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matism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83초

옥천 각섬암의 Sm-Nd 동위원소연구 : 예비보고서 (Sm-Nd Isotopic Study of the Ogcheon Amphibolite, Korea: Priliminary Report)

  • 권성택;남정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3호
    • /
    • pp.277-285
    • /
    • 1991
  • We applied Sm-Nd isotopic system to so-called amphibolites occurring within the Ogcheon group to provide constraints on the age of the metasedimentary rocks and to characterize tectonic environment of basaltic magmatism. An internal mineral isochron age of $677{\pm}91Ma({\sigma})$ was obtained from a coarse-grained, intrusive, amphibolite near Mungyeong.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on the age of the Ogcheon group, we interpret that the isochron represents either early metamorphic or emplacement age. The depositional age of the metasedimentary rocks intruded by the amphibolite would be prior to late Proterozoic. The present study and Cambro-Ordovician fossil evidences of previous workers suggest that both Precambrian and Phanerozoic rocks are present in the Ogcheon group. Positive ${\varepsilon}$ Nd values(+2.4 to +3.5) of four whole rocks indicate mantle origin for the amphibolite. These isotopic data, along with published immobile trace element data of Cluzel et al.(1989), strongly suggest that parental rocks of the amphibolite formed in an intraplate environment rather than in island arc or midocean ridge. The age and tectonic environment of amphibolites in the Ogcheon belt suggest that the basaltic magmatism may be related to the late Proterozoic break-up of a presumed supercontinent, but not to the Triassic(?) coll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China continents.

  • PDF

영남육괴 남서부 안의도폭 지역 초기 쥬라기 변형 화강암류의 SHRIMP U-Pb 연대 (SHRIMP U-Pb Age of the Early Jurassic Deformed Granites in the Aneui Quadrangle, SW Yeongnam Massif)

  • 서재현;송용선;박계헌
    • 자원환경지질
    • /
    • 제49권2호
    • /
    • pp.147-153
    • /
    • 2016
  • 남서부 영남육괴 안의도폭 지역의 변형 화강암류에 대한 SHRIMP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선캠브리아 편마암으로 알려진, 현저하게 변형된 호상구조를 보이는 압쇄조직의 화강암과 비교적 약하게 변형된 반상 내지 안구상의 화강암 각각 한 개씩의 시료에서 분리된 저어콘에 대한 연대측정 결과는 약 195 Ma로 연대가 동일하였다. 이 연구 결과와 기존의 연대자료에 의해 안의도폭 주변부 지역에서의 중생대 초-중기 화성활동은 다음과 같이 해석되었다: 트라이아스 중기(약 225-219 Ma)에 섭입관련 화강암질 마그마작용이 주로 서부지역에서 함양 화강암의 관입으로 시작되었고 트라이아스 말기(약 220-210 Ma)에 섬장암질 관입으로 끝났다. 비교적 짧은 휴지기 후에, 쥬라기 초기인 약 195 Ma에 이번 연구에서 연대가 측정된 변형 화강암류를 생성한 마그마의 관입으로 화강암질 마그마작용이 다시 시작되어 약 189 Ma까지 계속되었으며, 화강암질 마그마작용의 말기에는 섬록암류의 관입이 수반되었다.

Late Cenozoic Metallogeny of Southwest Hokkaido, Japan

  • Watanabe, Yasushi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
    • /
    • 2003
  • Southwest Hokkaido (Sapporo-Iwanai district) in the Northeast Japan arc (Fig. 1) is one of the best places to test the correlation among tectonic regime, stress field, magmatic style and hydrothermal mineralization. This paper reviews the Miocene to Pleistocene tectonic framework, geology, magmatic style and stress field of southwest Hokkaido, and correlates them with different types of deposits (Kuroko, epithermal base-metal and precious-metal). (omitted)

  • PDF

북한 증산-평원지역 화강편마암의 LA-ICP-MS U-Pb 저콘 연대 (LA-ICP-MS U-Pb Zircon Age of the Granite Gneiss from Jeungsan-Pyeongwon Area of North Korea)

