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er education pla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to Activate Education Field of Maker Movement in Korea)

  • 오수진;백윤철;권지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483-492
    • /
    • 2019
  • 정부의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 형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과 지원으로 관련 문화와 교육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메이커 운동의 교육 분야의 현황을 파악하고, 긍정적인 방향의 발전을 위한 메이커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메이커 교육 운영자와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국내 메이커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한다. 둘째, 인터뷰 스크립트 내용을 기반으로 질적 조사 분석 프로그램(NVIVO)을 통한 키워드 분석과 그 특징을 파악한다. 셋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메이커 교육을 실행한 교육자와 참여한 학생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교육의 전문성을 위해 전문 메이커 교사가 필요했고, 참여한 학생들의 메이커 채널 확장과 전문적인 네트워킹이 요구되었다. 또한, 메이커 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전문 프로그램과 적절한 정책 지원이 필요했다. 본 연구는 향후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식 및 관련 교육자 양성과 교육 환경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어 메이커 운동의 주요 분야인 메이커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메이커 역량 모델 개발 및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의 메이커 교육 방안 탐색 (Developing Maker Competency Model and Exploring Maker Education Plan in the Fiel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윤지현;김경;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9-665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의 본질 및 속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중요사건기법 분석과 행동사건면접 분석을 통해 메이커들이 지니고 있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메이커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6개의 역량군과 23개의 하위 역량을 추출할 수 있었다. 즉, '분석적 사고', '직관적 사고', '시각적 사고', '경험적 사고'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통합적 사고 역량군, '공유', '의사소통', '갈등관리', '주도성'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협업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영역에 대한 관심', '도전 의식', '실패 관리', '메이킹 과정의 즐거움'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메이킹 마인드 역량군, '인류애', '사용자 지향'의 2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간중심 역량군, '관찰', '일상 속 불편함의 인식'의 2개 역량으로 구성된 문제 발견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작 도구에 대한 이해', '전기에 대한 이해',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 '계획수립', '손 지식', '정보 탐색', '직접적인 실행'의 7개 역량으로 구성된 메이킹 수행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도시 내 창업 활성화를 위한 메이커 스페이스 계획방향에 대한 연구 - 미국 내에 주요 메이커 스페이스(Techshop, Fab-lab, Autodesk Pier9)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aker Space Planning for Innovative Entrepreneurship in Urban Area - Focused on major makers spaces in the US (Techshop, Fablab, Autodesk Pier 9) -)

  • 정다래;채얼;권순민;김도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2호
    • /
    • pp.23-31
    • /
    • 2019
  • The purpose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creation of a manufacturing space that can promote the recovery of the industrial ecosystem in the city and the start-up activities of creative workers and manufacturers. To do this, we compared the cases of US and domestic maker spa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a plan of location and spac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equipment construction. Third, various programs for education, collaboration and exchange should be provided. It is thought that the maker space plan and construction direction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be used for the formation of domestic makerspace in the future.

대학도서관의 메이커 스페이스 도입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at Academic Library)

  • 김보영;곽승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59-279
    • /
    • 2017
  • 대학 도서관은 지식 창출의 촉진자로서 연구자들이 협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캠퍼스 내 창조허브 센터로서 가장 이상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다. 최근 들어 4차 산업혁명과 창의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국외의 경우 대학도서관에 메이커 스페이스가 점차 도입되고 있다. 대학도서관의 메이커 스페이스는 새로운 지식과 관심사의 발견, 실습, 학제 간 융합교육이 가능하게 하는 최적의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학 및 대학도서관 메이커 스페이스 사례 조사를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의 메이커 스페이스 도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충북지역 가계의 재무관리 실태 및 평가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and its Evaluation in Chungbuk Province)

  • 김인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52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how to manage the household financial situation and what households demand to financial organization for their satisfaction in Chungbuk Provinc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from 24th of Oct. for two months and 330 households data among 350 households were analyzed and selected as a sam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any households had four to six bankbooks and wives visited financial organs more frequently than their husbands. 2. Although many respondents regarded the safety as the most important point when they selected the financial organ, they were choosing the organ because of the nearness form their own house. 3. How to manage the households' financial situations and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financial organs were different by the respondents' age and education level. 4. The younger they were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was, they managed the household according to the financial plan. Female consumers were more satisfied with financial organs than male did. 5. The financial problem were solved through the couple's communication in many households. This study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wives' power increasing in the households's decision-making about financial problems.

  • PDF

유치원의 교재.교구관리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Material and Tools Management Program for Kindergartens)

  • 김천희;윤삼중;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01-215
    • /
    • 2006
  • 본 연구는 모든 유아 교육 기관의 교재 교구 관리에 있어서 양질의 전산 관리 시스템을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설계 및 구현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개발한 교재 교구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교육부 고시에 의한 제6차 유치원 교육 과정을 준거로 개발 범위를 한정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교육 자료는 종류나 모양뿐만 아니라 구입한 시기와 만든 교사에 관계없이 교사들 모두가 쉽게 분류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보관할 수 있어야 하고, 유아 교육 현장에서 일단 사용한 교재 교구는 다음의 현장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보수하여 보관하여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 사용 후에 즉시 보수가 어려우면 그 교재 교구의 보수를 위한 정보를 자세하게 기록해 둠으로써 어느 교사가 보수 작업을 하더라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야할 뿐 아니라, 제작 또는 구입하여 분류한 교재 교구는 반드시 등록하여 그 자료에 관한한 모든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색인부를 만들어 교육 계획 수립시에 사용함으로써 교육 과정의 운영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 PDF

