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nakdong river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6초

신불산 고산습지 보호지역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특성 및 변화상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Conservation Area of the Shinbulsan Wetland)

  • 홍성진;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079-1088
    • /
    • 2020
  • The Shinbulsan wetland, located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South Korea, was designated as a conservation area in 2004. The area was monitored from 2015 to 2019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tween 2015 and 2016, several insects of the orders Ephemeroptera, Odonata, and Hemiptera were identified, but their numbers decreased significantly in 2017 and 2018 following the loss and recovery of the moor owing to drought.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relatively more insects of the order Diptera. Within this order, three functional feeding groups, gathering-collectors, plant-piercers, and predators were investigated. Predator species were the most abundant (83.3%), whereas gathering-collector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individual insects (50.5%). Between 2015 and 2016, when the moors were stable, groups I and III had the highest community stability. After 2017, when the moors had dried up, group III effectively disappeared because of its lower relative resistance and resilience, and only taxa belonging to group I rem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enthic macroinvertebrates that adapt early during moor formation inhabit the Shinbulsan wetland.

수질오염총량제 대응을 위한 경남 하천 수질의 시공간 경향성 분석 (Analyzing the Spatio-temporal Trend in TMDL Water Quality for Gyeongnam Using Emerging Hot Spot Analysis)

  • 선단비;김지호;김상민;장민원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53-65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water quality of national and regional 1st rivers in Gyeongnam by analyzing the emerging hot spot patterns in BOD, T-P, and TOC, and by grouping the changing trends into clusters. The emerging hot spot analysis for each water quality item was implemented in ArcGIS Desktop with monthly water quality data from 96 water environmental monitoring stations in Gyeongnam, and then four patterns of water quality change were classified by the K-mean cluster analysis. As for BOD, persistent cold spot pattern covered about 42.9% of target rivers, and T-P concentration tended to be low or be getting lower at over 70% of target rivers. While, for TOC, about 70% of target rivers resulted in oscillating hot spot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had the top priority in terms of water quality management because of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for all the three water quality.

낙동강 중하류부 유로의 지형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nnel Geomorphology in the Middle-Lower Reach of Nakdong River)

  • 고주석;곽성현;이경수;류시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68-72
    • /
    • 2019
  • 대하천사업으로 4대강에 다기능보 건설 및 대규모 준설이 이루어졌으며, 그 과정을 통해 인위적으로 변화된 하천지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사공급과 유수흐름 등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 영향 하에서 지속적 변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하천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서는 하천지형에 대한 연속적인 측정 및 분석을 통해 하천유로의 지형학적 특성과 그 변화의 양상과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중 하류 구간에 대하여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수심측량을 통해 유로의 지형정보를 취득 분석하여 다기능보 건설 후 유로의 지형학적 특성에 있어서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취득된 지형자료를 활용하여 유로 단면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치들을 통한 형태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하천사업 준공시 취득된 측량성과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지형변화 양상과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 해 대하천사업 이후 낙동강 중 하류 구간 유로의 지형변화 양상과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대하천사업 이후 준공측량성과를 기반으로 고시된 하천기본계획 상 지형정보의 정확성에 대해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가 낙동강 중 하류 중 일부 구간들에 제한되었기에,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활용한 지형특성 및 변화의 양상과 규모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우포늪 부근의 장기적 토지피복도 변화와 그것이 국지기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실험 (Long-term land cover change near Upo Swamp and the numerical experiment on its impact on the local climate)

  • 김해동;이순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7-234
    • /
    • 2024
  •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land-use alteration in a 45 km × 45 km area around the Upo wetlands in 1920s(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50s(immediately Korean independence) and the period 1970s to 2000s. These data can guide in understanding surfac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ower Nakdong River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sent. The influence of the long-term decreasing trend of the wetland area at the Upo Swamp was evaluated using a high-resolution local circulation model. The cooling effect of the wetlands on surface air during the daytime in summer(e.g, early August) was approximately 2℃ greater in the 1920s than in the 2000s, which is attributed to wider water areas in the 1920s. Additionally, long-term changes in land use have caused changes in the convergence zone of local circulation wind.

