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fat and regular-fat sausage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Low-Fat/Salt Sausages Manufactured with Two Levels of Milk Proteins

  • Lee, Hong-C.;Chin, Koo-B.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218-222
    • /
    • 2004
  • Low-fat (< 3%)/salt(< 1%) sausages were manufactured with two levels (1, 2%) of milk proteins(whey protein and sodium caseinate) to compensate for the textural problems due to reduced fat and salt(%). The addition of two levels of milk proteins into these meat products did not affect the most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s compared to regular-fat counterpart, higher expressible moisture of low-fat/salt sausages were observed. In addition, low-fat/salt sausages containing more than 2% of milk proteins reduced the textural hardness and gumminess, resulting in significantly lower these values, as compared to regular-fat counterpar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w-fat/salt sausages were successfully manufactured with the addition of these milk proteins at the lower than 1% to improve the textural difference, however further research will be performed to improve the water holding capacity in these products.

  • PDF

Evaluation of Curing and Flavor Ingredients, and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Product Quality and Flavor Compounds of Low-fat Sausages

  • Yoo, Seung-Seok;Kook, Sung-Ho;Park, Sung-Yong;Shim, Jae-Han;Chin, Koo-B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634-638
    • /
    • 2005
  • The effects of ingredients added (first cutting ingredients vs. both first and second cutting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 (smoking vs. boiling) on product quality and volatile compounds were examined for low-fat and regular-fat sausages. Regular-fat sausages had slightly higher pH values (6.2-6.3) than those (6.1-6.2) of low-fat counterparts. However, the pH values of the sausage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fferent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p>0.05). Approximately 30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these comminuted sausages. The headspace concentrations of 4-methyl-1-[1-methylethyl]-3-cyclohexen-1-ol, ${\alpha}$- terpenyl acetate, eugenol, trans-caryophyllene and myristicine were lower in low-fat and regular-fat sausages containing the first cutting ingredients alone, than in those with both cutting ingredients. The volatile compounds of the smoked comminuted sausages were mostly phenols and hetero-compounds, and a lot of volatile compounds were shown before the retention time (RT) of 30 min. However, not many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boiled sausages prior to the RT of 30 min.

Physicochem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fat/reduced-salt Sausages as Affected by Salt Levels and Different Type and Level of Milk Proteins

  • Lee, Hong-Chul;Chin, Koo-B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36-42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low-fat/reduced-salt sausages (LFRSS; <3% fat and <1.5% salt) containing milk protein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or sodium caseinate, SC) that showed the similar cooking yield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to those of regular-fat/salt sausage control (RFC; 20% fat and 1.5% salt) or low-fat sausage control (LFC; <3% fat and 1.5% salt). Low-fat sausages (LFS) were formulated with a 2.5% fat replacer (konjac flour:carrageenan:soy protein isolate=1:1:3) and various salt levels (0.75, 1.0, 1.25, and 1.5%). LFS had differences in color and expressible moisture (EM, %) values as compared to those of RFC. A minimum salt level of 1% and addition of nonmeat proteins were required to manufacture LFRSS that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ose of RFC. However, LFS with 2% milk proteins reduced the hardness and gumminess as compared to LFC.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1% milk protein in combined with 1% salt was a proper level for manufacturing of LFRSS.

저지방 기능성 발효소시지의 제조를 위한 복합 유산균주의 이용 (Utilization of Probiotic Starter Cultures for the Manufacture of Low-fat Functional Fermented Sausages)

