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density transplant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낙동강 하구에 이식된 잘피(Zostera marina)의 환경변화에 따른 성장특성 (Growth Dynamics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in the Nakdong Estuary Related to Environmental Changes)

  • 박정임;이근섭;손민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33-542
    • /
    • 2011
  • Numerous seagrass habitat restoration projects have been attempted recently due to the remarkable decline in seagrass coverage. Seagrass transplants tend to adapt to a new environment after experiencing transplanting stres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ransplantation. Once acclimated, the transplants grow into healthy seagrass beds via vegetative propagation.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dynamics of transplanted seagrasses in bays and coasts are widely reported,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stuaries in Korea. We transplanted Zostera marina in November 2007 and November 2008 in the Nakdong estuary using the staple method, and monitored the survival, adaptation, and growth dynamics of the transplants as well as environmental factors every month for 1 year. Both transplants adapted well to the new environment without initial losses and showed rapid productivity during early summer. However, density of transplants increased 320% in 1 year from the previous year's transplants but that decreased to 59% during the following year. This significant reduction in density in the second year may have been caused by exposure to low salinity (10 psu) for 3 weeks during the unusually long monsoon season. While the survival and growth dynamics of seagrass transplants planted in bays and coasts are mainly controlled by underwater photon flux density and water temperature, salinity was the critical factor for those planted in Nakdong estuary.

이식된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의 형태적 특성 및 생산성의 변화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Zostera$ $caespitosa$ Transplants)

  • 박정임;박재영;이근섭;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47-53
    • /
    • 2012
  •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의 현장 적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철사고정법으로 포기거머리말을 이식후 이식된 개체(이식구)와 인근 자연군락 포기거머리말 (대조구)의 밀도, 형태적 특성과 생산성의 변화를 약 2년간 조사하였다. 대조구에서는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밀도변화를 보였으나, 이식구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초기 밀도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초 길이, 잎 폭, 개체 길이와 엽초, 잎, 개체의 무게는 이식초기에는 대조구에 비해 이식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약 5개월 후부터는 대조구와 이식구가 유사해졌다. 잎 생산성도 대조구와 이식구 모두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뚜렷한 계절 경향을 보였으나, 이식초기 이식구의 개체 잎 생산은 생산성이 낮은 가을인데도 불구하고 증가하였다. 철사고정법으로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은 개체의 유실이 없었고, 형태적 특성으로 보아 약 5개월의 현장적응기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드문모심기 적정 파종량 및 육묘일수 분석 (Seeding Rate and Days for Low-density Transplant Cultivation)

  • 황운하;정재혁;이현석;양서영;이충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12-119
    • /
    • 2021
  • 최근 벼 이앙 시 필요한 육묘상자 개수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생력재배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드문모심기의 안전 육묘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육묘상자당 파종량 및 육묘일수에 등 육묘환경에 따른 모소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묘일수 10일 시 파종량에 따라 엽수, 줄기두께가 변하였으며, 육묘일수 20일에는 초장, 엽수, 줄기두께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상자 당 파종량 증가에 따라 육묘일수에 따른 초장신장, 엽령증가정도 및 줄기두께 증가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상자 당 파종량 증가에 따라 줄기 건물중 및 뿌리 건물증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폭은 육묘일수 10일에 비해 20일에 크게 증가하였다. 4. 어린모의 줄기 건물중은 뿌리건물중, 초장 및 줄기두께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자 당 파종량 증가 시 모충실도는 낮아지며 육묘일수당 모충실도 감소량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드문모심기 시 육묘상자 절감의 효율증대를 위해 최소 묘취량을 설정하여 이앙 시 주당 3~5본을 이앙하기 위한 적정 파종개수는 11,000로 현미천리중이 22 g인 종자의 경우 약 280~300 g으로 판단되며 이 때 적정 육묘일수는 모충실도감소가 적은 13~16일로 판단된다.

Evaluation of Growth and Yield When Harvesting Italian Ryegrass Transplanted After Cultivation of Paddy Rice