  • 송용선;박계헌;이호선
    • 암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1-179
    • /
    • 2009
  • 북한의 평안분지 서부의 증산-평원지역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 기저를 이루는 화강편마암에서 분리한 저콘에 대하여 LA-ICP-MS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873{\pm}19(2{\sigma})$Ma의 일치곡선연령을 구하였으며 이는 고원생대의 화강암질 화성활동을 나타낸다. 한반도의 선캠브리아 기저지각 암석들로부터 SHRIMP 및 LA-ICP-MS 등의 방법에 의해 구한 최근의 정밀한 연대자료를 살펴보면 영남육괴, 경기육괴, 낭림육괴 등 한반도 전역에서 이 화강편마암과 마찬가지로 ${\sim}$1870 Ma의 연령이 가장 빈도 높게 보고되고 있다. 이 시기의 지질사건들은 지역에 따라 화강암질 화성활동뿐만 아니라 고온의 광역변성작용도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인접한 중국의 북중국과 남중국지괴들 역시 유사한 시기의 화성 및 변성활동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한반도의 선캠브리아 육괴들이 북중국과 남중국 어느 지괴와 대비되는지는 더 많은 자료와 연구가 필요하다.

전남 해남지역 구시광상의 화산활동에 수반된 열수변질작용 및 생성환경 (Hydrothermal Alteration Related to Cretaceous Felsic Magmatism in the Gusi Mine, Southern Korea)

  • 문희수;노열;김인준;송윤구;이현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1호
    • /
    • pp.9-20
    • /
    • 1991
  • 구시납석광상은 전남 해남지역의 중생대 백악기 화산암류를 모암으로 산출된다. 모암을 이루는 화산암류는 대부분 웅회암류이나 일부 유문암의 변질산물도 있으며, 이들의 열수변질 산물로서 구시광상의 납석 및 도석을 형성 시켰다. 이 변질작용의 결과로 형성된 광물조합에 의하여 이들은 변질대의 중심부로부터 외각으로 가면서 납석, 디카이트, 석영 및 일라이트-스멕타이트대로 구분된다. 이러한 변질광물의 분포양상은 모암인 장구리응회암이 상대적으로 높은 Si와 K이온 활동도를 갖는 강한 산성 열수용액에 의한 변질작용에 의하여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이들 광물의 안정영역을 고려할 때 일라이트-스멕타이트대는 $200^{\circ}C$ 이하에서, 디카이트대는 $200{\sim}250^{\circ}C$ 범위에서, 납석대는 $260^{\circ}C$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 형성 되었음을 지시한다. 납석대의 일부에서 다이아스포어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아 이때의 최고 온도는 $300^{\circ}C$ 정도에 이르렀을 것이다. 이들 변질작용은 본역에 분포된 화산암류를 형성시킨 화산활동에 기인된 열수변질작용으로 해석된다.

  • PDF

한국 남서부의 열수점토광상과 주변암에 대한 K-Ar 연대 측정 (K-Ar ages of the hydrothermal clay deposits and the surrounding igneous rocks in southwest Korea)

  • 김인준;장미경개
    • 암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8-70
    • /
    • 1992
  • 한국 남서부의 점토광상들과 주변암에 대한 K-Ar 연대측정 결과, 점토광물이 75.1∼81.4 Ma, 백악기 화산암류(황산층)가 81.4∼86.4 Ma, 백악기 화강암류는 77.1∼81.5 Ma의 연대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점토광상들이 백악기 후기의 산성마그마티즘과 성인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지시한다. 월각산 화강암은 K-Ar 흑운모의 연령이 140.g∼144.8 Ma로 밝혀져, 이의 관입연대는 쥬라기로 판명되었다. 이곳의 점토광상들과 백악기 화강암류의 밀접한 관계는 점토광상들이 화산활동에 수반된 열수작용에 의한 것이 아니라 화강암류의 관입에 따른 열적 효과(열수 순환)에 기인된 열수변질작용으로 형성되었다.

