm}1.33$, $94.00{\pm}0.59$$91.22{\pm}4.74%$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동일한 방법에서 BHT와 ${\alpha}$-tocopherol의 항산화활성이 각각 $91.90{\pm}0.42%$$89.47{\pm}3.04%$인 것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편 동일한 처리농도에서 vanillin과 2-acetylpyrrole은 각각 $63.36{\pm}5.83$$58.62{\pm}6.83%$로서 중간 정도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꾸지 뽕나무는 산화적 손상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과 사람들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돈육(豚肉)의 가열처리중(加熱處理中) 아질산염(亞窒酸鹽)이 지질산화(脂質酸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ffects of Sodium Nitrite on Lipid Oxidation of Pork during Cooking)

  • 정홍균;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48-158
    • /
    • 1986
  • 돈육 등심의 각 가열처리조건에 따른 아질산염이 중량감소, pH, 발색율, 색도 및 지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온에서 가열처리하든가 미세하게 간 돈육 시료는 중량감소가 컸으나 아질산염을 처리한 시료의 중량감소는 적었고 가열처리함에 따라 pH가 떨어졌는데 아질산염을 처리한 시료의 pH저하가 억제되었다. 아질산염을 처리함에 따라 발색율, lightness, redness, 및 Chroma값이 높아져서 변색이 억제되었고 가열처리를 하면 전반적으로 malonaldehyde의 함량이 높아졌으나 고온장시간의 가열처리에서는 시료의 malonaldehyde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되었다. 또한 아질산염을 처리하면 과산화물 및 malonaldehyde의 함량이 줄어들어 산화방지에 효과를 나타냈는데 가열처리 온도가 높아지고 시간이 길수 그 효과는 적었다. 돈육을 가열처리하면 각 지질성분의 함량은 대체로 낮아졌는데 인지질성분은 주로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으며 이들의 생성은 가열처리를 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palmitic acid였으며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였고 인지질은 필수지방산 및 이중결합이 2개 이상인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이 높았는데 이들 지방산은 가열처리함에 따라 그 조성이 감소되었으며 아질산염을 처리하면 총지질 및 인지질을 구성하는 이중결합이 2개 이상인 불포화지방산의 산화가 억제되었다.

  • PDF

간함량비율과 제조방법에 따른 간소시지의 지질 산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Lipid Oxidation of Liver Sausage by Proportions of Liver and Processings.)

  • 이숙미;오성천;조정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43
    • /
    • 1997
  • 본 연구는 간을 함유하지 않은 소시지와 각각 5%, 15%, 30%, 45%의 간을 함유한 세절형(sliceable)과 퍼짐형(spreadable) 그리고 훈연 퍼짐형(smoked spreadable) 소시지를 제조하여 간소시지의 산패도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시지의 조지방 함량은 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공정별로 살펴보면 간 45% 함유 소시지의 경우에는 제조공정에 상관 없이 15%이하의 낮은 지방 함량을 나타내어 간의 함량에 따라 소시지의 지방 함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제조일에는 세절형 소시지가 퍼짐형 소시지보다 산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훈연한 퍼짐형 소시지도 훈연하지 않은 퍼짐형 소시지의 산가 $1.74{\sim}1.80$보다 더 높은 산가를 나타내었다. 산가는 종류별로 산발적인 차이를 보이나 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가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3. 간 소시지의 저장시 과산화물가는 간의 함량과 제조공정에 상관없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여 제조일에는 $27.19{\sim}29.43$이었으나 저장 14일에는 $85.35{\sim}88.56$으로 저장 28일에는 $117.86{\sim}145.14$로 증가하였다. 4. Malonaldehyde 함량은 간의 함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제조일에는 세절성 소시지가 $2.72{\sim}2.73{\mu}g/g$으로 가장 높은 malonaldehyde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훈연하지 않은 퍼짐형 소시지군이 $1.32{\sim}1.33{\mu}g/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malonaldehyde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오징어 건조 및 조리 중 콜레스테롤 산화물 생성 (The Forma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during Its Drying and Cooking in Squid)

