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Neoplasm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7초

선행요법 없이 초기치료로서 수술을 시행했던 예측되지 않은 N2 비소세포폐암의 치료 성적 (Outcomes of the Initial Surgical Treatment without Neoadjuvant Therapy in Patients with Unexpected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 심만식;김진국;윤유상;장성욱;김홍관;최용수;김관민;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39-46
    • /
    • 2010
  • 배경: 수술 전 항암요법은 원발 종양과 같은 쪽 종격동 또는 기관용골하 림프절전이가 있는 비소세포 폐암(N2 질환)에 대한 치료로서 본원의 치료방침으로 사용 중이나,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들의 위음성(false-negative)으로 인해 선행요법 없이 수술한 뒤 병리학적으로 N2 질환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초기 치료로서 수술을 시행했던 예측되지 않은 N2 비소세포폐암 치료의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고 초기 치료로서 폐절제술을 시행한 뒤 병리학적 N2로 확인된 225명의 환자들 중 술 전 림프절 병기가 N0 또는 N1이었던 170명의 환자들 연구 대상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율과 무재발 생존율 및 재발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생존율에 관계된 예후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5년 전체 생존율 (overall survival rate)은 35.4%였고, 중앙 생존 기간(median survival time)은 31개월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술 후 보조요법을 받지 않은 경우, 조직학적 유형이 선암이나 편평상피세포암이 아닌 경우, 병리학적 T 병기가 T2 이상인 경우, 70세 이상의 고령, 술 전 종격동내시경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예후가 더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과 관찰 중 79명(46.5%)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이중 20명(25.3%)은 국소재발이었고 56명(70.9%)은 원격전이로 재발하였다. 5년 무재발 생존율은 33.7%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초기 치료로서 수술을 시행했던 예측되지 않은 N2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생존율에 있어 비교적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보다 설득력 있는 결과를 위해서는 전향적 비교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완전 절제된 pT1/2N1 비세포폐암에서 수술 후 재발의 위험 인자 (Risk Factors for Recurrence in Completely Resected pT1/2N1 Non-small Cell Lung Cancer)

  • 박인규;정경영;김길동;주현철;김대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21-427
    • /
    • 2005
  • 완전절제는 pT1/2N1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지만 수술 후 5년 생존율은$40\%$정도이며 많은 환자가 암의 재발로 사망하게 된다. 완전 절제된 pT1/2Nl 비소세포폐암에서 재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 pT1/2N1 비소세포폐암으로 수술받은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특성, 조직병리학적 소견, 수술방법, 림프절 전이 양상, 술 후 보조요법 등과 재발과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 연령은 $59.3\pm9.1$세였으며 T1N1이 14명, T2N1이 103명이었다. 추적관찰기간은 27.5개월이었으며 5년 생존율은 $41.3\%$였다. 수술 후 재발은 44명$(37.6\%)$에서 관찰되었으며 원격전이가 40명이었다. 재발한 환자의 5년 생존율은 $3.3\%$로 재발이 없는 환자$(61.3\%)$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0), 전체 환자의 5년 무재발률(freedom-from recurrence rate)은 $54.1\%$였다. 무재발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다림프절군 N1 (multi-station N1)이 단일림프절군 N1 (single station N1)에 비해 재발의 위험도가 1.997배 높았다(p=0.047). 걸론: 완전 절제된 pT1/2N1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서 다림프절군 N1이 수술 후 재발의 위험인자였다.

고환에서 발생한 종자세포암의 폐전이 절제 - 1예 보고 - (Pulmonary Metastasectomy from Testicular Germ Cell Tumor - A case report-)

  • 조준우;박기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833-837
    • /
    • 2010
  • 이 보고는 고환종자세포암 치료 후 폐전이를 폐절제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이다. 항암치료 후 양전자방출단층촬영상 FDG의 유의한 섭취는 없었고 잔존종양을 원발 병소와 조직학적 비교를 위해 전이암을 제거하였다. 본 증례는 잔존종양에 생존세포가 관찰되지 않아 부가적인 항암치료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현재 술 후 6개월로 현재 재발이나 합병증 없이 잘 지내고 있다.

하악에 전이된 위 선양암종 (Metastatic gastric adenocarcinoma to the mandible)

  • 이지운;권기정;안현숙;고광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5권3호
    • /
    • pp.179-183
    • /
    • 2005
  • Metastatic tumors to the jaw bones are uncommon. The most common metastatic tumors to the jaw bones are the breast, lung and kidney. In the jaw bones, the common location of the lesions is the mandible, and the posterior area of the mandible is more commonly affected. The radiographic appearance is quite variable. In this report, a very rare case of metastatic gastric adenocarcinoma to the mandible is presented. The patient had undergone a gastrectomy 3 years ago.

  • PDF

기관지 점막표피종 치험 -1례 보고- (Bronchial Mucoepidermoid Carcinoma - 1 Case Report -)

  • 변형섭;안병희;이동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5호
    • /
    • pp.941-947
    • /
    • 1988
  • The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bronchus is very rare neoplasm. The histological appearance is an intimate mixture of mucous-producing cell and epidermoid cell. The malignant potency of the tumor was determined by histologic pattern. Bronchoplasty techniques represent the ideal form of excisional therapy for benign endobronchial tumor as well as tumors of low-grade malignant potential, such as bronchial adenoma, and for repair of traumatic airway injuries and benign stricture and selected group of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lung. We experienced a case of-low-grade mucoepidermoid carcinoma in a patient of 21-year old male who has been suffered from hemoptysis episodes for several years. The sleeve resection of left main bronchus and left lower lobectomy due to bronchiectatic change were carried out. The patient are being followed up without specific problem.

