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minair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8초

Pattern Search법을 이용한 축구 전용 경기장의 조명기구 배치에 따른 조도분포 해석 (The Analysis of Illuminance Distribution by Luminaire Position of Soccer Stadium using Pattern Search Method)

  • 최홍규;최병숙;서범관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논문집
    • /
    • pp.43-48
    • /
    • 2003
  • 축구 전용 경기장에서 캐노피에 설치되는 등기구의 위치를 Pattern Search법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였다. 조명 등기구 배치간격을 변화시키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국·내외(FIFA, 유럽방송연맹, KS) 기준에 명시된 수평면 조도, 수직면 조도, 균제도, 눈부심 정도에 적합한 최적의 값을 찾았었다. 향후 국내 축구 전용 경기장 조명기구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 보수시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PDF

차세대 LED 조명의 국내외 표준화 동향 (Trend of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for LED Lightings)

  • 조미령;전상규;양승용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4
    • /
    • 2009
  • LED Lightings market remains highly fragmented, encompassing many niche applications. Architectural lighting is the largest and many applications are for colored (R, G, B) light. Hundreds of companies worldwide are participating at the luminaire or fixture level. Standard setting is on a fast track. The larger LED lightings market scale, the more important standardiza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techniques to clearly prescribe the product specification.

  • PDF

도로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연속도로조명기구에 의한 플리커 영향 평가 (Assessment of Flicker Effect by Road Lighting Luminaire Installed on the Guardrail)

  • 석대일;김원식;김훈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35
    • /
    • 2009
  • 도로 난간에 연속으로 설치되는 조명기구에 의한 플리커 영향을 평가하고, 눈부심으로 인한 장애물인지 능력의 저하와 불쾌감 유발을 억제하기 위한 적정 망막조도를 도출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반응시간과 불쾌감 평가지를 이용하여 생리적 평가와 심리적 평가를 하였다. 조명기구에 의한 망막조도가 증가할수록 장애물을 인지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불쾌감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배광특성 조절이 가능한 대용량 LED 가로등기구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rge Capacity LED Streetlight Luminaire with adjustable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 이완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901-8907
    • /
    • 2015
  • 기존의 가로등은 배광특성 조절이 어려워 주변 환경 및 도로의 상황에 따라 빛을 고루 전달하지 못하므로, 눈부심, 농작물 결실저해 및 수면 방해 등의 광공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변 환경 및 도로 상황에 따라 조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LED 가로등 기구를 제안 하였다. 제안된 LED 가로등 기구는 반원구조의 형상을 갖는 각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도로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배광특성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측정 및 모의실험결과 배광각도는 최소 $100^{\circ}$에서 최대 $154^{\circ}$까지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평균조도는 KS 규정의 15%를 초과하였으며, 종합 균제도는 KS 규정의 50% 이상을 초과하여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대용량 LED 가로등 기구는 광공해를 해소하고 광원 분포의 균제도 최적화와 눈부심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에 대한 불쾌글레어 주관평가 실험 -백색 LED 광원을 이용환 조명기구의 영향 (Subjective Appraisals of Discomfort Glare for Luminaire with non-uniform luminance -Effect of luminaire used White LED Light source)

  • 이창모;정승균;석대일;조용익;김훈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4
    • /
    • 2007
  • 현재, 새로운 조명광원으로서 백색 LED가 기대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조명이 확대되어 실용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LED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기구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내조명으로 사용할 때 조명기구에 의한 글레어가 편안함을 주는지 불편함을 주는지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실내 조명환경에 대한 불쾌글레어를 평가하기 위해 UGR(Unified Glare Rating)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균일한 글레어 광원의 평균휘도를 이용하여 계산된 종래의 불쾌글레어 평가법들은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LED 조명기구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렵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UGR를 이용하였을 경우, 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와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에 대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다음의 불쾌글레어의 주관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균휘도가 같고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가 다른 조명기구(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 1종과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 2종)를 글레어 광원으로 사용하였다. 입체각(${\omega}$)과 위치지수(Position Index)를 고정시키고 배경휘도($L_b$)와 광원휘도($L_s$)를 임의로 변화시켰다. 주어진 환경에서 피험자로 하여금 얼마나 편안하진 또는 불편한지에 대한 느낌을 값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우선, UGR과 주관평가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동 서양에 따른 문화적 및 생리적 차이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보다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LED 조명기구가 더 높은 값을 할당 받아 LED 조명기구가 불쾌감을 더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D 소자 간격에 따른 영향은 글레어 광원의 휘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배경휘도에 대해서도 광원의 휘도가 높아질수록 LED 소자 간격의 차이에 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UGR식은 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만,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조명기구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PDF