  • 양승미;신정혜;강민정;김태훈;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73-578
    • /
    • 2001
  • 오징어의 건조방법이나 조리방법에 따라 콜레스테롤, malonaldehyde 및 콜레스테롤 산화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콜레스테롤은 생시료 634mg/100g에 비해 건조 시료에서는 약 23.5%나 감소하였으며, 가열 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조리방법에 관계없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천일건조후 증숙한 시료는 생시료에 비해 49.4%까지 감소한 반면에 malo-naldehyde는 생시료 12.7$\mu\textrm{g}$/100g에 비해 건제품에서는 약 2.1배 증가하였고, 조리 중에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콜레스테롤 산화물은 건조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7-ketocholesterol과 7$\alpha$-hydro-xycholesterol의 경우는 천일 건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에. 7$\beta$ 및 25-hydroxycholesterol은 열풍건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리중 콜레스테롤산화물은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천일건조 후 증숙한 시료의 25-hydroxycholesterol은 2.5$\mu\textrm{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천일건조 후 전자레인지로 조리한 시료의 7 $\alpha$-hydroxychole-sterol은 127.3 $\mu\textr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고등어 염장 중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생성에 대한 아스코르빈산 및 BHA의 영향 (Effect of Ascorbic Acid or BHA on the Forma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during Storage of Salt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 김윤숙;이일숙;이주희;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1-269
    • /
    • 1997
  • 수산식품 중 비교적 다량의 다불포화지방산과 함께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고 있는 고등어를 50일간 염장하면서 콜레스테롤 및 지질의 산화와 이들 산화에 미치는 아스코르빈산 및 BHA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등어의 염장 중 콜레스테롤은 계속 산화분해되어 대조군의 경우 50일간 염장한 후에는 23.3mg/kg으로 생시료 함량의 33%에 불과했으나 아스코르빈산 첨가군은 염장 $10{\sim}30$일 사이에 비교적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억제되었으며 BHA는 특히 100, 200mg/kg첨가한 실험군이 영장 50일 후에도 각각 생시료 함량의 80%와 85%를 보유함으로써 항산화효력을 크게 발취하였다. 7-Ketocholesterol과 지질산화의 척도로 정량된 malonaldehyde의 함량변화는 대조군의 경우에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항산화제의 첨가군에서는 제각기 다른 경향을 보였다. 즉, 7-ketocholesterol의 생성에 대해 아스코르빈산의 첨가는 염장 10일 이후로 계속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BHA는 염장 초기부터 후기까지 항산화효과가 월등하였다. 한편 아스코르빈산 첨가군에서 malonaldehyde의 생성은 염장 $10{\sim}30$일 사이에만 대조군에 비해 약 40%가 억제되었으며 BHA 첨가군에서는 염장 초기부터 50일까지 억제효과가 뚜렷히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염장고등어에서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산화는 동시에 일어났으며 본 실험에서 사용된 아스코르빈산과 BHA는 모두 이들 산화에 대해 염장 30일까지 뚜렷한 항산화 효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BHA의 첨가가 더 유효했다.

  • PDF

뽕나무가루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자유라디칼 유도 산화 억제 (Inhibition of Free Radical-Induced Lipid Oxidation by the Extract from Submerged-Liquid Culture of Mushrooms in the Medium Containing Mulberry Tree Powders)

  • 김석종;임동길;박철우;세르보로다메;형석원;이강권;김정옥;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5-261
    • /
    • 2004
  • 뽕나무가루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느타리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이 자유라다칼로 유도한 linloeic acid의 산화를 대조구에 비해 75.9% 감소시켰고, mouse liver microsome산화에서도 NADPH/Fe$^{++}$ system에서 64.3%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효과는 조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한 분획물의 단독 효과보다 우수하였다. 상황 및 동충하초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도 느타리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과 효과가 유사하였지만 다소 낮았다.

