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ophilized powder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Improvement in microbial stability of photosynthetic bacteria via optimized cell immobilization and lyophilization: Application to the treatment of shrimp aquaculture water

  • Kyoung Sook, Cho;Joong Kyun, Kim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23
    • /
    • 2022
  • Photosynthetic bacteria (PSB) play an important role in water purification, and their application is beneficial for sustainable aquaculture. However, maintaining the microbial stability of PSB from subculturing to preservation is a challenging task. Since improvement in the microbial stability of PSB is a crucial parameter, optimized conditions for cell immobilization and lyophilization were investigated. In PSB immobilization, 0.1-M CaCl2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divalent metal ion solution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resulting in beads with a 4-mm diameter and high loading (1.91×109 CFU/mL) of viable cells. Maintenance of cell viability, external appearance, and color of PSB beads was best in 3.5% NaCl during storage. In lyophilization, the addition of skim milk (9%) and dextrose (2%) as cryoprotective additives allowed the highest cell viability. Over an 18-week shrimp breeding period, when optimally manufactured beads and lyophilized powder of PSB were applied to shrimp aquaculture water, NH4+, NO3-, and NO2- were more effectively removed by 55%, 100%, and 100%,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s. Thus, microbial stability of PSB through optimized cell immobilization and lyophilization was successfully enhanced, enabling a wide application.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곰취 인절미의 제조법 표준화 연구 (A Study on Different Pre-processing of Ligularia fischeri Injeolmi to Standardize Its Processing)

  • 최소례;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9-369
    • /
    • 2016
  • In this study Ragwort, which had various and excellent pharmacological activity, was selected as a functional material, and intended to present an optimum condition of Ragwort Injeolmi by the blanching method, commonly used in the field. The general components, antioxidation, and dietary fiber of Ragwort were analyzed, and produceableness of Ragwort added Injeolmi was reviewed through instrumental inspection and sensory evaluation of various adding ratio of lyophilized Ragwort power and Ragwort pre-processed by blanching. It was proved that the SOD-likely active of Ragwort was 45.69%, total poly- phenol content was 12.45 m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as 10.25 mg. The pH of Injeolmi adding Ragwort powder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order of 0%, 1%, 3%, 5%, while that of Injeolmi adding blanching Ragwort showed increasing trend in the order of 0%, 10%, 15%, 20%,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The soluble solid content of all sample groups showed constant value, and it was understood that no sugar was added in the process. From chromatography measurement result, a-value (redness) of 1% sample group was the lowes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 groups (p<0.001). During 3 days of storage period, total microbial count of Injeolmi showed increasing trend while the storage period was getting longer. From the acceptability test Injeolmi adding blanching Ragwort had shown generally higher value.

초음파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분말의 유통기한 연장 및 생존율 증대 효과 (Shelf-Life Extension and Increase in Survivability of Probiotics Powder by Ultrasonic Treatment)

  • 홍동기;정성은;이명희;이호진;이재호;나국남;최일동;이정열;심재헌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220-225
    • /
    • 2018
  • 프로바이오틱스의 배양 및 동결건조 과정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사멸하지 않을 정도의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율 및 안정성이 높아지고, 코팅제가 골고루 분산되어 코팅 효율이 높아져 프로바이오틱스의 유통안정성 및 소화 생존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참비름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콜레스테롤 급이 흰쥐에 대한 혈액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mbirum 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Fed Cholesterol)

  • 황초롱;이수정;류지현;강재란;강신권;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80-486
    • /
    • 2012
  • 참비름의 $in$ $vitro$ 라디칼 소거활성 및 콜레스테롤 급이 흰쥐에 보충 급이할 경우 혈액 중 지질 성분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참비름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의 ABTS, DPPH 및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콜레스테롤을 급이한 대조군에 비해 5%(HCA1) 및 10%(HCA2)의 참비름 분말 급이 시 혈청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함량, 동맥경화지수 및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는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중성지방은 HCA2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참비름 분말 급이 시 증가하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혈중 GPT 및 ${\gamma}$-GTP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참비름 분말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같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참비름은 식이성 콜레스테롤에 의한 질환의 조절에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Noodles With Perilla Leaves)

