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e infertility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2초

Novel method of histopathological analysis after testicular sperm extraction in patients with nonobstructive and obstructive azoospermia

  • Cito, Gianmartin;Coccia, Maria Elisabetta;Picone, Rita;Nesi, Gabriella;Cocci, Andrea;Dabizzi, Sara;Garaffa, Giulio;Fucci, Rossella;Falcone, Patrizia;Bertocci, Francesco;Santi, Raffaella;Criscuoli, Luciana;Serni, Sergio;Carini, Marco;Natali, Alessandr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5권4호
    • /
    • pp.170-176
    • /
    • 2018
  • Objective: To assess whether the "testicular pool" could be used for histological analysis and whether it gave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n the standard testicular biopsy. Methods: Between January 2017 and March 2018, this single-center prospective study included 60 azoospermic men undergoing conventional bilateral testicular sperm extraction. Six samples were excised from each testicle and transferred to an embryologist. One additional biopsy was randomly taken from each testis for a histological analysis. After processing, the testicular pool was also sent for a histological analysis, which showed normal spermatogenesis (NS), hypospermatogenesis (HYPO), maturation arrest (MA), Sertoli cell-only syndrome (SCOS), and tubular atrophy (TA). Results: Twenty of the 60 patients (33.3%) had obstructive azoospermia (OA), while the remaining 40 (66.6%) had nonobstructive azoospermia. Their mean age was 40.5 years. All patients with OA had previously undergone unsuccessful testicular fine-needle aspiration. Successful sperm retrieval (SSR) occurred in 93.3% of patients.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testicular biopsy revealed NS in 12 patients (20%), HYPO and TA in 28 patients (46.6%), MA in eight patients (13.3%), and SCOS in 12 patients (20%). The testicular pool analysis showed NS in 12 patients (20%), HYPO and TA in 44 patients (73.3%), MA in four patients (6.6%), and SCOS in no patients. In four patients with MA (6.6% of the total sample) and 12 patients with SCOS (20% of the total sample) according to the standard testicular biopsy, the embryologist found SSR with cryopreservation. Overall, in 44 patients (73.3%), the testicular pool analysis confirmed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standard testicular biopsy. In the 16 cases (26.6%) with a discrepancy between the single-biopsy histological findings and SSR, the testicular pool analysis confirmed the embryological data on SSR. Conclusion: The testicular pool proved to be easily analyzable, practical, manageable, and more accurate for predicting sperm retrieval than standard testicular biopsy.

난소의 기능이 저하된 불임 환자에서 연령 및 기저 혈중 FSH 수치가 체외수정시술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ge or Basal Serum FSH Levels; Which One is Better for Prediction of IVF Outcomes in Patients with Decreased Ovarian Reserve?)

  • 유영;김민지;조연진;연명진;안영선;차선화;김혜옥;박찬우;김진영;송인옥;궁미경;강인수;전종영;양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3호
    • /
    • pp.189-196
    • /
    • 2007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난소기능이 저하된 불임 환자에서 체외수정시술 시 그 결과의 예측인자로서 환자의 연령과 혈중 FSH 수치의 중요성 및 그 임상적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 불임센터에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이전 체외수정시술주기에서 획득된 난자 수가 5개 이하이며 FSH 농도가 15 mIU/ml 이상 25 mIU/ml 이하로 그 연령이 42세 이하인 난소기능이 저하된 불임 환자 85명의 85 체외수정시술 주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남성요인의 불임이나 착상 전 유전진단인 경우는 제외시켰다. 과배란유도의 방법은 단기요법 (flare-up protocol)을 사용한 경우로 제한하였다. 결 과: 대상군을 환자의 나이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을 때 환자의 연령이 낮은 군 (age < 35, n=35)에서 고령환자 군 (age $\geq$ 35, n=50)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착상률 (19.0% versus 4.0%, p<0.05)과 높은 지속임신율(100% versus 14.3%, p<0.05)을 보였으며, 연구대상 군을 기저 혈중 FSH농도에 의해 두 군으로 비교하였을 때 낮은 기저 혈중 FSH를 가진 군 (basal serum FSH < 20 mIU/ml, n=58)에서 기저혈중 FSH가 높았던 군 (basal serum FSH $geq$ 20 mIU/ml, n=27)에 비해 획득된 난자 숫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반면 (4.6$\pm$0.7 versus 2.2$\pm$0.5, p<0.05)주기 취소율은 의미 있게 낮은 (19.0% versus 55.6%, p<0.05) 결과를 보였다. 결 론: 난소반응이 저하된 불임 환자의 체외수정시술 시 그 예후에 관련된 인자로서 환자의 연령은 해당 주기의 임신성공 및 임신 지속여부에 대한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서 의미가 있는 반면 기저 혈중 FSH농도는 해당 주기에서의 난소의 반응에 대한 예측인자로써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계정맥류 환자에서 수술 전 정액지표가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reoperative Semen Parameters for a Patient with Varicolcele on its Operative Results)

