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NA

검색결과 7,015건 처리시간 0.044초

구강 편평상피세포암종 세포주에서 Tumor Necrosis Factor-α와 Interleukin-6의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PRESSION OF mRNA OF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6 IN THE CELL LIN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 안진수;김경욱;이재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6호
    • /
    • pp.535-54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RNA levels of TNF-${\alpha}$ and IL-6 in the cell lines of normal oral keratocyte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se cell lines, observed under UV light, developed by radiographic films of PCR products via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mplication, and measured with densitometer. Each mRNA level of these cell lines divided by ${\beta}$-actin mRNA level was compared to that of normal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igher mRNA expression of TNF-${\alpha}$ than IL-6 in the normal oral epithelial cell line. 2. In general, expression of mRNA of IL-6 appeared 3-4 times more in tumor cell lines than in control group. 3. mRNA expression of TNF-${\alpha}$ showed variable expression in tumor cell lines, unlike normal cell line. 4. There are no special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iation of oral cancer cell lines and mRNA expression of TNF-${\alpha}$ and IL-6. From the above results, expression of mRNA of IL-6 in the cell lin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used in this study has higher than the normal oral epithelial cell line, but there are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iation of oral cancer cell lines and the expression of mRNA of TNF-${\alpha}$ and IL-6.

  • PDF

Ginsenoside Rh2 reduces m6A RNA methylation in cancer via the KIF26B-SRF positive feedback loop

  • Hu, Chunmei;Yang, Linhan;Wang, Yi;Zhou, Shijie;Luo, Jing;Gu, Y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734-743
    • /
    • 2021
  • Background: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potential tumor-suppressive effects of ginsenoside Rh2 are complex. N6-methyladenosine (m6A) RNA methylation is usually dysregulated in cancer. This study explored the regulatory effect of ginsenoside Rh2 on m6A RNA methylation in cancer. Methods: m6A RNA quantification and gene-specific m6A RIP-qPCR assays were applied to assess total and gene-specific m6A RNA levels. Co-immunoprecipitation, fractionation western blotting,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ere performed to detect protein interactions and distribution. QRT-PCR, dual-luciferase, and ChIP-qPCR assays were conducted to check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Results: Ginsenoside Rh2 reduces m6A RNA methylation and KIF26B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some cancers. KIF26B interacts with ZC3H13 and CBLL1 in the cytoplasm of cancer cells and enhances their nuclear distribution. KIF26B inhibition reduces m6A RNA methylation level in cancer cells. SRF bound to the KIF26B promoter and activated its transcription. SRF mRNA m6A abundance significantly decreased upon KIF26B silencing. SRF knockdown suppressed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growth both in vitro and in vivo, the effect of which was partly rescued by KIF26B overexpression. Conclusion: ginsenoside Rh2 reduces m6A RNA methylation via downregulating KIF26B expression in some cancer cells. KIF26B elevates m6A RNA methylation via enhancing ZC3H13/CBLL1 nuclear localization. KIF26B-SRF forms a positive feedback loop facilitating tumor growth.

감자 걀쪽바이로드(PSTV) RNA 분자의 요소농도기울기겔에서 전기영동적 이동성에 관하여 (Electrophoretic Mobilities of the Potato Spindle Tuber Viroid RNA Molecules in the Urea-Gradient Gels)

  • 이재열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27
    • /
    • 1987
  • 바이로이드 RNA 분자를 포함한 저분자량의 식물성 RNA 분자에 대해서 0M부터 8M 까지의 요소구배를 가진 폴리아크릴아미드켈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적 이동성을 조사하였다. 막대모양의 바이로이드 RNA 분자는 요소구배 겔에서 전반적으로 다른 저분량의 식물성 RNA들과 마찬가지로 요소구배에 수직인 방향으로 비슷한 수준의 전기영동적 이동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달리 고리모양의 바이로이드 RNA 분자는 요소구배 겔에서 고농도의 요소구배 부분에서 보다도 저 농도의 요소구배 부분에서 더 빠르게 이동하였다. 따라서 고리모양의 바이로이드 RNA 분자는 요소구배 겔의 중간부분에서 막대모양의 바이로이드 분자의 밴드를 가로 지르는 기울기를 가진 특이한 전기영동적 이동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고리모양의 바이로이드 RNA 분자의 전기영동적 이동성은 0M 8M의 요소구배를 가지는 바이로이드 RNA 분자의 변성겔에서 주로 요소의 농도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s of Divalent Cations on the Spicing of Phage T4 Thymidylate Synthase Intron RNA