  • 김영주;이홍철;박성용;박선영;오세종;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1-58
    • /
    • 2008
  • 본 연구는 지방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는 발효소시지의 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두단백질을 지방대체제로 이용하여 발효소시지를 제조하였으며, starter culture로는 상업화된 유산균주인 LK30 plus 균주를 대조구로 하여 콜레스테롤 저하와 항고혈압활성 및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갖는 기능성 유산균주를 복합 starter culture로 접종하여 숙성기간동안 제품의 이화학적, 조직학적, 미생물적 특성과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고혈압 활성과 S. aureus의 균수의 변화를 통해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지방을 첨가하지 않는 저지방 발효소시지는 기존의 고지방 발효소시지에 비해 약 90% 이상의 지방을 감소시켰고, 숙성시간을 약 7-14일 정도 단축시킬 수 있었나, 저지방 발효소시지에서 나타나는 지나친 감량에 의한 외관의 주름 및 경도의 증가가 나타났다. 발효소시지들의 일반성분 검사 결과, 숙성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수분은 감소하는데 반해, 지방과 단백질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제품의 pH는 발효기간 동안 감소되어졌다가 숙성기간동안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숙성 중 명도는 감소하고, 전단력과 무게감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콜레스테롤 저하와 항고혈압 활성 및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과 같은 기능성은 발효소시지내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저지방 발효소시지에서 나타나는 과다한 주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함량의 지방첨가와 probiotic 유산균 주가 함유하는 기능성이 발효 육제품에도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육단백질과 친수성 콜로이드의 상호결합 특성을 이용한 저지방 육제품 제조기술 개발 - II 모델연구결과를 이용한 저지방 소시지의 개발 (Development of Low-fat Meat Processing Technology using Interaction between Meat Proteins and Hydrocolloids-II Development of Low-fat Sausages Using the Results of Model Study)

  • 진구복;이홍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9-635
    • /
    • 2002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저지방 소시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전의 모델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최적조건을 저지방 육제품 제조에 적용하였으며 제조한 저지방 소시지의 pH는 6.29~6.34, 수분 74~76%, 지방<3% 및 단백질 15~18%인 반면, 유화형 소시지는 pH 6.51, 수분 56%, 지방 26.9% 및 단백질은 13.2%이었다. 친수성 콜로이드를 단독으로 첨가한 저지방 처리구는 무침가구와 비교할 때 가열수율, 보수력 및 색도에 영 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N을 첨가한 처리구의 보수력은 유화형 대조구와 KF 및 LBG를 각각 단독으로 첨가한 처리구에 비하여 오히려 낮았다. 물성특성에서는 저지 방 대조구와 CN을 첨가한 저지방 처리구가 유화형대조구보다 탄력성 및 응집성이 높았고, KF와 LBG를 각각 첨가한 처리구는 부서짐성과 경도 및 탄력성이 낮았다. KF, CN 및 LBG의 2종 내지 3종을 복합으로 첨가하여 저지방 소시지를 제조하였을 때 유화형 대조구에 비하여는 보수력은 떨어졌으나, KF와 LBG(KLL) 및 KF와 CN과 LBG(KCL)를 복합으로 첨가한 처리구는 단독 첨가구에 비하여 보수력이 증진되었다. 물성적인 특성에 있어서는KF와 LBG를 혼합하여 첨가한 처리구를 제외하고 다른 혼합 첨가구는 유화형 대조구와 비교적 유사한 물성적인 성상을 가졌으며 그 중 KF와 CN의 복합처리구가 유화형 대조구와 가장 유사한 물성을 가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기존의 유화형 대조구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저지방 소시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친수성 콜로이드의 단일첨가보다는 보수력이 좋은 KF 혹은 LBG등과 경도를 높여 주는 CN과의 복합지방대체제의 첨가가 더욱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유화형 소시지와 유사한 향미를 갖는 저지방 소시지 제조를 위한 당, 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조합 (Effect of Various Combinations of Sugar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on Volatile Compounds of Low-fat Sausages t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ose of Regular-fat Sausages)

