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sosomal membrane stabilit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유세포 분석기와 Neutral Red Retention Assay를 이용한 자연산 참굴(Crassostrea gigas)의 면역력 측정 (Assessment of Immune Parameters of the Wil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using a Flow Cytometry and Neutral Red Retention Assay)

  • 홍현기;강현실;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37-149
    • /
    • 2012
  • 남해의 광양만과 진해만에 서식하는 자연산 참굴의 건강성 평가를 위해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혈구의 기능들을 유세포 분석기와 Neutral Red Retention(NRR) assay를 이용하여 신속,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광양만과 진해만의 안쪽과 바깥쪽에 서식하는 자연산 참굴의 혈구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혈구의 종류를 분류하고, 혈구 종류별 수, 사멸률, DNA 손상도, 식세포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NRR assay를 이용하여 혈구의 lysosomal membrane stability를 측정하였다. 참굴의 혈구는 granulocytes, hyalinocytes, blast-like cells의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되었다. 조사 지역 간의 혈구의 수, 사멸률, DNA 손상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식세포율과 lysosomal membrane stability와 같은 면역 관련 기능들은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진해만은 내만과 외만 지역에 서식하는 참굴의 혈구 면역인자들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광양만에 서식하는 참굴은 내만 지역의 섬진대교가 외만 지역의 평산리 지역에 서식하는 참굴보다 낮은 식세포율과 낮은 lysosomal membrane stability를 보여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해양환경 변화와 시료의 면역력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사지역의 환경적 특성이나 오염정도, 그리고 시료 내의 오염물질 축적량 등의 객관적인 분석 결과와의 종합적인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유세포 분석기와 NRR assay를 이용한 참굴 혈구 집단의 형태 변화 및 면역능 측정 기술은 시료의 전처리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세포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 tool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ellular Biomarker of Membrane Stability and Hydrolytic Enzyme Activity in the Hemocytes of Benzo(a)pyrene-expos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Jo Qtae;Choy Eun-Jung;Park Doo Won;Jee Young-Ju;Kim Sung Yeon;Kim Yo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263-270
    • /
    • 2002
  • The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were stress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enzo(a) pyrene and depurated to determine the hemocyte lysosomal membrane stability and hydrolytic enzymatic activity as a biomarker candidate to the chemical, using NRR (neutral red retention) and API ZYM System, respectively. The membrane damage measured as NRR decrease was significant with the increase of chemical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 (P<0.05), providing a possible tool for biomarker. Interestingly, the control showed intrinsic stress probably due to captive life in the laboratory, and a recovering trend was also found during the depuration. The benzo(a)pyrene-exposed oysters showed increased enzyme activities in alkaline phosphatase, esterase (C4), acid phosphatase, naphthol-AS-BI-phospho­hydrolase, $\beta$-galactosidase, $\beta$-glucuronidase, and N-acetyl- $\beta$-glucosaminidase. Of them, only two enzymes, acid phosphatase and alkaline phosphatase, showed some potential available for the generation of enzymatic biomarker in the oyster. The results are suggestive of the potential availability of the cellular and enzymatic properties as a biomarker. However, considering that a robust biomarker should be insensitive to natural stress coming from normal physiological variation, but sensitive to pollutants, a concept of intrinsic stress the animal possess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reflects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on the intrinsic stress affecting the cellular and enzymatic properties of the chemical­stressed oysters prior to using the data as a biomarker.

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남해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Crassostrea gigas) 소화맹낭 세포 내 리소솜 활동 측정에 관한 연구 (Cytochemical Measurement of Lysosomal Responses in the Digestive Cells of Wil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on the South Coast of Korea)

  • 정희도;이지연;홍현기;강현실;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51-163
    • /
    • 2012
  • 이매패류의 소화맹낭은 고도로 발달된 리소솜 시스템을 지니고 있어 소화작용과 함께 오염물질의 해독과 배출작용을 담당한다. 따라서 소화맹낭의 리소솜 시스템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동결절편을 이용한 조직학적 방법으로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 소화맹낭의 리소솜 활동을 측정하였다. 참굴은 2010년 6월 광양만 내만의 초남대교, 차면리와 외만의 신덕리, 평산리 조간대에 서식하는 굴을 채집하였다. 제작된 동결절편을 이용하여 lysosomal membrane stability(LMS) 및 lipofuscin(LF) 축적, neutral lipid(NL) 축적, 소화맹낭 위축도(digestive gland atrophy, DGA)를 평가하였다. 비만도 및 소화맹낭 위축도는 내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MS는 내만이 외만에 비해 짧은 리소솜 막 불안정화 시간을 보였지만 지역별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LF 축적은 내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유의적으로 높은 축적을 보였지만(P<0.05), NL 축적의 경우 외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유의적으로 높은 축적을 보였다(P<0.05). DGA와 LF의 경우 내만과 외만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이는 환경오염의 수준과 관련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분석항목은 연안환경평가에서 좋은 biomarker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노출이 참굴, Crassostrea gigas, 혈구의 lysosomal membrane stability에 미치는 영향

  • 정우건;조상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89-390
    • /
    • 2003
  • 리소즘은 가수분해효소와 같은 각종 효소를 저장하고 있고, 이러한 효소는 지방, 지질 및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세포내로 들어오는 이들 물질을 분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리소좀은 여러 가지 Xenobiotics에도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Lowe et al., 1995, Shepard and Bradley, 2000), 리소즘막의 손상은 결국 Xenobiotic의 세포내 출입의 조절능을 상실하게 되고, 나아가 ATP-dependent proton pump의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Lowe et al., 1992). (중략)

  • PDF

δ-Catenin Increases the Stability of EGFR by Decreasing c-Cbl Interaction and Enhances EGFR/Erk1/2 Signaling in Prostate Cancer

  • Shrestha, Nensi;Shrestha, Hridaya;Ryu, Taeyong;Kim, Hangun;Simkhada, Shishli;Cho, Young-Chang;Park, So-Yeon;Cho, Sayeon;Lee, Kwang-Youl;Lee, Jae-Hyuk;Kim, Kwonseop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4호
    • /
    • pp.320-330
    • /
    • 2018
  • ${\delta}$-Catenin, a member of the p120-catenin subfamily of armadillo proteins, reportedly increases during the late stage of prostate cancer. Our previous study demonstrates that ${\delta}$-catenin increases the stability of EGFR in prostate cancer cell line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behind ${\delta}$-catenin-mediated enhanced stability of EGFR was not explored.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delta}$-catenin enhances the protein stability of EGFR by inhibiting its lysosomal degradation that is mediated by c-casitas b-lineage lymphoma (c-Cbl), a RING domain E3 ligase. c-Cbl monoubiquitinates EGFR and thus facilitates its internalization, followed by lysosomal degradation. We observed that ${\delta}$-catenin plays a key role in EGFR stability and downstream signaling. ${\delta}$-Catenin competes with c-Cbl for EGFR binding, which results in a reduction of binding between c-Cbl and EGFR and thus decreases the ubiquitination of EGFR. This in turn increases the expression of membrane bound EGFR and enhances EGFR/Erk1/2 signaling. Our findings add a new perspective on the role of ${\delta}$-catenin in enhancing EGFR/Erk1/2 signaling-mediated prostate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