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mph node ratio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3초

위에 발생한 신경내분비 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Neuroendocrine Tumor of the Stomach)

  • 이철민;신연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204-209
    • /
    • 2008
  • 목적: 위에 발생하는 신경내분비 종양은 국내에서도 그 보고가 드문 매우 독특한 조직형인데, 이 종양의 임상병리학적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암으로 수술받은 4,159예 중 신경내분비 종양으로 진단받은 13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조직 표본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위 신경내분비 종양은 남자 11예, 여자 2예였고, 평균나이는 54.9세(42~72)였으며, 주증상은 상복부 통증과 속쓰림이 많았다. 점막 또는 점막하 종양 2예를 제외하고 나머지 9예는 모두 근육층 이상을 침범한 진행성이었고, 종양의 평균 크기는 7.0 cm (0.7~15)였다. WHO 분류법에 의한 내분비 종양의 유형은 제 3형이 8예, 제 4형이 4예, 제 1형이 1예였다. 림프절 전이는 11예에서 있었고, 추적 기간내 재발한 4명의 환자 모두 제 3형과 제 4형이었고, 재발한 장기는 간이 2예, 다장기(복막, 폐) 1예, 다장기(간, 췌장, 십이지장) 1예였고, 생존 기간은 평균 12.8개월이었다. 결론: 위에 발생하는 신경내분비 종양은 진단 당시 진행된 경우가 많았고 간 전이를 잘 하였으며 예후가 나쁜 독특한 조직형이다.

  • PDF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치료 (Treatment of Stomach Cancer Involving Esophagogastric Junction)

  • 이종목;백희종;박종호;임수빈;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30-936
    • /
    • 2001
  • 배경 : 식도-위 경계부위에 발생되는 암의 원발병소에는 하부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 바렛씨 식도에서 발생한 선암, 위의 분문부에서 발생한 선암, 그리고 상부 위암에서 하부식도를 침범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중 국내에서는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선암의 대부분은 상부위암의 경계부 침범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등은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위암중 1988년부터 199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수술적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212명이 수술을 받았고 남녀비는 156:56 이었다. 나이는 22세에서 78세였고 정중복부절개, 좌 우 흥부절개 및 복부절개, 그리고 흉-복부 동시절개 등이 이용되었다. 술후 병기는 IA가 7명, IB가 11명, II가 26명, IIIA가 75명, IIIB가 35명, 그리고 IV기가 58명 이었다. 199명에서 근치적 절제를 할 수 있었고 200명에서 위의 전절제를 시행하였다. 164례 에서 하부식도의 침습이 있었다(77.4%). 74.1%는 복부 임파절에 전이가 있었고 17례(8%)에서 종격동 임파절의 침범이 있었다. 수술 사망률은 3.3%였고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35%였다. 결론 : 또 여러 가지 수술 접근방법이나 수술시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지만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수술시 충분한 절제길이와 적절한 임파절의 절제를 위하여 흉부 및 복부의 동시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ypofractionate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localized prostate cancer: a preliminary study

  • Kang, Hye Jin;Kay, Chul-Seung;Son, Seok Hyun;Kim, Myungsoo;Jo, In Young;Lee, So Jung;Lee, Dong Hwan;Suh, Hong Jin;Choi, Yong Su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4권1호
    • /
    • pp.45-51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assess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hypofractionate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in patients with localized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irty-nine patients who received radical hypofractionated IMR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ased on a pelvic lymph node involvement risk of 15% as the cutoff value, we decided whether to deliver treatment prostate and seminal vesicle only radiotherapy (PORT) or whole pelvis radiotherapy (WPRT). Sixteen patients (41%) received PORT with prostate receiving 45 Gy in 4.5 Gy per fraction in 2 weeks and the other 23 patients (59%) received WPRT with the prostate receiving 72 Gy in 2.4 Gy per fraction in 6 weeks. The median equivalent dose in 2 Gy fractions to the prostate was 79.9 G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lpha}/{\beta}$ ratio is 1.5 G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38 months (range, 4 to 101 months). The 3-year biochemical failure-free survival rate was 88.2%. The 3-year clinical failure-free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94.5% and 96.3%, respectively. The rates of grade 2 acute genitourinary (GU) and gastrointestinal (GI) toxicities were 20.5% and 12.8%, respectively. None of the patients experienced grade ${\geq}3$ acute GU and GI toxicities. The grade 2-3 late GU and GI toxicities were found in 8.1% and 5.4% of patients, respectively. No fatal late toxicity was observed. Conclusion: Favorable biochemical control with low rates of toxicity was observed after hypofractionated IMRT, suggesting that our radiotherapy schedule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in the treatment of localized prostate cancer.