  • 국성호;박성용;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87-493
    • /
    • 2009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와 유사한 향미 특성을 갖는 저지방 소시지를 개발하기 위해 오일, 당(glucose, fructose), 아미노산(alanine, aspartic acid, cysteine, glycine, lysine) 및 지방산(oleic/linoleic acid)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등 지방 오일의 도포는 저지방 소시지의 향미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저지방 대조구에 당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와 당과 아미노산을 혼합한 경우에 몇몇 향미물질에서 유화형 대조구와 차이를 보인 반면 지방산을 혼합 첨가한 경우에는 유화형 대조구와 유사한 향미를 가질 수 있었다. 특히, glucose에 지방산을 첨가하고 glycine과 alanine을 각각 첨가한 경우에 유화형 대조구에서 동정된 향미 화합물과 동일한 농도를 보였다. Lysine의 농도별 첨가에 따른 휘발성 향미 화합물의 특성에서 유화형 대조구에 비해 저지방 대조구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던 myristicine은 lysine의 농도를 증가시켜도 유화형 대조구에서 정량된 양과 동일하지 못했다. 유화형 대조구와 가장 유사한 농도를 보인 처리구는 glucose와 지방산에 glycine과 alanine을 각각 첨가한 처리구였다. 결론으로, 저지방 대조구에 당을 단독으로 첨가하거나 당과 아미노산을 혼합한 경우보다 당과 아미노산에 지방산을 복합적으로 혼합하여 첨가하면 유화형 대조구와 더 유사한 향미를 생성할 수 있었다.

도토리 가루의 첨가량과 첨가 형태가 지방대체제로서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Evaluation of Two Levels and Types of Acorn Powder on Product Quality of Low-fat Sausages as a Fat Replacer)