  • PDF

10세 소아에서 발생한 기관지 점막표피양 종양의 수술체험 -1례 보고-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Bronchus in a 10-Year-Old Child -A Case Report-)

  • 윤석원;김동관;박창률;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0호
    • /
    • pp.760-763
    • /
    • 2002
  • 기관지에서 발생한 점막표피양 종양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종양으로 특히 국내에서 13세 이하 소아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대개는 기관지 폐쇄에 의한 증상으로 발견되어 흔히 결핵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종양의 악성여부와 원위부 전이가 흔치 않아 수술적 완전 절제가 치료 원칙이며 예후는 조직학적 분류에 의해 결정된다. 본원에서는 기침과 열을 주소로 한 10세 남아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생검과 개흉술 통한 우 중, 하엽절제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종양을 제거하였기에 여러 문헌 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하부기관을 침범한 우상엽 편평상피세포 폐암 환자에서의 기관기관지 성형술-1례보고- (Tracheobronchoplasty in the Patient with Right Upper Lobe Squamous Cell Carcinoma Invading Lower Trachea- One case report-)

  • 박승일;정성호;김상필;최인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418-421
    • /
    • 2001
  • 53세 남자 환자가 객혈을 주소로 입워하여 우축 상엽 편평상피세로 폐암으로 진단 받았다. 캄퓨터 단층촬영상 하부 기관에 종양의 침윤이 의심되었다. 우측 하엽과 중엽을 보존하기 위해서 우측상엽과 하부 기관외측을 포함하여 절제하는 기관기관지 성형술 시행하였고, 수술후 우측 폐의 팽창은 완전하였다. 수술 후 1주일째 시행한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우측 중엽과 하엽의 기관지는 뒤틀림 없이 잘 유지되어 있었다. 수술 후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받고 현재 환자는 수술 후 1년 7개월 동안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저자들은 우측 상엽의 폐암이 기관 하부를 침범한 경우에 우측 기관 소매 전폐절제술의 합병증을 피하고 환자의 폐기능을 보조하면서 침윤된 우측상엽을 포함하여 절제하는 기관기관지 성형술을 시행하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Pulmonary Oncocytic Carcinoid 수술 시험 1례 (Pulmonary Oncocytic Carcinoid : 1 Case report)

  • 배철영;김동원;임충현;이혁표;최수전;김정숙;김정연;조혜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80-183
    • /
    • 2001
  • Oncocytic carcinoid는 매우 드문 종양으로 단지 몇 례만이 문헌상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좌폐 상엽에 발생한 oncocytic carcinoid 1례를 치험하였는데 환자는 56세된 여자환로 특이한 증상은 없었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좌폐상엽에 3$\times$3.5 cm 크기의 동종의 종괴를 보이고 있었다. 수술전 검사후 외과적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육안적소견상 4$\times$3cm 크기의 경계가 명확한 황갈색의 종괴였으며,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괴립성 호산성 세포질이 풍부한 양상을 보였으며 면역조직학적 검사에서는 cytokeratin에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EMA와 chromograin에 국소적인 양성반응을 보여, 폐에 발생한 oncocytic carcinoid로 진단하였다. 수술후 환자의 상태는 양호하였으며, 현재 외래추적관찰중이다.

  • PDF

선천성 종격동 기형종(신생아에 발생한 미성숙 기형종) 치험 1례 보고 (Clinical Experience of Mediastinal Immature Teratoma in a Newborn)

  • 정승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5호
    • /
    • pp.530-532
    • /
    • 1995
  • The teratomas seem to be the most common mediastinal tumor in Korea. However, the immature teratomas are the rarest type of these mediastinal teratomas. A case of immature teratoma of the mediastinum occurring in a newborn male is reported. He suffered from severe dyspnea since birth. Simple chest X-ray and chest sonogram revealed huge mass shadow in fight whole lung field. On 6th day after birth, the operation was done and the mass was completely excised. Biopsy showed elements of mature tissues derived from 3 germ cell layers including immature neuronal components. The baby is well without evidence of disease till now.

  • PDF

A Case of Pituitary Metastasis from Breast Cancer That Presented as Left Visual Disturbance

  • Kim, Young-Ha;Lee, Beom-Jun;Lee, Kyung-Jin;Cho, Jin-Hee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1권2호
    • /
    • pp.94-97
    • /
    • 2012
  • Tumors that metastasize to the pituitary gland are unusual, and are typically seen in elderly patients with diffuse malignant disease. The most common metastases to the pituitary are from primary breast and lung cancers. We report a 65-year-old woman with pituitary metastasis from breast cancer who presented with recent-onset left progressive deterioration of visual acuity and visual field. The clinical diagnosis was made after brain and sell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 large sellar mass compressing the optic chiasm and invading the pituitary stalk. An otorhinolaryngology and neurosurgery team removed the tumor via a transsphenoidal approach, and this procedure obtained symptomatic relief. Postoperatively, metastasis from breast invasive ductal adenocarcinoma was confirmed histologically. We report this unusual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