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athion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초

강원도산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Survey on the Contents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Kangweon-Do)

  • 심태흠;이태준;김기철;유미정;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9-156
    • /
    • 1992
  • '90년 '91년 2개년에 걸쳐 강원도내에서 생산 또는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35종에 대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보건위생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등을 ECD와 NPD가 부착된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농산물 157건 중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6건으로서 48.4%이었고, 이중 2종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24건으로서 15.3%를 점하고 있다. 특히 Captan은 대산 농산물 81건 중 43건에서 검출되어 검출률이 53.1%이었다. 2. Endrin , Captafol. Parathion , Fenitrothion , Fenthion 및 EPN은 전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각 농약의 잔류량은 DDT가 ND-0.138 ppm, BHC가 ND-0.142 ppm, Aldrin 및 Dieldrin이 ND-0.010 ppm, CAptan이 ND-1.067 ppm, Diazinon이 ND-0.060 ppm, malathion이 ND-0.075 ppm, Phenthoate가 ND-0.009 ppm, DDVP가 ND-0.040 ppm이었다. 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 PDF

대구시 지하수의 수질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s in Taegu City)

  • 박병윤;천경아;이동훈;최충렬;최정;김진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85-690
    • /
    • 1999
  •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s in Taegu City and correlation coefficients(r) between water pollution indicators were investigated for two years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7. Volatile organic compounds such as TCE(tri-chloroethylene), PCE(tetrachloroethylene), l,l,l-trichloroethane, THM(trihalo-methane), dichloromethane, pesticides such as diazinon, parathion, malathion, and toxic inoganic matters such as As, Hg, Se, Pb, Cd, $Cr_6^+,$ CN were not detected in the groundwaters. Mean values of groundwater pollution indicators were below drinking-water standards, but hardness, $KMnO_4-C(potassium$ permanganate consumption), evaporate residues, $SO_4^{-2},\;Fe,\;NO_3^{-}-N,$ color and turbidity exceeded a little in some samples. As groundwater became deeper,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remarkably increased, but $KMnO_4-C,\;NO_3^{-}-N,\;Cl-,$ color, turbity and bacteria decreased. $KMnO_4-C,$ evaporate residues, $Cl^-\;and\;SO_4^{-2}$ were very high at industrial and commercial areas, and $NO_3^--N$ and $NH_4^+-N$ were very high at agricultural and forest areas. It showed high positive significa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ardness and each of evaporate residues, $SO_4^{-2}$, Zn and Mn, $KMnO_4-C$ and each of color, turbidity and Zn, color and each of turbidity, Cu, Zn and Mn, turbidity and each of Fe, Cu, Zn and Mn, and evaporate residues and each of $Cl^-,\;SO_4^{-2}$ and Zn.

  • PDF

페놀오염사건 이후의 낙동강수 오염평가 (Assessment of the Naktong River Pollution after Phenol Spillage from the Kumi Industrial Estates II, Korea)

  • 김두희;장봉기;홍성철;문효정;이덕희;오혜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2호
    • /
    • pp.268-281
    • /
    • 1993
  • The aquatic quality of the Naktong river after two or three months in June, 1991 with phenol spillage from a electrical factory in Kumi was investigated.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six sites of the Naktong river basin and Kachang and Kongsan lakes. Phenol was not detected from all water samples. Turbidity was very much increased to the down stream in the Naktong river. The BOD and COD values exceeded the 2nd grade(3mg/l) of the Korean standard quality of Environmenal Water Act at the all sampling sites of the Naktong river. Especially, the value of COD at Kaejin (12.5mg/l) was poorly classified as to the 5th grade of water class for the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such as parathion, malathion, fenitrothion and diazinon were investigated but not detected. Diazinon was only detected at the Ilsan bridge(1.42ppb), Okkye stream(6.95ppb), Waekwan bridge(0.32ppb), Gangjung reservior(0.13ppb), Kaejin (0.05ppb). Of the carbamates such as carbanyl, isoprocarb and cabofuran, the carbofuran was detected all sites except tap water, and Kachang and Kongsan lakes. The content of heavy metals such as Cd, Pb, Zn, Fe, Mn, Hg were not exceeding for drinking water standards at the all sampling region, but only mecury was detected from Okkye stream(0.018ppb) and Kaejin (0.09ppb). In the regions of Kachang and Kongsan lakes, the content of heavy meatals were lower than that of reservior of Naktong river.