Comparison of the deleterious effects of yaji and cadmium chloride on testicular physiomorphological and oxidative stress status: The gonadoprotective effects of an omega-3 fatty acid

  • Ekhoye, Ehitare Ikekhuamen;Olerimi, Samson Eshikhokhale;Ehebha, Santos Ehizokhale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7권3호
    • /
    • pp.168-179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esticular oxidative stress status and physiomorphological function in Wistar rats fed with yaji and cadmium chloride (CdCl2). Methods: Sixty male albino Wistar rats (12 per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groups: group I (control), group II (300 mg/kg.bw of yaji), group III (500 mg/kg.bw of yaji), group IV (2.5 mg/kg.bw of CdCl2), and group V (2.5 mg/kg.bw of yaji+4 mg/kg.bw omega-3). Each group was evenly subdivided into two subgroups and treatment was administered for 14 days and 42 days, respectively. Semen quality (sperm count, progressive motility, normal morphology, and gonadosomatic index), hormones (testosteron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testicular oxidative stress marker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malonaldehyde) and testicular histomorphological features were examined. Results: Yaji caused significant (p< 0.05) dose- and duration-dependent reductions in semen quality, the gonadosomatic index, testosteron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Yaji also caused significant (p< 0.05) dose- and duration-dependent decreases in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s well as increased testicular malonaldehyde levels. Yaji induced distortions in the testicular histological architecture. CdCl2 damaged testicular function by significantly (p< 0.05) reducing semen quality, reproductive hormone levels,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in albino Wistar rats. CdCl2 also altered the histology of the testi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yaji sauce has similar anti-fertility effects to those of CdCl2, as it adversely interferes with male reproduction by impairing oxidative stress markers and the function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testis.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빈카민 분석 및 빈카마이너의 항산화능 측정 (Analysis of Vicamine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caminor Extract)

  • 정종희;백유미;이광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99-602
    • /
    • 2008
  • 빈카마이너 유효 성분인 빈카민은 인돌알카로이드의 일종으로 뇌혈관 질환 치료에 자주 사용 되어 왔다. 빈카마이너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카마이너 추출액과 빈카민의 항산화능을 DPPH와 lipid MA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빈카마이너 잎을 분쇄하여 물, 메탄올,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추출용매와 측정방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DPPH 방법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그러나 lipid MA 측정법에 의한 결과에서는 에탄올 추출액이 5,000 ${\mu}g/mL$ 농도에서 대구 간유의 MA 형성을 82%까지 저해시킨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빈카마이너 추출액 중 빈카민은 HPLC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빈카민의 함량은 0.42$\pm$0.005 ${\mu}g/mL$이었다.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 Incorporated Carrageenan Based Films on Shelf-Life of Chicken Breast Meat

  • Seol, Kuk-Hwan;Joo, Beom-Jin;Kim, Hyoun Wook;Chang, Oun-Ki;Ham, Jun-Sang;Oh, Mi-Hwa;Park, Beom-Young;Lee, Mooh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3-57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water extracts for several medicinal plants, such as Amomum tsao-ko, Alpinia oxyphylla, and Citrus unshiu, as an active packaging ingredient for prevention of lipid oxidation. Chicken breast meats were packed with medicinal plant extracts incorporated carrageenan based films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during storage at $5^{\circ}C$ were investigated. In chicken meat samples packed with A. tsao-ko (TF) or A. oxyphylla (OF) extract incorporated carrageenan based films, pH valu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the population of total microb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egative control (film of no extract was incorporated, CF) after 5 d of storage (p<0.05). Especially, TBARS value of TF ($0.12{\pm}0.01$ mg malonaldehyde/kg mea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hicken meat samples packed with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incorporated film, AF, $0.16{\pm}0.01$ mg malonaldehyde/kg meat) at 3 d of storage, and it means TF has enough antioxidative activity to prevent the lipid oxidation of chicken meat. However, there was no consistent effect on VBN values of chicken meats packed with medicinal plant extracts incorporated films during storage.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A. tsao-ko extract has potential for being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ingredient in active packaging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