  • PDF

광물공생(鑛物共生)의 개념(槪念)에 대(對)한 문제점(問題點)과 광맥광상(鑛脈鑛床)의 macrostructure -특(特)히 일본(日本) 대고광산(大谷鑛山)의 광맥광상(鑛脈鑛床)에 대(對)한 macrostructure- (Some Problems on the Concept of Mineral Paragenesis and Macrostructures of Ore Vein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ose of Ore Veins at the Ohtani Mine, Kyoto Prefecture, Japan)

  • 김문영;나카무라 다케시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spc호
    • /
    • pp.97-102
    • /
    • 1986
  • Concepts on mineral association, mineral paragenesis, and mineralization stage relating to macrostructures of vein filling in ore veins are briefly discussed. As an example of plutonic ore vein, macrostructures of vein filling of plutonic tungsten-tin-copper vein at the Ohtani mine, Kyoto Prefecture, Japan, one of representatives of plutonic tungsten-tin vein related genetically to acidic magmatism of late Cretaceous in the Inner zone of Southwest Japan, are examined. Based on macrostructures of vein filling, three major mineralization stages, are distinguished by major tectonic breaks. Sequence of mineralization, characteristic features of each mineralization stage, and variations of filling temperature and salinity ranges of fluid inclusions in minerals from stage I to stage III are summarized.

  • PDF

일본(日本) 대곡광산산(大谷鑛山産) Pyrrhotite의 성질(性質) (Polymorphic Variations of Pyrrhotite as related to Tungsten-Tin-Copper Mineralization at the Ohtani Mine, Japan)

  • 김문영;나카무라 타카시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1호
    • /
    • pp.57-66
    • /
    • 1986
  • The ore deposit of the Ohtani mine is one of representatives of plutonic tungsten-tin veins related genetically to acidic magmatism of Late Cretaceous in the Inner zone of Southwest Japan. Based on macrostructures of vein filling, three major mineralization stages are distinguished by major tectonic breaks. The constituents of ore minerals are scheelite, cassiterite, chalcopyrite, pyrrhotite, sphalerite, with small amounts of cubanite, stannite, galena, native bismuth, bismuthinite, arsenopyrite and pyri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ymorphic variations of pyrrhotite and the kinds of the associated characteristic of ore mineral, in relation with hypogene mineralization, has been demonstrated. Pyrrhotite of stage I is predominantly of the hexagonal phase (Hpo>Mpo). Pyrrhotite of stage II is mainly of the monoclinic phase ($Hpo{\ll}Mpo$). Pyrrhotite of stage III is a single monoclinic phase ($Hpo{\ll}Mpo$). The compositions of the hexagonal pyrrhotite decrease in Fe content ranging from 47.44 atom % Fe in stage I to 46.88 atom % Fe in stage III.

  • PDF

Paleoproterozoic low-pressure metamorphism and crustal evolution in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 Kim, Jeong-Min
    • 한국암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석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심포지엄
    • /
    • pp.43-60
    • /
    • 2006
  • The Yeongnam Massif, one of Precambrian basements in Korean Peninsula, is characterized by widespread occurrence of low-pressure/high-temperature (LP/HT) schists and gneisses accompanying extensive anatexis and granitic magmatism. Metapelitic mineral assemblages define three progressive metamorphic zones pertinent to low-pressure facies series: cordierite, sillimanite and garnet zon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Metamorphic grade ranges from lower amphibolite to lower granulite facies and metamorphic conditions reach ca. 750-800 C and 4-6 kbar in migmatitic gneisses. Migmatitic gneisses are prominent in the sillimanite and garnet zones. Textural and petrogenetic relationshipsin leucosome suggest that migmatitic gneiss is the product of anatexis of metasedimentary rocks. The migmatite formation during the prograde metamorphism is governed initially by fluid-present melting and subsequently by biotite-dehydration melting. The large amount of leucosomes in the sillimaniteand garnet zones can be explained by the fluid-present molting possibly triggered by an external supply of aqueous fluid. Field and geochronologic relationships between leucogranites and migmatitic gneisses further suggest that leucogranite has providedfluid and heat required for widespread migmat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