조류펜스의 조류 저감 효과에 대한 실험적인 평가 (The Application of an Algal Fence for the Reduction of Algal Intake into the Water Intake Facility)

  • 장민호;박성배;정종문;노재순;정광석;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467-4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수 취수장의 취수구로 유입되는 조류 군체의 양을 물리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조류 펜스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 및 평가하였다(2001년 6-9월). 펜스를 설치한 후 펜스 안팎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분산 분석의 결과 설치 1일 후의 chl. a는 모든 수심 (0, 1,2 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수심에서 0.001 > p ,각 수심별 r= 16), 특히 표층과 수심 1m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조류 저감 효과는 설치 후 3-5일이 지나면서 감소하였다. 조류 펜스의 물리적 유입 저감 효과의 지속성 유지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설치 및 유지관리 방안(예, 기계적인 설치 및 주기적인 역세척 등)이 모색되어야 하며, 생태 모형을 이용하여 대번성 시기 예측이 가능할 경우 훨씬 효과적으로 조류의 유입 차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변화에 따른 조류 발생 변화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on Environmental Changes)

  • 노성유;신유나;최희락;이재윤;이재안;류덕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3호
    • /
    • pp.278-286
    • /
    • 2015
  • 환경변화(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기작 및 이동특성 연구를 위해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를 제작하여 낙동강 수계의 강정 고령보를 대상으로 체류 시간에 따른 조류발생 및 이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장규모 모의실험장치는 조류배양의 효율성 및 조류성장 관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투명아크릴로 제작하였다(직경 1 m, 높이 4 m, 가변형 원통수조, 3 sets). 빛 차단장치, 수심별 유입장치, 재이용수 저류조 등의 부대시설을 설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류 시간 조건은 2일(보설치 전, 실험조 1), 8일(보설치 후 2013년 체류 시간, 실험조 2), 30일(2014년 체류 시간, 실험조 3)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조별 수온은 실험조 1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조 3에서는 표층(0 m)과 저층(4 m) 간 약 $3^{\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용존산소(DO), pH 변화 분석 결과 모든 실험조에서 표층 0 m에서 저수심(2 m, 4 m)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염류(TN, $PO_4-P$)는 모든 실험조에서 부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Chlorophyll-a 분석 결과 실험조 1은 평균 $19.8{\mu}g/L$, 실험조 2는 평균 $35.0{\mu}g/L$, 실험조 3은 평균 $36.6{\mu}g/L$로 실험조 1 보다 실험조 2, 3에서 약 2배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환경 요인 중 체류 시간은 식물플랑크톤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하류 원수의 응집효율 개선을 위한 황산의 적용 (Application of Sulfuric Acid for Improving Coagulation Efficiency on the Down Stream of Nakdong River)

  • 류동춘;배은영;김상구;손희종;송미정;김영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2059-2065
    • /
    • 2000
  • 낙동강 상류지역의 점오염원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가중과 수량의 부족 현상으로 갈수기에는 하천의 부영양화로 인하여 조류증가에 따른 수화(水花) 현상이 나타나 원수의 pH가 상승하여 응집장애를 야기시키고 있다. 조류에 의한 pH 상승은 정수처리시 적정 응집범위를 벗어나게 하여 응집제의 사용량 증가와 수산화알루미늄의 용해도를 상승시켜 정수중의 잔류알루미늄 증가와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산을 이용하여 상수원수의 pH를 응집공정 전에 조절함으로써 응집제의 주입량 및 산화제 사용량을 줄이고, Jar test 결과 황산을 이용하여 pH를 8.1로 조절한 경우 매우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응집제 주입량을 약 30% 정도 저감시켜도 pH를 조절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탁도 제거율을 보였으며 DOC 및 UV-254 같은 유기물 제거효과는 오히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골재채취가 세균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diment Harvesting o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 박지은;이영옥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172-178
    • /
    • 2006
  • 골재채취가 수층의 세균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낙동강 중류, 골재채취가 이루어 지지 않은 수역인 구미대교와 장기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골재채취가 행해지는 지역인 성주군 소학리 (성주대교 인근)에서 $\alpha\;\beta\;\gamma-subclass$ proteobacteria, Cytophaga-Flavobacterium (CF) group 세균군과 황산염화원세균을 FISH법으로 정량분석하였다. 아울러 수온, pH, EC, 엽록소-$\alpha$ 양 등의 이화학적인 환경요인도 측정하였다. DAPI로 염색된 세균수로 측정한 총세균수의 경우, 두 정점간의 괄목할 만한 양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그 시간차에 따른 변동이 골재채취 수역에서 더욱 심했다. 또한 높은 엽록소-$\alpha$ 양을 나타낸 골재채취 수역에서 검출한 CF group 세균군과 황산염환원세균이 총세균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비골재채취 수역에 비해 높았다. 이같은 결과는 저니질이 수층으로 재유입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검출한 세균군이 총세균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합하면 그 비율은 골재채취 수역보다 비골재채취 수역에서 더 높았다. FISH법에 의한 세균의 검출가능성이 해당세균의 물질대사능과 연관이 있으므로 골재채취 수역에서의 낮은 세균 검출율은 골재채취가 세균의 물질순환에서의 역기능을 초래하고 이는 또한 연차적으로 그들의 먹이연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낙동강유역 상수원의 규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장에서 제거율 향상 방안 (Removal Improvement in Water Treatment Plant for Occurrence of Diatoms (Synedra sp.) in the Nakdong River)

