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occlusion

검색결과 972건 처리시간 0.025초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Angle III급 부정교합자의 교모양상 (The attrition pattern in Angle Class III malocclusion with facial astmmetry)

  • 손우성;전은예;김성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9-557
    • /
    • 1997
  • 치아 교모는 모든 연령층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이며, 교모를 초래하는 원인요소로는 연령, 교합시의 다양한 접촉상태, 접촉시의 힘의 크기나 방향, 접촉의 지속 시간, 이갈이 등의 구강 악습관, 음식물 등 구강 내에 개재되는 물질의 마모성, 치아 침식 요소의 존재, 그 외에 저하된 교합 감지 감수성 등을 들 수 있다. 치아의 접촉 면적이나 교모면의 형태는 생리적인 과정 외에도 부정교합, 교합간섭, 조기치아접촉, 이갈이, 이악물기 등 여러 형태의 교합이상으로 인하여 변화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서 생리적인 과정과 병적인 변화를 분명히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치과 진료시 흔히 치아 교모 현상을 볼 수 있으나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시 이를 간과하기 쉽다. 악구강 기능이 정상적으로 발휘되는 경우에는 교모가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겠지만 악구강 기능이 비정상적이며 과도한 마모가 유발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심미적. 기능적, 수복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안면 비대칭이 있는 Angle III급 부정교합자에서는 전치부 반대 교합으로 전방 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악 운동의 부조화로 인해 비정상적인 교모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동양인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Angle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안면 비대칭이 있는 환자의 치아 교모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정상교합자군으로는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며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분석시 안면비대칭이 관찰되지 않는 자를 선정하였고, 부산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구강내 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및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분석시 안면비대칭이 없는 Angle III급 부정교합자와 하악골 편위를 보이는 안면비대칭을 동반한 Angle III급 부정교합자를 선정 하였다. 교모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알지네이트 인상재로 인상을 채득한 후 경석고를 이용하여 상하악의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석고 모형상의 교합면상 마모된 부위를 가는 연필을 이용하여 경계를 그렸다. 경계가 표시된 석고 모형을 scanning하여 면적을 계측한 후 SAS Program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교모 면적은 I군이 II, III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2 각 군의 좌우측간의 교모면적 차이는 비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못하였으나 I군, II군, III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3. I군에서는 상악의 교모 면적이 하악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II, III군에서는 상하악 교모면적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4. 안면 비대칭 환자의 경우 편위측보다 비편위측의 치열궁에서 교모 면적이 더 크게 나타났다. 5. 저작측에 따른 교모 면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성별에 따른 총교모 면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편악(하악)수술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Soft Tissue Change After Single Jaw(mandible)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박광수;이희경;진병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97-208
    • /
    • 1997
  • 본 연구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골 후방이동수술을 시행하였을 때 경, 연조직 변화를 관찰하고 수술전후의 경, 연조직 변화의 상관성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 복합 치료 계획의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영남의료원 치과에 내원하여 상하악골의 수직적인 부조화는 경미하고 전후방적인 부조화가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수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1989년 10월부터 1997년 1월 중에 하악골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의 후방이동을 시행한 성인 환자 25명(남자 12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수술전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골의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른 하안면부의 연조직의 수평적인 후방 이동은 상당한 유의성을 가지고 나타났으나 수직적인 변화는 거의 없었다. 2. 하악골의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의 후방이동을 시행한 경우 상순의 상대적인 돌출도는 증가하고 (p<0.01) 하순의 상대적인 돌출도는 감소하였으며(p<0.01) 하악골 전방부의 연조직의 두께는 증가하였다(99% 유의수준).