  • PDF

시설재배 딸기와 오이 중 농약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A Monitoring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Strawberries and Cucumbers from plastic Film Houses)

  • 이해근;김영구;박영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93-202
    • /
    • 1988
  • 농작물중 농약 잔류량조사 계획의 일환으로 전국주요시설 재배지에서 채취한 딸기와 오이 각 50점과 서울시 소재 5개 슈퍼마켓에서 시판되는 딸기를 수집, 농약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딸기에서는 일부 시료에서 procymidone, chlorothalonil. captan, diazinon, ${\alpha}-endosulfan$ 등이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조사최대치의 경우에도 잔류허용기준의 1/79~1/2 에 불과하였다. Malathion, Fenitrothion, parthion 등 유기인계 살충제는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시판 딸기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오이에서는 유기인계 살충제가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기타 살균제의 검출빈도는 딸기와 비슷하였으나 잔류수준은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딸기와 오이 중 검출 빈도와 잔류수준이 비교적 높았던 농약은 procymidone과 chlorothalonil로서 이들의 조사최대치도 잔류허용기준에 크게 미달되고 있어 현재로서는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수일에 의한 딸기중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38~95%로서 상당부분이 제거 되었다. 딸기 잿빛 곰팡이병 방제약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procymidone이나 dichloflanid에 대한 농약잔류향조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었으며, 아울러 본 조사연구는 금후 이들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Recent Applications of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MIPs) on Screen-Printed Electrodes for Pesticide Detection

  • Adilah Mohamed Nageib;Amanatuzzakiah Abdul Halim;Anis Nurashikin Nordin;Fathilah Ali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14
    • /
    • 2023
  • The overuse of pesticides in agricultural sectors exposes people to food contamination. Pesticides are toxic to humans and can have both acute and chronic health effects. To protect food consumers from the adverse effects of pesticides, a rapid monitoring system of the residues is in dire need.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MIP) on a screen-printed electrode (SPE) is a leading and promising electrochemical sensing approach for the detection of several residues including pesticides. Despite the huge development in analytical instrumentation developed for contaminant detection in recent years such as HPLC and GC/MS,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are time-consuming and labor-intensive. Additionally, the imprinted SPE detection system offers a simple portable setup where all electrodes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strip, and a more affordable approach compared to MIP attached to traditional rod electrodes. Recently, numerous reviews have been published on the production and sensing applications of MIPs however, the research field lacks reviews on the use of MIPs on electrochemical sensors utilizing the SPE technology. This paper presents a distinguished overview of the MIP technique used on bare and modified SPEs for the detection of pesticides from four recent publications which are malathion, chlorpyrifos, paraoxon and cyhexatin. Different molecular imprint routes were used to prepare these biomimetic sensors including solution polymerization, thermal polymerization, and electropolymerizati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MIP-modified SPE are discussed and the comparison among the findings of the papers is critically reviewed.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성 조사 (A Study on the Safety of Powdered Agricultural Products in Incheon)