  • Hyeonsoo Jang;Yun-Ho Lee;Hui-woo Lee;Pyeong Shin;Dae-Uk Kim;Jin-hui Ryu;Jong-Tag Yo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67
    • /
    • 2022
  • Seed production of italian ryegrass has a problem of lodging during ripening and a decrease in quality due to difficulty in drying seeds during harvest. Therefore,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Italian ryegrass in paddy fields, it was carried out to reduce the density and solve the lodging problem through transplanting. In this experiment, Lolium multiflorum cv. Kowinearly was transplanted in autumn from a paddy field in Sindong-ri, Gwansan-eup, Jangheung-gun, Jeollanam-do. var. Kowinearly was made into a bed at 90 g/box and stacked in boxes. It was transplanted on October 27th after 2 days of germination at 30℃ and 15 days of seedling and greening. When transplanting, they were transplanted at intervals of 30×14cm. The existing cultivation method, drill seedling, was sowed at a level of 50 kg/ha, and both transplanting and drilling were carried out at a nitrogen fertilization rate of 45 kg/ha. The number of ears during transplant cultivation was 1,016/m2 and the drilling tended to be higher at 2,278/m2, but this was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in seeding amount. The seed number of an ear tended to be 56% higher in transplantation,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yield. The seed yield was 2,096 ka/ha in transplantation, which was 21% higher than that of drilling.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with weed occurrence, there were areas where all the weeds, such as amul foxtail, occurred due to the low density. Even in the same transplanting area, the seed yield was about 1,000kg/ha less in the area where the weeds were abundant. It seems that weed management is important in paddy cultivation.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an exclusive herbicide for Italian ryegrass cultivation.

  • PDF

벼 드문모심기 재식밀도에 따른 품종별 생육 및 수량 변이 (Changes in Growth and Yield of Different Rice Varieties under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in Low-Density Transplanting Cultivation)

  • 양서영;황운하;정재혁;이현석;이충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279-288
    • /
    • 2021
  • 벼 드문모심기는 노동력과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재배기술로 본 연구에서는 드문모심기의 적정 재식밀도 설정을 위해 분얼특성이 다른 품종별 생육 및 수량을 분석하였다. 37주~80주/3.3 m2 재식밀도에서 소얼형, 중간형, 다얼형 품종을 가지고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식밀도는 낮아질수록 주당 분얼수(이삭수)는 많아지지만 면적당 분얼수(이삭수)는 적어졌는데 소얼형 품종일수록 적었다. 분얼 발생기간이 길어졌고 소얼형 품종에서 가장 길어졌다. 2. 재식밀도 감소에 따라 출수기 직전의 엽색은 진해지고 군락피복도는 감소하였다. 분얼이 많은 호평과 예찬보다는 소얼형인 신동진에서 변화폭이 컸다. 3. 출수기는 재식밀도가 낮아질수록 0~2일 늦춰지는 경향을 보였고 수전기간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4. 재식밀도 감소에 따라 천립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재식밀도가 줄어들면서 면적당 영화수와 등숙률의 저하로 수량이 감소되었다. 5. 안정적인 드문모심기 재배를 위한 재식밀도는 50주/3.3 m2 이상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얼형인 신동진이 재식밀도 감소에 따른 생육 및 수량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나 분얼이 적은 품종보다는 많은 품종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 late onset solitary mediastinal cystic lymphangioma in a 66-year-old woman who underwent kidney transplantation

  • Lee, Jung Mo;Lee, Sang Hoon;Park, Youngmok;Kim, Chi Young;Goag, Eun Kyoung;Lee, Eun Hye;Park, Ji Eun;Lee, Chang Young;Kim, Se Kyu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55-158
    • /
    • 2015
  • Lymphangioma is a congenital abnormality of the lymphatic system detected primarily in early childhood. There are rare reports of mediastinal lymphangioma in older adults. We hereby report on a 66-year-old female patient who underwent kidney transplantation 20 years previously and who developed pathologically confirmed solitary mediastinal lymphangioma 1 year ago. Chest radiography showed a mediastinal nodule, which was not observed 2 year previously, therefore she was referred to the pulmonary division. She had no symptoms, and chest computed tomography demonstrated a 25-mm, well-defined, low-density nodule located at the anterior mediastinum. The size of the nodule had increased from 25 mm to 34 mm 1 year later, and it was completely resected via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The histological diagnosis was cystic lymphangioma. Therefore, we recommend that clinicians consider cystic lymphangioma as a possible diagnosis even in older patients with a mediastinal cystic mass that shows progressive enlargement.

동해안 참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의 중간육성 (Intermediate Culture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in the East Coast of Korea)