  • 김창열;최상호;김정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2-1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효능과 기능성 및 향균작용이 있는 �牡牡� 생면에 첨가하여 최적의 조리적용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생면에서 수분함량의 결과는 생 깻잎 즙 0%를 첨가한 대조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동결 건조한 분말 7% 첨가한 생면이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생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은 시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pH가 증가 하였다. 생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과 동결 건조한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은 L값은 생 들깻잎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그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값은 생 들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의 중량은 생 들깻잎을 첨가할수록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피의 경우는 중량과 정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탁도의 경우는 생 깻잎과 동결 건조한 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탁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 깻잎을 첨가한 생면의 경도(Hardness)는 생 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탄력성(Springiness)과 씹힙성(Chewiness), 응집성(Cohesiveness)은 생 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깻잎 생즙, 동결 건조 �牡�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을 미생물 변화는 저장 0일에는 모든 첨가군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균의 수가 줄어들었다. 생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의 관능검사를 결과는 외관(Appearance)과 향(Flavor), 색(Color), 맛(Taste), 조직감(Texture)은 9% 첨가가 모든 부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전체적인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9% 첨가가 7.67로 가장 높았고, 동결 건조한 들깻잎을 첨가하여 제조한 조리면의 외관, 냄새, 색, 맛, 조직감, 전반적인 품질을 평가항목으로 관능검사를 결과는 외관(Appearance)과 향(Flavor)은 3% 첨가가 7.60으로 가장 높았다. 색(Color)과 맛(Taste)은 3% 첨가가 7.67로 가장 높았다. 조직감(Texture)은 3%와 5% 첨가가 6.87, 6.20로 가장 높았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3%첨가가 7.07로 가장 높았다. 생들깻잎은 9% 첨가시, 동결건조 깻잎은 3% 첨가시 최적의 맛을 나타냈다.

  • PDF

알로에 베라(Aloe vera) 겔 중 총 다당체 시험법 개선 (Improve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Total Polysaccharides in Aloe vera Gel)

  • 이영주;김윤제;임동길;윤태형;신지은;윤창용;김정훈;박미선;강태석;정자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1-276
    • /
    • 2012
  • 건강기능식품 중 알로에 베라 겔 제품의 기능성분(지표성분)은 총 다당체로 설정되어 있으며 식품공전 시험법은 페놀황산법에 의하여 총 다당체 함량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놀황산 반응에 의한 총 다당체 분석의 분석편차 발생의 주요인으로 파악된 투석단계에 대하여 세부 분석조건(투석막의 너비, 투석외액의 부피와 교체시간, 투석 후 정용여부, 페놀황산 반응시간)에 대한 최적 조건을 설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표준화된 시험법을 마련하여 실험자, 실험실의 주관적 설정에 의한 편차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표준화 된 시험법의 검증을 위해 알로에 베라 겔 원료성 분말 및 제품에 대하여 일내(2.56% 이하), 일간(4.85% 이하) 정밀성과 실험실간(5.50% 이하), 실험자간(6.64% 이하) 정밀성을 확인한 결과, 비교적 높은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알로에 겔 유통제품에 대한 정밀성에서도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수준(7.08% 이하)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최적화한 표준 시험법에 따른 총 다당체 분석은 알로에 겔 제품 검사의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계란 급여가 일반식이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C57BL/6 마우스의 혈중지질과 분변 담즙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n Egg Supplementation on Blood Lipid Profile and Fecal Bile Acid of C57BL/6 Mouse Fed Normal and High Cholesterol Diet)