  • 김경태;김태홍;주영민;최진호;이중식;서주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4호
    • /
    • pp.303-308
    • /
    • 2008
  • 목 적: 정계정맥류는 수술적 치료가 가능한 남성불임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이다. 하지만 모든 정계정맥류 환자에서 수술 후 같은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이에 저자들은 정계정맥류 수술 전 정액인자 결과가 수술 후 정액인자 결과 및 임신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불임을 주소로 본원 비뇨기과를 방문하여 정계정맥류 진단 후 서혜부 접근법을 통한 미세수술적 정계정맥류절제술을 시행 받은 총 2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총 활동성 정자수 (Total motile sperm count; TMSC)를 기준으로 (이하 단위: ${\times}10^6$) 20 이상을 group A, 5 이상 20 미만을 group B, 5 미만을 group C로 분류하였다. 수술 후 3개월 이상 경과한 후에 다시 정액검사를 시행하여 각 group별 TMSC 호전률을 비교하였다. 또한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한 환자 중 전화설문이 가능했던 총 1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자연임신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의 수술 전 평균 TMSC는 25.75 수술 후 평균 TMSC는 80.24로 평균 54.49 (211.6%) 증가하였다. 각 group별 절대 증가치 (상대적 증가율)를 보면 group A는 67.90 (131.2%), group B는 62.20 (482.5%), group C는 26.33 (1841.2%)으로 모든 group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모두 p<0.001). 수술 전 정액인자가 가장 좋지 않았던 group C의 경우 다른 group에 비하여 절대 증가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p=0.002) 상대적 증가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자연임신성공률은 group A에서 48.0%, group B에서 34.2%, group C에서 26.4%로 나타났으나 각 group별 자연임신성공률에 통계학적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p= 0.119). 결 론: 정계정맥류 환자에서 수술 전 정액인자가 매우 좋지 않을 경우 수술 후 정액인자의 절대 증가치는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수술전과 비교한 상대적 증가율은 높으며 수술 후 자연임신성공률도 수술 전 정액인자가 상대적으로 좋았던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정계정맥류 수술 전 정액인자가 매우 좋지 않을 경우라도 정계정맥류절제술이 불임해결을 위한 일차 치료로 선택될 수 있다.

미수정 및 저수정율의 기왕력을 지닌 체외수정시술 환자에서의 난자 세포질내 정자 주입술을 이용한 미세보조 수정술에 관한 연구 (Microassisted Fertilization of Human Oocytes with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n IVF-ET Patients with History of Failure in Fertilization or Extremely Low Fertilization Rate in Previous Cycles)

  • 문신용;김석현;채희동;김광례;이재훈;김희선;류범용;오선경;서창석;최영민;김정구;이진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1호
    • /
    • pp.83-93
    • /
    • 1997
  • Although IVF-ET is widely applied in the treatment of couples with male factor infertility, it may fail in many infertile couples with normal semen parameters, and certain couples cannot be accepted for standard IVF-ET due to unfertilization or extremely low fertilization rate of oocytes. Recently, several procedures of microassisted fertilization (MAF) using micromanipulation have been introduced, and pregnancies and births have been obtained after partial zona dissection (PZD), subzonal insertion (SUZI), and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This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d establish ICSI as an effective procedure of MAF in infertile couples who could not undergo standard IVF-ET repetitively because of failure in fertilization or extremely low fertilization rate of oocytes with the conventional fertilization technique in the previous IVF-ET cycles. From March, 1995 to May, 1996, 27 cycles of IVF-ET with ICSI in 19 infertile patients were included in study group, and the outcomes of ICSI were analyzed according to fertilization rate, cumulative embryo score (CES), and pregnancy rate.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afte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was $10.50{\pm}6.13$ in 30 previous cycles, and $10.57{\pm}5.53$ in 27 ICSI cycles. In ICSI cycles, the number of oocytes optimal for ICSI procedure was $7.89{\pm}4.30$, and the fertilization rate of $67.9{\pm}20.2%$ could be obtained after ICSI.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was $1.43{\pm}2.40$ in previous cycles, and $4.36{\pm}1.77$ with the mean CES of $41.8{\pm}27.4$ in ICSI cycles. In ICSI cycles, the overall pregnancy rate was 29.6% (8/27) per cycle and 42.1% (8/19) per patient with the clinical pregnancy rate of 22.2% (6/27) per cycle and 31.6% (6/19) per patient. In conclusion, MAF of human oocytes with ICSI is a promising fertilization method for IVF-ET patients, especially with the past history of failure in fertilization or low fertilization rate of oocytes in the previous IVF-ET cycles, and ICSI using micromanipulation procedures applied to human oocytes will provide a range of novel techniques which may dramatically improve the pregnancy rate in IVF-ET program and contribute much to effective management of infertile coup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