광색가변 및 색온도 제어용 100[W]급 투광기 개발 (Development of 100[W] LED Flood Lighting with Tunable Colors and Color Temperatures)

  • 윤진식;김기훈;송상빈;임영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9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100[W]급 Discrete LED 투광기 조명 제품 개발에 관한 것으로, 3[W] RGBA LED를 이용하여 광색 및 색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광학/방열/회로/시스템 설계를 통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색온도 $2,000{\sim}10,000[K]$ 범위에서 흑체궤적에 정확히 일치하면서 연색지수가 $71{\sim}91$까지 고연색성을 실현하였으며, 동작전압 $90{\sim}250[Vac]$, 효율 87[%], 역률 93이상의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투광기의 협각/중각/광자 배광을 만족하기 위하여 LED 렌즈를 설계하였으며, 신뢰성 확보 및 주위온도에 따른 광출력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열설계를 실시하였다.

철도차량용 LED전조등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LED Headlight for Railroad Vehicles)

  • 정병진;김상기;조은제;김일권;길경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7-1522
    • /
    • 2011
  • Recently, application of LED luminaires has been issued for energy saving plan.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a study to replace a low efficacy sealed-beam lamp for headlight of railroad vehicles with LED luminaire.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aled-beam lamp were analyzed and a LED headlight was designed and fabricated. Total luminous efficacy and rated power of the prototype LED headlight were 82 lm/W ; about 5 times higher, and 40W ; about 4 times lower than the sealed-beam lamp, respectively. Especially, lifetime of the sealed-beam lamp is short as 1,000 hours due to the evaporation and vibration of filament, but that of LED headlight is over 30,000 hours long.

  • PDF

Relux를 이용한 조명 시뮬레이션 (Lighting Simulation using Relux)

  • 홍승대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83-90
    • /
    • 2011
  • Lighting simul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as a method for design and evaluation. There is a wide range of packages that provide the accuracy and the usability in lighting simulation. Relux developed by Relux Informatik AG, Switzerland, Relux offers users innovative and high-performance light planning software with open interfaces and simultaneous access to the latest product data from luminaire and lamp manufacturers. The goals of this report is to explore some of the lighting simulation issues relating to Relux. It is hoped that it will provide some background information that will enable a designer and engineer to make some informed judgements on the potential of the current state-of-the-art in computer prediction of lighting in buildings and how this may be used to assist in building design.

베이퍼챔퍼 제조기술을 적용한 LED 투광등기구의 열 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the LED Floodlight Luminaire using Vapor Chamber Manufacturing Technology)

  • 서진국;유영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5-2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heat sinks to maximize the thermal diffusivity for LED floodlight. The 2 kind of samples were prepared by vapor chamber manufacturing technology using the heat pipe principle. It was analyzed the maximum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the thermal diffusion from the heat source depending on the types of chambers with 3 kind of working fluid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mal conductivity 23% increased, GVC-R type than IVC-R type.

야간의 도로조명 상황에서 최적의 도로조명기준을 나타낼 수 있는 가로등의 설계와 배치에 관한 연구 (Design and Installations of Road Lighting for Arterial Roads to Provide the Optimal Values of Light Technical Parameters)

  • 김기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1-56
    • /
    • 1991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designing road lighting installations(arrangement, mounting height spacing and overhang) which produce a certain level and distribution of luminance together with minimal glare. These can be varied over a limited range for a given luminance and road surface to achieve the required installation performance. In Korea there are no code of practice which lays down recommended performance criteria (Lavg, Uo, Ul, G, TI) with practical design guidance on how to achieve them. In case study design rules and current installation of road lighting in daegu city are analysed. The core of research are suggesting a new performance criteria and providing a set of table giving the maximum lognitudinal spacing between successive luminair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escribes the combination of height and spacing for various road widths and arrangements which will achieve a specified minimum performance on straigt roads for particular luminaire and a particular road surf-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