  • PDF

III급 부정교합자의 양악 수술과 하악 편악 수술 시 연조직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oft tissue changes with mandibular one jaw surgery and double jaw surgery in Class III malocclusion)

  • 장인희;이영준;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3-73
    • /
    • 2006
  • 악교정 수술 시행 시 연조직 변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II급 부정교합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수술 방법에 따른 연조직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상악골 전진술과 하악골 후퇴술을 동시에 시행한 양악 수술과 하악골 편악 수술 시행 시, 경조직과 연조직 측모 및 연조직 두께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술 전후 변화의 상관성을 산출하며, 경조직 변화에 수반하는 연조직 변화의 비율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 복합 치료 계획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시행되었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로 진단받은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하여, Le Fort I osteotomy를 이용한 상악골 전방이동술과 시상분할골절단술을 이용한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한 양악 수술군 26명과 하악골 후퇴술만을 시행한 편악 수술군 26명으로 구분하여, 수술 전후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악 수술군은 골격 변화량의 72.4% 비율로 상순 부위 연조직의 전방 이동을 보였으며, 편악 수술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비순각은 양악 수술군에서 편악 수술군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하였다. 이순각은 편악 수술군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다. 하악골의 후방 이동에 따른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은 양악 수술군에서 98%, 편악 수술군에서 109%로 편악 수술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양악 수술군에서는 편악 수술군에 비하여 경조직의 변화에 수반하는 상순에서의 큰 변화가 나타났다. 편악 수술군에서는 상순의 변화는 미약하였으며, 하순 및 이부의 변화가 양악 수술군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Preliminary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and arch dimension change of the maxillary dentition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treated with first premolar extraction: conventional anchorage vs. mini-implant anchorage

  • Park, Heon-Mook;Kim, Byoung-Ho;Yang, Il-Hyung;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280-290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conventional and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nchorage on tooth movement and arch-dimension changes in the maxillary dentition in Class II division 1 (CII div.1) patients. Methods: CII div.1 patients treated with extraction of the maxillary first and mandibular second premolars and sliding mechanics were allotted to conventional anchorage group (CA, n = 12) or OMI anchorage group (OA, n = 12). Pre- and post-treatment three-dimensional virtual maxillary models were superimposed using the best-fit method. Linear, angular, and arch-dimension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software program. Mann-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Compared to the CA group, the OMI group showed more backward movement of the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and canine (MXCI, MXLI, MXC, respectively; 1.6 mm, p < 0.001; 0.9 mm, p < 0.05; 1.2 mm, p < 0.001); more intrusion of the MXCI and MXC (1.3 mm, 0.5 mm, all p < 0.01); less forward movement of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first, and second molars (MXP2, MXM1, MXM2, respectively; all 1.0 mm, all p < 0.05); less contraction of the MXP2 and MXM1 (0.7 mm, p < 0.05; 0.9 mm, p < 0.001); less mesial-in rotation of the MXM1 and MXM2 ($2.6^{\circ}$, $2.5^{\circ}$, all p < 0.05); and less decrease of the inter-MXP2, MXM1, and MXM2 widths (1.8 mm, 1.5 mm, 2.0 mm, all p < 0.05). Conclusions: In treatment of CII div.1 malocclusion, OA provided better anchorage and less arch-dimension change in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than CA during en-masse retra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한국인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의 TTBA 치료 후 상악골 견인 효과 (Maxillary protraction effects of TTBA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 therapy in Korean Class III children)

  • 김혜진;전윤식;임원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1-240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하여 새로이 고안된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TTBA)의 상악골 견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한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중 TTBA로 치료받은 88명(소년 42명, 소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시작 시 연령은 7세 6개월${\pm}$1년 6개월이었으며, 평균 치료 기간은 13개월${\pm}$3개월이었다. 치료 전과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계측이 동일 조사자에 의해 투사 및 중첩되었으며, modified McNamara analysis과 pitchfork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치료 전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악과 상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하악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이 양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Net dental changes와 apical vase change가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 III급 부정교합 치료에 유리한 방향으로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이 일어났다.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에 대한 기여 정도는 net dental movement 26%, apical vase change 74%였다. 이상의 결과는 TTBA 치료가 상악골 결핍을 가진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유의한 상악골 견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상악골 전방 견인 시 하안모 형태에 따른 치료 효과 비교 (Treatment effect of face mask therapy for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ccording to low facial morphology)