  • 박인국;성정숙;신숙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1호
    • /
    • pp.87-91
    • /
    • 1997
  • Effects of divalent cations such as $Mg^{2+}$, $Mn^{2+}$, $Ca^{2+}$, and $Zn^2$ on splicing activity of phage T4 thymidylate synthase intron RNA have been investigated. At the concentration of 0.5 mM, $Mn^{2+}$ in the absence of $Mg^{2+}$, a very small amount of pre-RNA was cleaved into ligation products (El-E2) but no circular or linear intron was produced. As the concentration of $Mn^{2+}$ was increased from 1 to 5 mM the pre-RNA was completely hydrolyzed. In the presence of 5 mM $Mg^{2+}$, both the linear intron and circular intron were produced but no El-E2 ligation product was produced. At both 3 and 5 mM $Mn^{2+}$ the RNA was hydrolyzed completely as observed with no $Mg^2+$ being present. In the case of $Zn^{2+}$, even at 0.5 mM concentration, the pre-RNA was completely hydrolyzed. This observation suggested that $Zn^{2+}$ facilitates RNA hydrolysis more rapidly than $Mn^{2+}$ does. at 5mM $Ca^{2+}$, the RNA was not hydrolyzed and remained intact as a primary transcript.

  • PDF

STAT mRNA kinetic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during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in lewis rats

  • Jee, Young-heun;Hwang, In-sun;Shin, Tae-kyun;Moon, Chang-jong;Lim, Yoon-kyu;Yeo, In-kyu;Son, Hwa-yo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3-169
    • /
    • 2004
  •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autoimmune inflamma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we examined the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STAT1, STAT3, STAT4 and STAT6 molecules during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by competitive PCR. In the present study, we quantitated IL-4 and IL-12 p40 mRNA by competitive PCR in the CNS during EAE. IL-4 mRNA was found at early and peak stages. On the other hand, the IL-12 p40 mRNA level reached maximal levels at the peak stage and still found at the recovery stage of the disease. We examined the kinetics of STAT mRNA in the CNS during EAE and demonstrated that STAT1 and STAT4 mRNA reached a maximal level at the peak stage of EAE, whereas STAT3 mRNA level increased gradually to the recovery stage. STAT6 mRNA increased rapidly at the early stage followed by gradual decrease till the recovery stage.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AT4 which was probably activated by IL-12 plays a pro-inflammatory role and that STAT3 which was activated throughout the disease course seems to serve as a transducer of anti-inflammatory signals.

폐포대식세포에서 내독소 자극에 의한 Superoxide Dismutase 유전자발현의 조절 기전 (Superoxide Dismutase Gene Expression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in Alveolar Macrophage of Rat)