CDC6 mRNA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the Aggressiveness of Prostate Cancer

  • Kim, Ye-Hwan;Byun, Young Joon;Kim, Won Tae;Jeong, Pildu;Yan, Chunri;Kang, Ho Won;Kim, Yong-June;Lee, Sang-Cheol;Moon, Sung-Kwon;Choi, Yung-Hyun;Yun, Seok Joong;Kim, Wun-Jae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7호
    • /
    • pp.303.1-303.10
    • /
    • 2018
  • Background: Cell division cycle 6 (CDC6) is an essential regulator of DNA replication and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acti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heckpoint mechanisms in the cell cycle. CDC6 has been associated with oncogenic activities in human cancers; howeve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CDC6 in prostate cancer (PCa) remains unclear.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the CDC6 mRNA expression level is a diagnostic and prognostic marker in PCa.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21 PCa patients and 66 age-matche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patients. CDC6 expression was evaluate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histochemical (IH) staining, and then compared according to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Ca. Results: CDC6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Ca tissues than in BPH control tissues (P = 0.005). In addition, CDC6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elevated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levels (> 20 ng/mL), a high Gleason score, and advanced stage than in those with low PSA levels, a low Gleason score, and earlier stage, respectivel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 expression of CDC6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dvanced stage (${\geq}T3b$) (odds ratio [OR], 3.005; confidence interval [CI], 1.212-7.450; P = 0.018) and metastasis (OR, 4.192; CI, 1.079-16.286; P = 0.038). Intense IH staining for CDC6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 Gleason score and advanced tumor stage including lymph node metastasis stage (linear-by-linear association, P = 0.044 and P = 0.003, respectively). Conclusion: CDC6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aggressiv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Ca. CDC6 may be a potential diagnostic and prognostic marker in PCa patients.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Prognosis of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A Time-Trends Study of the Korean Breast Cancer Registry Database

  • Bae, Soo Youn;Kim, Ku Sang;Kim, Jeong-Soo;Lee, Sae Byul;Park, Byeong-Woo;Lee, Seok Won;Lee, Hyouk Jin;Kim, Hong Kyu;You, Ji-Young;Jung, Seung Pil;Korean Breast Cancer Society
    • Journal of Breast Cancer
    • /
    • 제21권4호
    • /
    • pp.425-432
    • /
    • 2018
  • Purpose: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PABC) is rare, and its cause and prognosis are not well known. Additionally, treatment is limited with respect to the risk to the fe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trends of PABC and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treatment. Methods: In 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Registry database, women younger than 50 years and who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from 1996 to 2015 were included. PABC was defined as breast cancer diagnosed during pregnancy or within 1 year after delivery. Results: We examined 411 patients with PABC and 83,381 patients with non-PABC. Over time, the proportions of patients undergoing breast-conserving surgery and sentinel lymph node biopsy increased,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dministration rates also increased. In the past, the overall survival of patients with PABC was poor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non-PABC,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rates in more recent yea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rates between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hazard ratio [HR], 1.28; 95% confidence interval [CI], 0.66-2.49; p=0.459), but PABC conferred poorer prognosis than non-PABC in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HR, 1.63; 95% CI, 1.27-2.08; p<0.001).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gnosis between patients with PABC and those with non-PABC receiving neoadjuvant chemotherapy. The increase in neoadjuvant chemotherapy according to current treatment guidelines is expected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PABC.