  • 장애라;김동욱;박정은;최주희;강근호;함준상;오미화;설국환;이승규;김동훈;김현욱;황경아;황유진;김혜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0-256
    • /
    • 2011
  • 계란급여에 따른 혈중지질특성과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를 공시하여 일반식이군과 고콜레스테롤식이군으로 나눈 후 계란을 2%와 10% 첨가한 사료를 5주동안 급여하였다. 일반사양성적(체중,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혈액과 간조직, 분변의 지질함량 및 담즙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중과 사료효율은 일반식이와 고콜레스테롤식이군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섭취량은 10% 계란 첨가구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HDL-C농도는 일반식이 급여군에서 2%와 10% 계란 첨가구 모두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간 조직 내 TG와 TC농도는 일반식이군에서 계란의 급여가 TG와 TC 증가에 영향을 미친 반면 고콜레스테롤식이군의 경우 TG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TC는 10% 계란 급여군에서 감소하였다(p<0.05). 분변의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담즙산 농도는 일반식이군과 고콜레스테롤식이군 모두 계란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TC와 TG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담즙산 농도 역시 일반식이 급여군에서 계란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보여 계란이 분변의 콜레스테롤 함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생마늘, 홍마늘 및 흑마늘 분말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sh, Red and Black Garlic Powder on Lipid Metabolism of Obese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 김라정;이수정;김미주;황초롱;강재란;정우재;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159-170
    • /
    • 2010
  • 생마늘 (FGP), 홍마늘 (RGP) 및 흑마늘 (BGP)의 동결건조 분말을 각각 3%씩 비만 유도된 흰쥐에 4주간 혼합 급이한 후 혈청, 간 및 분변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이효율은 마늘 분말 급이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혈청 중 총 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7.0~20.9%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RGP군은 42.1%, BGP군은 40.8%정도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마늘 분말 급이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마늘 분말 급이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과 유의차는 없었다. 간 조직의 총 지질은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RGP와 BGP 급이군에서 30%이상 감소되었다. 분변의 지질 함량은 마늘 분말의 급이 기간이 길수록 지질 함량이 높았으며, RGP군에서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출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혈청과 간 조직의 TBARS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RGP군과 BGP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항산화능은 혈청에서 RGP군이 68.1%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고지방식이로 인해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게 홍마늘 및 흑마늘 분말을 급이는 체지방 증가 억제, 체내 지질 배출 증가 등에 의한 체내 지질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of Blue Honeysuckle Concentrate in Mice

  • Kim, Hyung-Soo;Park, Sang-In;Choi, Seung-Hoon;Song, Chang-Hyun;Park, Soo-Jin;Shin, Yong-Kook;Han, Chang-Hyun;Lee, Young Joon;Ku, Sae-Kwa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61-68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single oral dose toxicity information for concentrated and lyophilized powder of blue honeysuckle (Lonicera caerulea L., Caprifoliaceae; BHcL) in female and male ICR mice to ai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natural origin medicinal ingredients or foods following proximate analysis and phytochemical profile measurement. The proximate analysis revealed that BHcL had an energy value of 3.80 kcal/g and contained 0.93 g/g of carbohydrate, 0.41 g/g of sugar, 0.02 g/g of protein, and 0.20 mg/g of sodium. BHcL did not contain lipids, including saturated lipids, trans fats, or cholesterols. Further, BHcL contained 4.54% of betaine, 210.63 mg/g of total phenols, 159.30 mg/g of total flavonoids, and 133.57 mg/g of total anthocyanin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a single oral BHcL treatment, there were no treatment-related mortalities, changes in body weight (bw) or organ weight, clinical signs, necropsy or histopathological findings up to 2,000 mg/kg bw, the limited dosage for rodents of both sexes. We concluded that BHcL is a practically non-toxic material in toxicity potency.

사료내 동물성 단백질원들이 조피볼락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nimal Protein Source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ogeli)

  • 배승철;김강웅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85
    • /
    • 1997
  • 본 연구는 조피볼락 사료에 있어서 동물성 단백질원들의 영양적 평가(체조성과 성장)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6가지 실험사료 중 북양어분구(WFM), 넙치근육구(FMM), 오징어간분구(SLP)는 한가지, 혈분구(BM)는 혈분과 북양어분을, 카제인구(CG)는 카제인, 젤라틴 및 북양어분을, 그리고 난단백구(EWA)는 난단백, 젤라틴 및 북양어분을 단백질원으로 이용하여 사료내 조단백질 함량을 50%로, 가용에너지는 15.9 KJ/g (physiological fuel value ; 단백질 : 지방 : 탄수화물 = 16.7 KJ/g : 37.7 KJ/g : 16.7 KJ/g)으로 조정하였다. 성장률, 사료효율 및 단백질효율은 북양어분구보다 넙치육분, 오징어간분구보다 혈분구 그리고 난백구보다 카제인구가 유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P<0.05), 혈분구는 북양어분을 혼합하여 혈분의 기호성을 높인 결과로 사료된다. 6가지 실험구의 전어체 분석, HSI, Hb, Hematocrit은 다양하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상기 결과는 조피볼락에 있어서 동결 건조된 넙치근육분이 가장 좋았고, 난단백은 가장 저조한 성장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