  • 박계영;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현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522-534
    • /
    • 1995
  • 연구배경: 내독소에 의한 급성 폐손상의 발병기전에서 산소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세포내에는 이러한 산소기에 의한 세포의 손상을 방지하는 정상 방어기전으로 여러 항산화효소가 존재하는데, 이중 SOD는 세포대사과정이나 외부 자극에 의해 생성된 superoxide로부터 세포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내 SOD는 주로 이중체의 구조로 세포질에 존재하는 CuZnSOD와 사중체의 구조로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MnSOD의 두 종류가 알려져 있으나, 폐포대식세포에서의 SOD mRNA 발현 및 그 조절기전에 대해서는 확실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백서의 폐포대식세포에서 내독소 자극에 의한 MnSOD와 CuZnSOD mRNA 발현양상을 관찰하고 내독소 자극시 니타나는 SOD mRNA 발현의 조절기전을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백서의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 얻은 세포를 plastic plate에 부착시켜 폐포대식세포를 분리한 후 내독소를 자극하여 내독소 용량($0.01{\mu}g/ml{\sim}10{\mu}g/ml$)과 자극시간(0, 2, 4, 8, 24 hrs)에 따른 MnSOD와 CuZnSOD MnSOD 발현양상을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여 관찰하였다. 다음 단계로 MsSOD와 CuZnSOD mRNA 발현의 조절기전을 밝히고자 폐포대식세포를 각각 AD($5{\mu}g/ml$) 또는 CHX($5{\mu}g/ml$)로 전처치한 후 내독소로 자극하여 MnSOD와 CuZnSOD mRNA의 발현양상을 관찰하였다. 한편 내독소 투여가 SOD mRNA의 안정성을 변화시키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폐포대식세포를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나누어 SOD mRNA의 분해속도를 비교하였다. 총 세포내 RNA는 guanidinium thiocyanate/phenol/chloroform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Northern blot analysis는 $^{32}P$로 표지된 백서의 MnSOD와 CuZnSOD cDNAs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백서의 폐포대식세포에서 MnSOD mRNA의 발현은 내독소 투여량의 증가세 따라 증가되었고 내독소를 투여하고 8시간후에 정점을 이루었으나, CuZnSOD mRNA의 발현은 내독소의 용량 및 투여후 반응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았다. 내독소 투여후 MnSOD mRNA의 발현증가는 AD 또는 CHX 각각의 전처치에 의해 모두 억제되었다. MnSOD mRNA의 안정성은 내독소 투여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백서의 폐포대식세포는 내독소 자극에 반응하여 SOD를 생성하는 중요세포이고, 내독소에 의한 MnSOD mRNA의 발현은 전사단계에서 조정되며 mRNA의 안정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새로운 단백의 합성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분열효모에서 hnRNP-유사 단백질인 THO4가 생장 및 mRNA 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nRNP-like protein THO4 on growth and mRNA export in fission yeast)

  • 박진희;이소정;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91-97
    • /
    • 2018
  • 진화적으로 보존된 TREX 복합체의 구성요소인 Yra1/ALY는 hnRNP-유사 단백질의 REF (RNA와 방출인자 결합단백질) 계열에 속하는 단백질로서 전사, 핵 RNA의 안정성, mRNA의 핵에서 방출 등 여러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게놈에는 2개의 REF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다. 이미 mRNA 방출인자로 알려진 Mlo3 이외에 THO 복합체의 구성인자로 예측되는 Tho4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tho4 (SPBC106.12c) 유전자의 결실이 생장과 mRNA의 방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tho4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면 생장이 늦어지고 $poly(A)^+$ RNA가 핵 안에 약간 축적되었다. ${\Delta}tho4$ ${\Delta}mlo3$${\Delta}tho4$ ${\Delta}mex67$ 이 중 돌연변이는 어느 것도 추가적인 생장 결함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Yeast two-hybrid와 공동침전(Co-immunoprecipitation) 분석에서 Tho4는 THO/TREX 복합체의 다른 구성인자들과 어떠한 상호작용도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관찰결과들은 S. pombe의 Tho4 단백질이 기대와는 다르게THO/TREX 복합체의 구성인자가 아니며, mRNA 방출에도 직접 관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Lithium에 의한 양극성 기분장애환자의 임파구 Inositol Monophosphatase mRNA 양의 변화와 임상경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of Lymphocyte Inositol Monophosphatase mRNA Level by Lithium and Clinical Course in Bipolar Affective Disorder)

  • 김석현;이민수;이장한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1호
    • /
    • pp.96-105
    • /
    • 2001
  • 임파구 IMPase mRNA 양이 lithium 투여 전의 양극성 기분장애 환자와 정상대조군 사이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lithium 투여 전과 투여 4주후 측정한 환자군의 IMPase mRNA 양 사이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 IMPase mRNA 양을 기준으로 환자의 정신병리와 임상경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최소 2주 이상 lithium을 투여하지 않은 상태의 16명(남자 6명, 여자 10명)의 양극성 기분장애 환자와 성별, 연령을 고려하여 선발한 정상 대조군의 임파구 IMPase mRNA 양을 RT-PC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환자군의 정신병리는 Young Mania Rating Scale과 Clinical Global Impression을 이용하여 입원 당일 및 4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IMPase mRNA 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lithium 투여 전과 투여 4주후 환자군의 IMPase mRNA 양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lithium 투여 전에 측정한 환자군의 IMPase mRNA 양이 적을수록 4주 후의 정신병리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ithium 투여 전에 측정한 환자군의 IMPase mRNA양이 많을수록 4주 동안 뚜렷한 임상적 호전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임파구 IMPase mRNA 양이 양극성 기분장애 환자를 정상 대조군과 구분해 줄 수 있는 생물학적 특성은 아니었다. 그러나 lithium 치료 전의 IMPase mRNA 양이 환자의 정신병리와 임상경과에 대한 예측인자로 이용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PDF