Does epithelioid angiomyolipoma have poorer prognosis, compared with classic angiomyolipoma?

  • Lee, Wonchul;Choi, Se Young;Lee, Chanwoo;Yoo, Sangjun;You, Dalsan;Jeong, In Gab;Song, Cheryn;Kim, Kun Suk;Hong, Bumsik;Hong, Jun Hyuk;Ahn, Hanjong;Kim, Choung-Soo
    •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 /
    • 제59권6호
    • /
    • pp.357-362
    • /
    • 2018
  • Purpose: Classic angiomyolipoma (AML) is common benign kidney tumor. However, some studies have claimed that epithelioid angiomyolipoma (EAML) has malignant potential. We compared the patient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EAML and classic AML to demonstrate predicting factors and poorer prognosis of EAML.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3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EAML (n=27, 11.7%) or classic AML (n=204, 88.3%), were reviewed. All patients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before operation or needle biopsy. We assessed the age, sex, tumor size, body mass index, comorbidities, and Hounsfield unit (HU) according to each CT phase. We defined the unfavorable group as patients with recurrence, metastasis and death due to tumor progress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predict EAML. Results: EAML patients were younger (41.2 years vs. 49.1 years, p=0.001), predominantly male (55.6% vs. 28.4%, p=0.005), and had a larger tumor (7.5 cm vs. 4.2 cm, p<0.001). The median pre-contrast HU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ML and classic AML ($29.9{\pm}23.7$ vs. $14.7{\pm}41.0$, p=0.071). In multivariable analysis, younger age (odds ratio [OR], 0.96; p=0.032), male sex (OR, 3.33; p=0.013), and tumor larger than 4 cm (OR, 3.8; p=0.009) wer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ive patients (18.5%) had unfavorable outcomes, two patients had lymph node metastasis, and three patients had lung metastasis. Conclusions: Patient and tumor characteristics can be helpful in determining the type of AML preoperatively. Younger age, male sex, and larger tumor mass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diagnosing EAML. EAML has malignant potential and requires careful follow-up.

Multidetector CT Characteristics of Fumarate Hydratase-Deficient Renal Cell Carcinoma and Papillary Type II Renal Cell Carcinoma

  • Ling Yang;Xue-Ming Li;Ya-Jun Hu;Meng-Ni Zhang;Jin Yao;Bin So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2호
    • /
    • pp.1996-2005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features of fumarate hydratase-deficient renal cell carcinoma (FH-deficient RCC) with germline or somatic mutation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papillary type II RCC (pRCC type II).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4 patients (mean ± standard deviation, 40.4 ± 14.7 year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FH-deficient RCC (15 with germline and 9 with somatic mutations) and 54 patients (58.6 ± 12.6 years) with pRCC type II were enrolled. The MDCT featur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entities and mutation subgroups, and were correlated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Results: All the lesions were unilateral and single. Compared with pRCC type II, FH-deficient RCC was more prevalent among younger patients (40.4 ± 14.7 vs. 58.6 ± 12.6, p < 0.001) and tended to be larger (8.1 ± 4.1 vs. 5.4 ± 3.2, p = 0.002). Cystic solid patterns were more common in FH-deficient RCC (20/24 vs. 16/54, p < 0.001), with 16 of the 20 (80.0%) cystic solid tumors having showed typical polycystic and thin smooth walls and/or septa, with an eccentric solid component. Lymph node (16/24 vs. 16/54, p = 0.003) and distant (11/24 vs. 3/54, p < 0.001) metastases were more frequent in FH-deficient RCC. FH-deficient RCC and pRCC type II showed similar attenuation in the unenhanced phase. The attenuation in the corticomedullary phase (CMP) (76.3% ± 25.0% vs. 60.2 ± 23.6, p = 0.008) and nephrographic phase (NP) (87.7 ± 20.5, vs. 71.2 ± 23.9, p = 0.004), absolute enhancement in CMP (39.0 ± 24.8 vs. 27.1 ± 22.7, p = 0.001) and NP (50.5 ± 20.5 vs. 38.2 ± 21.9, p = 0.001), and relative enhancement ratio to the renal cortex in CMP (0.35 ± 0.26 vs. 0.24 ± 0.19, p = 0.001) and NP (0.43 ± 0.24 vs. 0.29 ± 0.19, p < 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H-deficient RCC.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FH germline and somatic mutation subgroups in any of the parameters. Conclusion: The MDCT features of FH-deficient RCC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RCC type II, wherea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ermline and somatic mutation subgroups. A kidney mass with a cystic solid pattern and metastatic tendency, especially in young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FH-deficient RCC.