  • 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45-259
    • /
    • 2007
  • 성장기 아동의 상악골 전방 견인을 이용한 치료 효과 중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은 III급 골격관계를 개선시키지만 하안모의 길이가 길어져 face mask가 장안모 환자에게는 비적응증 이라는 것이 선학들의 일반적 견해였다. 그러나 실제로 하안모의 길이를 분류 기준으로 삼아 이에 따른 치료 효과를 비교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의 연구 또한 미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골 열성장을 보이는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44명을 Ricketts의 lower facial height (LFH)기준에 따라 LFH가 정상 수치 이상인 군(1군)과 미만인 군(2군)으로 분류하여, 상악골 전방 견인 시 두 군간의 경조직, 연조직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 경조직과 연조직의 상호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악의 경조직, 연조직 전방 이동량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악의 경조직 후방이동량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조직 후방이동량은 2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하안면의 경조직 수직 비율 변화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조직 수직 비율 변화는 2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상악과 하악의 전후방적 경조직, 연조직 변화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반면 수직적 하안면 비율 변화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았다. 위의 결과들을 고려해 볼 때 Face mask 사용 결과 상악골의 전방 이동과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이 일어났으며 하악의 연조직 후방 이동량은 단안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III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 치료시 상악 소구치 발치가 치열궁 폭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on transverse arch dimension in Class III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 이신재;홍성준;김영호;백승학;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III급 수술-교정 치료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치열 상의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술전 교정시 상악 소구치 발치와 비발치의 판단에 필요한 임상적 정보를 얻고자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교정 치료시 흔히 선택되는 상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된 군과 비발치로 치료된 군 간의 치료전/후 상/하악 개별 치아 이동 양상과 치열궁 폭경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발치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를 마친 환자 (24명) 와 술전교정 치료시 상악 제1소구치가 발치된 환자 (31 명)의 치료 전/후 모형 상에서 개개 치아의 근원심/협설측 각도 변화와 상/하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후, 두 군 사이의 교정적 치아 이동 양상을 비교 분석한 후 상/하 치열궁의 조화를 이루는데 필요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와 이에 기여하는 치아 변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발치 군은 비발치 군에 비하여 상악 치열궁 폭경의 감소가 컸으며 이는 상악 구치의 inclination 감소에 크게 영향 받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 치열에서는 inclination의 증가와 폭경의 증가가 있었으나, 비발치/발치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결론적으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시 술전 상악 소구치 발치는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의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 소구치 발치에 대한 판단은 상/하악 치열궁의 폭경 및 구치부 경사도 문제와 연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되었다.

III급 부정교합 치료후의 하악골의 위치변화에 관한 임상적 고찰(영구치열에서) (CLINICAL STUDY ON THE POSITIONAL CHANCE OF THE MANDIBLE AFTER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Permanent Dentition))

  • 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3-86
    • /
    • 1994
  •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후 예후를 예측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경북대병원 치과교정과에 반대교합을 주소로 내원한 초기 영구치열을 가진 환자 5명을 교정적 치료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은 2증례와 동적 치료종료시에는 좋은 결과를 얻었으나 그 이후 관찰기간동안 치열 및 악골에서 재발을 보인 3증례에서 연속적으로 채득한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사진, 석고모형, 치료기록을 자료로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관찰 증례중 동적 치료시 하악골이 후하방 이동한 swing back type의 경우 관찰기간 동안 악골의 전후적 관계가 양호하게 유지되었으며 교합도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2. 동적 치료시 Y-axis type의 하악골 위치 변화를 보인 증례중 상하악골의 성장이 조화를 이룬 증례는 교합이 안정되게 나타났고, 그렇지 못한 증례는 교합이 불안정하게 되었다. 3. 동적 치료시 swing back type의 하악골 위치 변화를 보인 증례는 관찰기간동안 swing back type가 유지되었으며, Y-axis type를 보인 증례는 관찰기간동안 Y-axis type가 유지되는 증례와 forward type로 변화한 증례가 있었다. 4. 반대교합 개선시 하안면 고경은 모든 증례에서 증가되었으며 관찰기간동안 교합이 안정되게 나타난 증례에서는 하안면 고경이 계속 증가되었으나, 하안면 고경이 감소한 증례에서는 교합이 불안정하게 되었다.