Regulation of Laminin Chain Gene Expression by Ovaria Steroid Hormones in Uterine Tissues of Ovariectomized Mice

  • Chanseob Shim;Dongho Geum;Park, Doncha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1호
    • /
    • pp.115-121
    • /
    • 1997
  • To precisely analyze the role of ovarian steroids in the regulation of laminin chain gene expression in mouse uterine tissues, the ovariectomized mouse model was used. Ovariectomized mice received a single injection of steroid hormones and total RNA was isolated from whole uterine tissues. Messenger RNA levels of each laminin chain (A, 81, and 82) were determined by competitive RT-peR procedures. Estradiol decreased mRNA levels of laminin 81 chain about two-fold, and 82 chain rather moderately. Estradiol-induced inhibition of laminin 81 and 82 chain mRNA levels were completely blocked by pretreatment with estrogen receptor antagonist tamoxifen. Estriol, a short acting estrogen which cannot induce hyperplastic responses of rodent uterine tissues, also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81 and 82 chain mRNA levels, while estrone, an inactive estrogen, failed to influence either 8 chain mRNA levels. Effects of steroids on A chain mRNA level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n 8 chains. Laminin A chain mRNA level was slightly increased by estradiol treatment, but negatively affected by progesterone. Progesterone treatment greatly increased both 8 chain mRNA levels, but slightly decreased A chain mRNA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The effect of progesterone on laminin chain-specific mRNA levels was further increased by co-injection of estradiol in a time-dependent manner. Progesterone-induced 81 and 82 chain mRNA transcription was inhibited by RU486, a synthetic anti-progesterone /anti-glucocorticoi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for the first time that steroids are able to regulate laminin gene expression in mouse uterine tissues, indicating that steroid-regulated laminin gene expression is involved in uterine growth and probably differentiation.

  • PDF

Hydrocortisone 투여가 비유중기 재래산양의 유단백질과 유선세포 Prolactin Receptor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ocortisone Administrations on Expressions of Casein and Prolactin Receptor mRNAs in Mammary Glands of Mid-Lactation of Korean Goats)

  • 전기준;김재영;최재관;정영훈;박정준;이용준;우제석;서동석;홍승국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1-177
    • /
    • 2002
  • Glucocorticoid는 비유기 동물의 유선세포 pro-lactin receptor(PRL-R) 발현을 증가시키며, 전반적인 유선세포의 유합성 작용을 활성시킴으로 유합성 능력을 증진시킨다. 유선세포 PRL-R 발현량 증가는 유생산량 향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실험은 비유중기의 재래산양의 유합성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0.05. 0.1과 0.2 g hydrocortisone을 5ml의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정맥투여하고 유선세포 PRL-R와 $\alpha$-유단백 질 mRNAs 발현 량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로는 5$m\ell$의 생리식염수를 정맥투여 하였다. 24시간 후 유선조직을 채취하여 $\alpha$-유단백질과 PRL-R mRNA 발현량을 competitive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로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Hydrocortisone 처리 24시간 후 재래산양 유선세포의 PRL-R mRNA 발현량은 대조구의 PRL-R mRNA 발현량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lpha$-유단백질 mRNA 발현은 대조구에 비하여 0.05g hydrocortisone투여구는 37%, 0.1g hydrocortisone 투여구는 630%, 0.2g hydrocortisone 투여구는 386% 증가하였다. Hydrocortison 처리에 의한 유선세포 PRL-R mRNA 발현에 변화가 없었으나 $\alpha$-유단백질 mRNA 발현 증가는 세포 내 기능성 단백질 발현과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단백질의 시간에 따른 발현양상의 차이인 것으로 사려된다. 본 연구에서 비유중기 재래산양에 hydrocortisone 투여는 $\alpha$-유단백질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