늑막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 of Pleural Effusion)

  • 김춘섭;주기중;이창환;박성민;심영웅;송갑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584-594
    • /
    • 1993
  • 연구배경 : 늑막염 환자는 흔히 보는 호흡기질환으로 결핵성에 의한 늑막염이 제일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근래에 와서 진단방법의 발전, 결핵이환율의 감소, 인간수명의 연장등으로 다른 원인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폐암 및 악성종양이 증가하여 이에 따른 암성과 다른 늑막염과의 빠르고 정확한 구별을 하여 신속한 치료를 요하기 위해 늑막염 환자의 제반검사와 임상양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 1989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4년간 315명을 대상으로 임상증세와 나이, 성별을 관찰하였고 흉부 X-선 촬영 및 늑막천자, Cope침을 사용한 늑막침생검, 임파선 조직검사, 기관지경검사 그리고 동반된 폐질환 등을 이용하여 원인규명 및 진단을 내렸고 늑막천자후 단백질양, LDH 양, Cholesterol 농도와 이들의 혈청에 대한 늑막액의 비를 측정하여 여출액과 삼출액을 비교하고 그 오류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315예중 삼출액이 288예(91.4%), 여출액이 27예(8.6%)였으며 삼출액중에서 결핵성이 82.3%, 암성이 12.2%, 감염성이 5.5%였다. 주소는 호흡곤란(58.7%), 흉통(54.9%), 기침 (50.2%) 순이었고 늑막액의 위치는 우측(51.4%), 좌측(41.3%), 양측(7.3%) 순이며 늑막액의 양은 소량(42.9%), 중등량(39.4%), 다량(17.7%) 순이었다. 비중은 1.030~1.039 범위가 51.4%, 1.020~1.029 범위가 23.5%순이었고 백혈구 수는 삼출액에서 $1000{\sim}5000/mm^3$ 범위가 51.4%, $250{\sim}1000/mm3^$ 범위가 23.3%순이며 백혈구 구분은 70% 이상이 결핵은 89.5%, 암성은 82.9% 였다. 삼출액과 여출액의 구별은 단백질양은 3.0g%, LDH 양은 200단위, Cholesterol 농도는 60mg/dl과 이들의 혈청에 대한 늑막액의 비를 0.5, 0.6 그리고 0.3을 기준으로 하였을때 삼출액의 오류빈도를 비교하면 5.2%, 13.9%, 8.0%와 7.6%, 9.7%, 5.6%를 나타내었다. 늑막침생검상 결핵성이 60.8%, 암성이 13.6%, 감염성이 2.3% 그리고 비특이성 염증이 23.3% 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우리나라에서는 결핵성 늑막염이 제일 많으며 여출액 및 삼출액의 감별에 단백질양과 LDH양 및 이들의 혈청에 대한 늑막액의 비와 더불어 Cholesterol 농도와 혈청 Cholesterol에 대한 늑막액의 Cholesterol의 비도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늑막침생검을 다른 검사에 우선하여 시행하여야 하며 비특이성 염증시 반복생검은 진단율을 높일 수 있어 정확한 진단 및 신속한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위에서 발생한 선-편평세포암종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Stomach)