  • PDF

하악골 회전성장 양상에 따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이부 및 상하악 절치부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mandibular symphysis and anterior alveolar and skeletal morpholog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growth pattern of mandible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김석준;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3-315
    • /
    • 1999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회전성장 양상이 하악이부 및 상하악절치부의 형태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하악 전돌의 악골부조화를 보이며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성인 남녀 86명을 Skieller등이 하악골 회전성장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제안한 방법을 통해 전방회전성장군과 후방회전성장군으로 분류하여,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자에서 하악골 회전성장 양상에 따른 골격관계, 하악이부의 형태와 상하악절치의 위치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방회전성장군에서 후방회전성장군에 비해 수평적인 두개안면 골격관계에서 SNA, SNB가 모두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직적인 두개안면 골격관계에 대해서는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있었다. 2. 하악이부 및 상하악절치부 형태와 하악골의 회전성장 양상 사이의 관계에서는 후방회전성장군에서 하악절치가 더 설측경사되고, 하악절치의 치조부 순설폭경이 좁으며 상악절치의 치조부에서 구개평면까지의 거리가 더 증가되었다. 3. 하악평면을 기준으로 계측한 symphysis ratio는 전방회전성장군과 후방회전성장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하악골의 회전성장 양상과 하악이부 및 상하악절치부 형태에 대한 계측항목과의 상관분석에서, 후방회전성장 양상으로 성장할수록 overbite의 감소, 하악절치의 설측경사, 하악절치의 치조부 순설폭경 및 symphysis width의 감소가 나타났다.

  • PDF

사람 치열의 진화 (EVOLUTION OF HUMAN DENTITION)

  • 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32-542
    • /
    • 2007
  • 연구 목적은 부정교합과 부분무치증 등의 치과 문제의 배경으로서 사람 진화에 따른 치열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었다. 사람은 분류학적으로 동물계, 척추문, 포유강, 영장목, 고등영장아목, Hominoid(상위인과), Hominid(인과), Homo(인속), sapiens(종)이다. 최초의 Hominid는 약 400만년 전에 출현한 Australopithecus로서 직립보행과 치열의 변화가 특징이었고, Homo속은 약 250만년 전에 출현한 최초의 석기 제작자 H. habilis를 시작으로, H. erectus, H. neanderthalensis 등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면서 현생 인류인 H. sapiens에 이르렀다. 원시포유류의 I3 C1 P4 M3의 치열은 원시영장류의 I2 C1 P4 M3, 고등영장류의 I2 C1 P3 M3, Hominoid의 I2 C1 P2 M3로 변화하였고 H. sapiens는 I2 C1 P2 M2의 치열로 변화하고 있다. Hominoid의 상자형 치열은 Australopithecus의 오메가형 치열을 거쳐 Homo의 포물선형 치열로 변화하였다. 치아의 크기가 계속 감소하였고 특히 견치의 크기와 성적 이형성이 감소하였다. 뇌 크기가 증가하고 악골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치열은 두개관에 대해 후하방으로 이동하였다. 녹말이 풍부한 주식으로의 변화, 식품 가공, 요리 기술의 발달이 저작의 필요성을 감소시켜 치열 변화를 촉진하였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지구 역사에서 극히 최근에 나타난 신종으로서 지구 전역에 퍼져 대량 멸종을 일으키고 있는 H. sapiens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부분무치증과 부정교합은 사람 진화에 따른 치열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