  • 김민채;김지훈;서규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34
    • /
    • 2014
  • 본 연구는 낙동강에 출현하는 Synedra 속의 길이 차이가 제거 효율과 여과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길이가 $100{\mu}m$ 내외인 S. tenera 제거율은 90.9~94.4%로 고른 반면, 길이가 $300{\mu}m$ 내외인 S. acus 제거율은 60~70%로 낮았다. 무기응집제 만을 사용할 때 $PACS_2$와 PAC가 다른 응집제보다 S. acus 제거율이 5~6% 높았다. 황토 첨가는 주 응집제의 주입률을 15 mg/L 증가시키고, 모든 Synedra 속의 제거율을 감소시키는 역효과가 나타났다. Sodium Silicate 첨가는 S. acus의 제거율은 다소 향상시켰다. Polyamine은 2.0~2.5 mg/L 첨가하여 S. acus 제거율을 96.9%까지 상승시켰다. Polyamine 주입률과 S. acus 제거율은 비례관계식이 성립하였다. 수온 $15^{\circ}C$$4^{\circ}C$보다 S. acus 제거율이 높았다. S. acus의 제거율과 탁도 제거율 및 다른 조류 제거율간의 상관성이 매우 낮았다. 2012년 정수장 운영 사례에서 Synedra 속의 길이에 따른 제거율 특성이 본 실험결과와 비슷하였다. 침전수의 S. acus 개체수와 여과지속시간은 ln 함수관계가 성립되어 여과지속시간을 예측할 수 있었다.

활성탄을 이용한 낙동강 상수원수의 수처리 효과 (Efficiency of Activated Carbon Treatment Processing on Raw Water Purification for Nakdong River)

  • 임영성;강관호;이홍재;서동철;허종수;손보균;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8-215
    • /
    • 2002
  • 상수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낙동강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활성탄처리에 의한 공탑체류시간 및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수처리 효율과 생물활성탄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탑체류시간(EBCT)에 따른 수처리 효율은 EBCT가 증가 할수록 증가되었으나 운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활성탄 흡착능력은 감소되어 처리효율도 서서히 감소하였다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pH 변화는 활성탄 층 깊이에 따라 거의 없었으며, DO는 활성탄 층 깊이가 깊을수록 서서히 감소하였다. $KMnO_4$ 소비량, UV254 흡광물질, DOC 및 THMFP 처리효율은 활성탄 표층으로부터 하부로 내려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운전시간이 경과할수록 활성탄 상층부에 형성되어 있던 흡착대가 하부로 이동하였다. DOC의 상당 부분이 활성탄여과지에 서식하는 미생물 작용에 의해 분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전개시 126일 후의 BAC에서 활성탄 표층으로 부터 깊이 20 cm부근에 미생물이 $1.1\times10^7\;cell/cm^3$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생물활성탄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