  • 조용권;안지영;홍성권;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31-35
    • /
    • 2006
  • 배경: 위암은 조직학적으로 선암종이 가장 흔하며 선-편평세포암종은 전체 위암의 0.5%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편평세포암종의 발생기전 및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하여 명확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 치료 방법 역시 명확히 정립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원에서 체험한 선-편평세포암종을 정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은 8,268명의 환자 중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선-편평세포암종으로 확진된 8명의 환자를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가 5명, 여자가 3명이었으며 중앙 연령은 49 ($41{\sim}69$)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중부가 3명, 하부가 5명이었고 크기는 평균 6.2 ($2.5{\sim}8cm$)였다. 병기는 UICC 분류상 II기가 5명, III기가 2명, IV기가 1명이었으며 조직 검사상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경우는 7명에서 관찰되었고 전이 림프절 개수는 평균 3.7 ($1{\sim}14$)개였다. IV기 환자 1명은 위절제술을 시행하지 못하고 위-공장우회술만 시행하였고 수술 후 5개월만에 사망하였다. 근치적 위절제술과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한 6명의 환자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34 ($12{\sim}66$)개월이었으며 1명은 경과 관찰 중 손실되었고 2명은 수술 후 각각 30개월과 34개월에 재발로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4명은 재발의 증거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위에서 발생하는 선-편평세포암종도 선암종과 마찬가지로 림프절 절제를 포함한 근치적 위절제술과 함께 술 후 보조 항암 화학 요법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X>$1,000{\mu}g$을 1개월 간격으로 $5{\sim}6$회 근육 주사하면 정상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사료된다. 실험동물모델의 신경연접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신경연접의 형태적 가소성을 이해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척도(r=-.341, p=0.036)는 보호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점수가 낮았다. 5) 사회적 관계 영역(영역 3)과 관련 있는 요인은 없었으나, 하부척도 중 성적활동 척도는 교육년수가 길수록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r=0.344, p=0.037). 6) 환경 영역(영역 4)은 교육년수가 길수록 점수가 높았지만(r=0.482, p=0.003), 환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낮은 삶의 질 수준을 보고하였다(r=0.328, p=0.044). 한편 하부 척도 중에서는 신체적 안전 척도(r=-0.414, p=0.010), 거주환경 척도(r=-0.429, p=0.007), 새로운 정보나 기술의 취득 척도(r=-0.382, p=0.018), 의료서비스 및 사회보장서비스 척도(r=-0.351, p=0.031)가 환아의 나이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체적 안전척도는 보호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낮음을 보고하였다(r=-403, p=0.012). 한편, 새로운 정보나 기술의 취득척도(r=0.406, p=0.013), 여가활동 척도(r=0.464, p=0.004), 교통 척도(r=0.363, p=0.027)은 교육연수가 길수록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결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의 보호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삶의 질은 건강대조군에 비해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환아의 나이가 많을수록, 보호자의 교육연수가 낮을수록 스스로 느끼는 삶의 질의정도가 낮았으므로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 PDF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의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과 임상 양상에 대한고찰 (Chest CT findings and Clinical features in Mediastinal Tuberculous Lymphadenitis)