  • 박병규;김선회;여은영;이한정;서순재;권성희;송성민;주광식;허명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6-14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통 중인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성확보를 위하여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에서 수거한 104건을 대상으로 다종농약다성분분석법으로 검사 가능한 잔류농약 373종 및 금속성 이물을 검사하였다. 품목별 수거현황은 향신식물 33건(31.7%), 과일류 31건(29.8%), 채소류 25건(24.0%), 서류 5건(4.8%) 순이었다. 잔류농약은 전체 104건 중 7건에서 잔류허용기준 이내로 검출되어 6.7%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기준을 초과한 부적합 제품은 없었다. 깔라만시분말에서 chlorpyrifos, malathion, permethrin, 노니분말에서 fenoxanil, 쑥분말에서 tebuconazole, 파프리카분말에서 tetraconazole, 신선초분말에서 etofenprox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농산물중의 잔류농약이 가공품으로 이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금속성 이물은 22.1%(23건)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기준을 초과한 제품은 계피분말, 강황분말, 새싹보리분말, 쑥분말 등 16건이 발생하여 분말 농산물가공품에서는 금속성이물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속성 이물(쇳가루)은 단단한 건조 농산물을 분말로 만드는 분쇄과정에서 금속성 재질의 롤밀, 칼날 등의 마찰로 인해 미세한 쇳가루가 발생하면서 분말 농산물가공품에 섞여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원재료인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기본으로 건조원료의 분쇄과정 중 발생하는 금속성 이물의 최소화, 금속성 이물 제거 장치의 설치,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정기적인 모니터링 등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에 있어서의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역학적, 매개동물학적 조사 (Epidemio-entomological survey on malarial vector mosquitoes in Kyongbuk, Korea)

  • 우종윤;강구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329-340
    • /
    • 1992
  • 경북지역에 있어서 삼일열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의 계절적 출현소장과 군집변동을 규명하기 위해 1987연부터 5연간 경출군 1개소에 유준등으로 1주일에 한떤씩 성충을, 1989년부터 3 년간 경북 농촌 진흥 원부속농장에서 모기유충을 채집조사하였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유창등에 처음으로 중 국얼룩날개모기가 채집되는 날짜는 연도별로 큰 차리를 나타내었으며,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사이에 채집되었고 가장 높은 군집밀도를 보인 것은 7월 초순에서 중순이었으며, 그 후 점점 감소하여 lli3 초순과 중순부터는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채집된 모기 중 흡혈한 개체률은 채집장소별로 차리가 있었으며 그 율은 0.5∼67.9%이었다. 중국얼룩날개모기의 채집되는 수는 1987년 이후 증가하여 1989년 가장 많은 수가 채집되었으며, 그 후 급격히 감소하여 1991연에는 가장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액간활동성은 22시에서 23시사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후 점차 감소하다가 새벽 4∼5시에 다시 약간 증가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6월 중순에 논에서 처음 발견 되었고 그 밀도는 7월 초순 및 중순에 가장 높았으며, 9월 중구 이후부터는 그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각감의 유기린제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보아 경북 지역에서 중국얼룩날개모기는 매년 감소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유기인계-피레스로이드계 혼합제제 농약에 의한 중독 (Organophosphate-Pyrethroid Mixtures Poisoning)

  • 홍대영;백광제;이경룡;권운용;박준석;어은경;오범진;이미진;이성우;서주현;노형근;김준식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26
    • /
    • 2007
  • Purpose: Owing to organophosphate-pyrethroid mixtures are widely used, suicidal or unintentional poisoning is common. But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reports of poiso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the severity and toxicity between organophosphate-pyrethroid mixtures poisoning and single organophosphate poisoning. Methods: From August 2005 to July 2006, 65 patients presented with organophosphate-pyrethroid mixtures poisoning to emergency medical center. Date were gathered by report form it was drawn up. Results: 65 patients were enrolled in 28 hospitals and their mean age was $56.5{\pm}16.2$ years old. The most common cause of poisoning was suicide, in 52 cases(80%). Chlorpyrifos-cypermethrin, malathion-esfenvalerate were the most frequent chemicals involved, and the mean ingestion amount was 135.4ml. The most common symptom of the patients was nausea/vomiting, in 16 patients. The average GCS score was 13. The mean ICU stay was $4.4{\pm}5.2$ days, and mortality was 3.1%. Conclusion: The severity and toxicity of organophosphate-pyrethroid mixture poisoning were lower than that of single organophosphate poisoning.