  • 진구복;반광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17-226
    • /
    • 2008
  • 도토리 가루를 각각 첨가 형태(분말, 수화)와 첨가량(0.5, 1.0%)을 달리하여 저지방 소시지를 제조하였고, 품질검사를 실시하였다. 도토리가루의 첨가형태나 첨가량은 대부분의 항목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관능적인 향미분석에서 수화형태가 가루보다 그리고 첨가량에서 0.5%가 1.0% 보다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일반성분, 가열 감량에서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는 저지방이나 유화형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반면 유리수분의 경우 도토리가루의 첨가는 기존의 지방대체재 첨가구나 유화형 대조구보다 더 낮은 유리 수분함량을 보임으로써 보수력을 증진시켰다. 색도에서는 유화형 및 저지방 대조구와 지방대체재를 첨가한 저지방소시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은 명도 값을 나타냈다(P<0.05). 조직감 검사결과에서는 도토리 첨가형태나 첨가량에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관능검사에서는 유화형 소시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소시지의 경우에도 색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관능성상이 유사하였으나 1%의 수화형태는 비교적 식염맛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미생물 검사 결과에서는 유화형 소시지와 저지방 소시지 모두 검출되지 않아 위생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저지방 소시지에 도토리 가루를 첨가함으로써 보수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고, 색도 이외에 다른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지방 대체재로 사용가능하다고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볼 때 0.5%의 첨가가 적당하고 가루형태보다 수화형태가 더 효과적인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도토리 첨가에 따른 명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보완한다면 저지방 소시지의 대체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젖산나트륨과 지방대체제의 첨가가 냉장저장 중 저지방 볼로나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Addition of Sodium Lactate and a Fat Replacer in Very Low-fat Bologna (model system) on the Product Quality and Shelf-life Effe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진구복;최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58-864
    • /
    • 2001
  • 젖산나트륨과 복합지방대체제가 저지방 볼로나의 품질과 냉장 중 저장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유화형 볼로나를 대조구로 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600%, 지방 22% 및 단백질 함량이 12.4%를 함유하는, 반면 저지방 볼로나는 수분 73~76%, 지방 ~2% 및 단백질함량이 14~15%로 기존의 유화형 볼로나에 비하여 고단백, 저지방 소시지이었다. 저장 중 유화형 및 저지방(<3%) 볼로나의 유리수분량과 진공감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직의 경도가 감소하였고(p<0.05), 총균수는 증가하였으나, 냉장 8주에 모두 가식 부위에 있었다. 젖산나트륨과 지방대체제를 첨가한 저지방 볼로나가 기존의 유화형 볼로나에 비해 가열 감량이 낮았으며(p<0.05) 경도를 비롯한 조직감은 높았다. 저지방 볼로나는 젖산나트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수분량과 경도가 증가하였고, TBA값은 오히려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냉장저장 중 젖산나트륨의 첨가에 따른 총균수에 영향이 나타났으며, 3.3% 젖산나트륨을 첨가한 처리구는 처리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미생물의 성장억제 작용이 현저했다. 결론적으로 복합 지방대체제를 첨가한 저지방 볼로나의 젖산나트륨의 첨가량에 딸라 품질에 영향을 미쳤으며, 총균수와 TBA값을 낮출 수 있었다. 차후의 연구로 저지방 소시지에서 오염될 수 있는 Listeria monocytogenes 등과 같은 특정균을 일정균수($10^3$CFU/g) 접종함으로써 젖산나트륨의 특정미생물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키토산을 첨가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향미 성분 분석과 냉장 저장 중의 이화학적인 특성 (Flavor Compound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fat Functional Sausages Manufactured with Chitosan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박성용;진구복;유승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5-294
    • /
    • 2005
  • 본 연구는 기능성 육제품 개발로 키토산이 육제품 내에서 어떠한 조직적인 특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저지방 소시지에 키토산을 첨가한 기능성 소시지를 제조하여 향미를 분석하였고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돈육 후지로부터 추출한 염용성 단백질에 키토산을 첨가하여 pH와 점도를 측정한 결과 중분자 키토산 처리구의 pH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며, 점도는 이와는 반대로 저분자 키토산 처리구는 첨가량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중분자 및 고분자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인 처리구는 중분자 그리고 고분자 키토산을 $0.6\%$ 첨가한 처리구로 특정 분자량의 키토산이 일정수준 첨가되면 점성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직감 검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분자와 고분자 키토산을 첨가한 소시지가 저지방 대조구에 비해 대부분의 조직감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가열 전 반죽의 pH, 가열 후 소시지의 pH, 가열 감량, 진공 감량 그리고 보수력에서는 저지방 대조구와 비교해서 키토산 첨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미 성분 분석 결과 저지방과 고지방의 경우 차이를 보일 뿐 대조구와 비교하여 키토산 첨가에 따른 향미의 효과는 없었으며 저분자 키토산을 $0.6\%$ 첨가한 처리구가 유화형 대조구와 유사한 향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키토산의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 특성 (Product Quality of Low-Fat Sausages Formulated with Two Levels of Chitosan)

  • 진구복;왕승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1-366
    • /
    • 2004
  • 저지방 소시지에 키토산(30-50 kDa)을 0.3과 0.6%를 첨가하여 pH및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키토산의 첨가에 의해 pH는 감소하였으나 키토산의 첨가량의 증가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분과 지방, 단백질, 가열감량에서는 키토산의 첨가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보수력에서는 유화형 소시지와 비교했을 때 키토산을 첨가한 소시지가 유리수분의 양이 많아짐으로써 낮은 보수력을 나타냈다. 조직적 검사에서는 부서짐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키토산의 첨가에 의해 조직감이 상승하였고, 견고성의 경우 키토산의 첨가에 의해 값이 크게 상승하였으나 키토산의 함량의 증가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점도는 저지방 소시지의 경우 키토산의 첨가에 의해 변화가 없었으나, 유화형 대조구와는 유의차를 보였다. 관능검사는 모든 항목에서 유화형 소시지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키토산의 첨가에 의한 기호도는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지방 소시지에 키토산을 첨가함으로써 소시지의 pH와 보수력를 저하시켰고, 조직감의 수치를 상승시켰으나 관능적으로 0.3%이하로 첨가 시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