적정기술과 오픈소스를 활용한 메이커 교육 방안 (Maker Education Plan with Appropriate Technology Theme)

  • 김세민;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09-61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검사를 한 후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모형과 통합사고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을 설계하였다. 학생들은 I(내성적)형과 O(외향적)형을 1차로 나누고 T(사고형)형과 P(인식형)형을 2차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동기 요소를 알 수 있었다. 이에 추후 연구로는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학습방법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중학교 가정과 문제 중심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BL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Housing Culture and Practical Space Use' for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 조지원;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9-76
    • /
    • 2020
  •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②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 수업을 위해 다양한 주거가치를 반영한 셰어하우스 공간 활용 설계실습을 통해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자립능력과 실천적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실행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DDIE 교수 설계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발 결과는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과 12종의 교과서② 주생활 단원을 분석하여 총괄 학습목표와 세부목표, 차시별 목표를 선정하고, 내용요소를 추출하여, 4차시분의 학습주제의 차시별 PBL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시나리오 4개, 학습 활동지 6개와 읽기 자료 10개, 모둠활동자료 5개, PPT자료 4세트, 동영상 4개, 교사용 자료 1개) 및 설문지이다. 차시별 수업은 도입에서 시나리오를 통해 문제만나기와 문제해결계획을 세우고, 전개에서는 다양한 모둠활동을 통해 문제해결책을 탐색 및 재탐색을 한 후, 전체학급에서 해결책을 발표 및 평가나 토의로 마무리하였다. 특히 4차시 수업은 컴퓨터실에서 '5D planner' 웹 프로그램 활용하여 3차시 문제해결 계획안을 입체적 설계로 구현하는 실습을 하였다. 실험수업은 2019년 4월 1~12일 경남 하동군 소재 H중학교 2학년 1학급 2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참여 학생 전원이 수업평가에 참여하였다. 평가 결과, 수업전반에 걸친 수업내용과, 학습자료, 학습활동에 대해 거의 모든 학생들이 매우 높게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총 4차시 수업 전반의 주제와 학습자료, 수업활동 등이 학생들에게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세부목표를 구성하는 차시별 수업목표와 총괄목표의 달성 정도로 알아본 수업효과 평가도 수업전반에 대한 평가결과처럼 문항별로 비슷하게 매우 높게 나타나 4차시분의 수업을 통해 차시별 수업목표는 물론 총괄목표를 달성할 수 있어 보인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차시별 교수·학습 과정안의 특징인 PBL 수업방법에 관해서도 각 차시 PBL 수업의 중심을 이루는 시나리오, 협동학습, 웹프로그램 실습에 매우 높게 만족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서술한 개방형질문에서도 실습 관련 수업활동이 좋았다는 언급이 가장 많았는데 특히 웹 프로그램 활용 실습은 흥미롭고 신선한 경험이었으나 웹 프로그램을 원활한 작동할 수 있는 컴퓨터 환경개선요구도 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은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실천태도를 함양하고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의 총괄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하다고 하겠다.

충남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공간혁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Innovation of Public Libraries Belonging to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 임정훈;오형석;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03-126
    • /
    • 2021
  • 본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19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육·문화복합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기관 복합화 시설의 사례 조사, 이용자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래 공공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공간으로 배우는 공간(종합자료실, 테마 자료 탐구실, 미래교실, 블렌디드 러닝센터, STEAM 교육실, 원격강의학습실), 표현하는 공간(포이어, 메이커 룸, 디지털 매체 창작실, 원격강의제작실), 나누는 공간(동아리·모둠학습실, 웰빙 복합문화공간, 생활·편의공간, 휴게실·브라우징), 즐기는 공간(퍼포먼스·생각 놀이터, 유아·어린이 자료실, 디지털 가상체험실, 특화 알코브실, 야외독서실) 등으로 구분하여 공간 재구조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축 규모, 장서 규모, 서비스 및 공간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선도모형, 기본모형, 이음터 모형, 최소모형 등 도서관별로 특화된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재구조화 모형을 제안하였다.

실험과 체험의 공간: 독일 쾰른 시립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Experimental and Experiential Cultural Space : Focusing on Cologne City Library in Germany)

  • 최정윤;김재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변화하는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대응방안을 보여주는 사례로 독일 쾰른 시립도서관이 지역사회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에 대해 논의한다. 개관이래 지속적으로 독일 도서관 교육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 온 쾰른 시립도서관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역동적인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정보와 지식을 생산하고 문화를 창달하는 중심지가 되기 위해 스스로 변화하고 있다. 도서의 수집 및 보존이라는 도서관의 전통적인 기능을 넘어, 쾰른 시립도서관은 현재 지역 구성원들이 영화, 음악, 게임 등 다양한 문화들을 체험하고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복합문화공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독일 쾰른 시립도서관의 프로그램은 향후 한국의 공교육 차원에서 한국 공공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재구상하고 지역 구성원을 위한 도서관 콘텐츠를 기획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