  • PDF

김치의 오염(汚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 김치 재료(材料)의 농약오염(農藥汚染) - (Studies on the Contamination of Kimchi Material - Pesticide Residues in Vegitables -)

  • 윤숙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1호
    • /
    • pp.51-58
    • /
    • 1980
  • 계절별(繫節別)로 안동지방(安東地方)에서 생산(生産)되는 김치재료(材料) 채소의 농약오염도(農藥汚染度)를 보기 위하여 배추, 무우. 마늘, 고추, 오이등(等)을 수집하여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와 유기린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을 분석(分析)해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초여름김치 재료(材料)채소에는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오염(農藥汚染)이 많은 편이었고 때로는 잔류허용량(殘留許容陽)을 넘는 경우가 있었으며 토양살충제(土壤殺蟲劑)인 Heptachlor의 오염빈도(汚染頻度)는 가장 높았다. 2) 유기린계농약(有機燐系農藥)은 유기염소계농약(有機鹽素系農藥)에 비(比)하여 검출(檢出)되는 빈도(頻度)도 낮고 잔류허용량(殘留許容陽)에도 미치는 일이 없었다. 3) 늦여름 채소에 오염(汚染)된 유기염소농약(有機鹽素農藥)은 초여름 보다 높은 농도(濃度)로 검출(檢出)되는 경우가 많았고 반면에 유기린계농약(有機燐系農藥)의 검출(檢出)은 훨씬 그 빈도(頻度)가 낮았다. 4) 늦가을 김장용 채소의 오염농약농도(汚染農藥濃度)는 매우 낮았으며 검출빈도(檢出頻度)도 낮았다. 5) 늦가을 김장채소에는 잔류성(殘留性)이 약한 유기린계농약(有機燐系農藥)의 오염(汚染)은 거의 볼 수 없었다.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농약사용량(農藥使用量)이 많은 여름철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것은 그 잔류성(殘留性)으로 보아 위생적(衛生的)으로 불안(不安)한 일이라 하겠다.

  • PDF

식품중의 오염물질에 관한 조사연구 (Monitoring Program on Food Contaminants)

  • 백덕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1-136
    • /
    • 1987
  • 본 연구는 1983년부터 시작한 농작물중의 잔류농약 Monitoring program으로서 우리나라의 농작물중의 농약잔류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자료 (back data)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농작물중의 잔류농약허용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금년도에는 86년도의 대상농약인 유기인제 (8종), 카바메이트제(3종)에 유기염소제 살균제인 Captan, Captafol을 추가하였으며 대상식품으로 상치, 무우, 감자, 파, 감, 고구마를 예년도의 대상식품이었던 도마도, 풋고추, 사과, 복숭아, 콩, 오이, 배추중에는 Captan, Captafol을 경기, 충남, 경북, 전북의 4개 지역에서 채취하여 G.C.-NPD, ECD를 사용하여 그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Diazinon은 32.0%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872ppm, 평균은 0.0020ppm이었다. 2. Fenthion(MPP)는 16.4%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395ppm, 평균은 0.0007ppm이었다. 상치, 가지,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Fenitrothion(MEP)는 30.5%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628ppm이었고 평균 0.0026ppm이었다. 4. Phenthoate(PAP)는 7.0%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069ppm, 평균 0.0001ppm이었다. 감자, 가지, 감,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5. EPN은 13.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250ppm, 평균은 0.0030ppm이었다. 감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6. Dimethoate는 27.3%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826ppm, 평균은 0.0049ppm이었다. 7. Parathion은 22.7%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771ppm, 평균 0.0021ppm이었다. 김,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8. Malathion은 10.9%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098ppm, 평균 0.0001ppm이었다. 상치, 무우에서만 검출되었다. 9. Carbaryl(NAC)은 6.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8452ppm, 평균은 0.0336ppm이었다. 상치와 쑥갓에서만 검출되었다. 10. Isoprocarb(MIPC)는 31.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1180ppm, 평균 0.0104ppm이었다. 11. BPMC는 22.7%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5106ppm, 평균 0.0085ppm이었다. 12. Captan은 58.7%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1970ppm, 평균은 0.005ppm이었다. 13. Captafol은 2.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312ppm, 평균은 0.0003ppm이었다. Captafol은 파에서만 검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