  • 이영실;김경호;김참선;조동일;유남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481-491
    • /
    • 1995
  • 연구배경: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은 최근 성인에서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기관지 결핵을 일으켜 기관지 협착등의 심한 합병증을 동반할 뿐만아니라, 항결핵제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치료가 어렵고 재발을 잘하는 경향이 있어 단순 폐결핵과는 달리 그 치료 및 경과 관찰에 좀더 많은 주의를 요한다. 이에 저자들은 이 질환에 대한 방사선학적 보고는 있으나, 임상적 양상 및 치료성적에 대한 국내 보고가 없었기에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과 함께 국립의료원 흉부내과에서 종격동결핵성 임파선염으로 진단된 29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1990년 4월부터 1995년 3월까지 국립의료원 흉부내과에 내원하여 단순 흉부 X-선 사진, 객담내 항산성 결핵균 도말검사와 결핵균 배양검사, 경부 임파절 흡입세포검사, 늑막 생검, 기관지 내시경 검사시 시행한 기관지 세척액 항산성 결핵균 도말검사와 배양검사 및 조직검사, 흉부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결핵으로 진단된 29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 환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입원당시 임상증상 및 증후, 동반된 다른 결핵성 질환, 단순 흉부 X-선 사진 소견상 임파절 종대 유무,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임파절의 모양과 크기 및 위치별 분포, 항결핵제에 투여에 따른 치료성적과 치료에 소요된 기간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는 모두 29예 이었고 성별 빈도는 남자가 12예(41%), 여자가 17예(59%)로서, 남녀의 비가 1:1.4이었으며, 평균연령은 29세(17~67세)이고, 20대가 45%로 가장 많았다. 2) 임상 증상 및 증후는 두경부에 촉지되는 종괴를 호소한 예가 18예(6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침, 객담, 호흡곤란, 체중감소 순이었다. 3) 순수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만 있는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97%)에서 폐결핵, 경부 결핵성 임파선염, 기관지 결핵, 결핵성 늑막염이 동반되었다. 그중 폐결핵과 기관지 결핵이 같이 동반된 경우가 7예(24%)로 가장 많았고, 폐결핵과 정부 결핵성 임파선염과 기관지 결핵과 결핵성 늑막염이 모두 동반된 경우가 2예에서 관찰되었다. 한편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과 동반된 각각의 결핵성 질환은 폐결핵이 22예(76%)로 가장 많았고, 경부 결핵성 임파선염과 기관지 결핵은 각각 15예(52%)이었다. 4) 단순흉부 X-선상 8예(28%)에서는 임파선의 종대를 볼수 없었으나, 21예(72%)에서 임파선 종대 소견올 보여주었고, 종괴 음영은 부기관부(paratrachea)에 16예(62%)로 가장 많았다. 좌우별 분포를 보면 우측 19예(73%), 좌측 7예(27%)로 우측이 훨씬 높았다. 5)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의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은 대상 환자 29명 중 각 임파절 개개의 구별이 가능한 23명에서, 총 64개의 임파절을 조영증강 되는 모양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균등조영증강형(Homogenous type)은 64개중 197n(30%), 말초조영증강형(Central low density type)은 64개중 30개(47%)로 가장 많았고, 변연지방유착형(Peripheral fat obliteration type)은 15개(23%)였다. 각 임파절 구별이 되지 않고 상호유착 소견을 보인 다발성유착형(Coalescent type)은 29명중 6명이었다. 임파절의 크기는 1~2cm이 64개중 56개(88%)로 가장 많았고, 크기가 증가할수록 말초조영증강형과 변연지방유착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6)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상 종대된 임파절은 부기관 임파절(paratrachea LN)에서 29명중 22명(76%)으로 가장 많았으며, 종대된 임파절 좌우측 분포를 보면 우측 26예(63%), 좌측 15예(37%)로 우측이 많았다. 7)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의 치료성적은 도중탈락된 6명과 진단 및 치료기간이 6개월 미만인 2명을 제외한 21명을 대상으로 했을때, 치료가 끝난 예는 9명(43%)으로 그 치료기간은 13~18개월이 가장 많았고, 현재까지 항결핵제를 투여하고 있는 예는 21명중 12명(57%)으로 이중 19개월 이상의 장기간 치료를 받고있는 환자는 반수를 차지하였다. 결론: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은 조영 증강후 임파절 내에 중심부 저음영과 함께 주변부 조영 증강되는 특징적인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을 가지고 있어 다른 종격동 질환과의 감별 및 그 진단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효과적인 항결핵제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치료가 어렵고 재발을 잘하는 경향이 있어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의 임상양상 및 치료에 대한 좀더 많은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