  • 박영제;노섬;이정용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9-351
    • /
    • 2000
  • 동해안의 주문진 연안에서 1991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한해성 패류인 참가리비, P. yessoensis의 지속적 생산을 위한 중간육성의 서식환경, 성장, 적정 수용밀도, 육성 적수층, 이식시기, 폐사 및 기형패 발생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북한한류의 영향을 받는 연구해역에서 참가리비의 주서식층인 10~30m 층의 수온은 4.7~23.8$^{\circ}C$로 고수온을 보인 1994년과 1997년을 제외하고는 참가리비의 생육에 적합한 5~23$^{\circ}C$ 범위였다. 그러나 고수온과 함께 일교차가 크고 불규칙한 변동이 지속되는 시기에 나타나는 성장저하 및 폐사 현상은 수온과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염분은 31.5~34.5$^{o}\prime_{oo}$로 생육에 비교적 적합하였고, 투명도는 6.0~18.1m로 일반적으로 식물플랑크톤의 출현량에 따라 변화하였다. Chlorophyll-${\alpha}$의 농도는 0.04~3.51${\mu}$g/L로 빈영양 해역의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해에 따른 변동이 크고, 특히, 여름철에 현저히 감소하는 시기에 참가리비의 폐사가 일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수온과 함께 참가리비의 성장을 지배하는 하나의 제안인자임을 시사한다. 치패의 중간육성 이식 가능시기는 7월 중순부터 11월 초순사이로 7~8월(1차)에 고밀도로 이식한 후 9월 중순~11월 초순(2차)에 저밀도로 분산하는 것이 성장과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중간육성채롱(square net cage 35${\times}$35cm)에 의한 치패의 적정 수용밀도는 각고 1.5~3cm 내외 크기에서 본 양성용은 30~40개체, 바닥 씨뿌림 양성용은 80~100개체가 적합하였다. 중간육성 기간 중 수층별 성장은 10~15m 층에서 좋았고, 25m 이하 층에서 느렸다. 그러나 수온변동이 크고, 고수온이 지속되는 시기에는 적정밀도로 분산하여 25m 이하 수층에서 관리하는 것이 폐사를 줄일 수 있었다. 중간육성 기간 중 치패의 일간 성장량은 0.019~0.381mm/day로 1~2월에 낮았고, 3~4월에 높았다. 특히, 수용밀도 50개체 이상으로 중간육성 시에는 여름철에 폐사할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반드시 6월 이전에 낮은 밀도로 본 양성을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도작(水稻作) 기계화(機械化)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육묘시기(育苗時期), 파종밀도(播種密度) 및 비료용량(肥料用量)이 수도상자묘(水稻箱子苗)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Mechanization of Rice Culture. Effect of Date and Rate of Seeding and Fertilization on the Growth of Rice Seedling)

  • 안수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68-76
    • /
    • 1984
  • 수도상자육묘(水稻箱子育苗)에 있어서 이상적(理想的)인 치묘(稚苗)와 중묘(中苗) 그리고 성묘(成苗)의 육성(育成)에 알맞은 재배조건(栽培條件)을 구명(究明)하고져 파종밀도(播種密度)와 비료용량(肥料用量), 육묘(育苗)의 시기(時期)와 일수(日數)의 영향(影響)을 분석(分析)한바, 파종량(播種量)은 적을수록, 시비량(施肥量)은 많을수록, 만파(晩播)일수록, 육묘기간(育苗期間)이 연장(延長)될수록 초장(草長), 엽수(葉數) 및 건물중(乾物重)은 증대(增大)하였는데 그 영향(影響)은 파종기(播種期)>육묘일수(育苗日數)>파종밀도(播種密度)>시비량(施肥量)의 순(順)으로 컸으며 조기파종시(早期播種時)에는 상자당(箱子當) 200g의 파종량(播種量)과 4g까지의 시비량하(施肥量下)에서 알맞은 치묘육성(稚苗育成)이 가능(可能)하였고 적당(適當)한 중묘(中苗)는 25일간(日間)의 육묘시(育苗時)에는 50g의 박파(薄播)에서, 그리고 35일묘(日苗)에서는 100~125g 범위(範圍)의 파종밀도하(播種密度下)에서 육성가능(育成可能)하나 45일묘(日苗)는 지나치게 웃자라 기계이앙용(機械移秧用)으로는 부적당(不適當)하였다. 만파시(晩播時)에도 같은 경향(傾向)이나 처리간차이(處理間差異)가 확대(擴大)되었으며 치묘(稚苗)는 상자당(箱子當) 100g 이하(以下)의 박파조건(薄播條件)에서 육성가능(育成可能)하였고 100내지(乃至) 150g의 파종밀도(播種密度)에 25일간(日間) 육묘(育苗)하므로서 알맞은 중묘(中苗)를 얻을 수 있었으나 35일(日) 이상(以上) 육묘일수(育苗日數)를 연장(延長)하면 지나치게 생장(生長)하거나 도장(徒長)하였고 성묘비율(成苗比率)도 현저(顯著)히 저하(低下)하였다.

  • PDF

논오리 방사밀도가 오리의 행동양상 및 벼 생육 ${\cdot}$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uck Free-Ranging Density on Duck Behavior Patterns, and Rice Growth and Yield under a Rice-Duck Farming System in Paddy Field)

  • 고병대;송영한;만전정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6-92
    • /
    • 2001
  • 벼논 오리농법에 있어서 오리 방사체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각 처리구를 4 a의 동일면적으로 구분하고, 방사 오리수를 각각 6수, 9수, 12수 및 15수씩으로 하는 4처리구를 설계하여 방사밀도에 따른 오리의 행동형 및 벼 생육과 수량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리 방사밀도에 따른 일중 12시간 동안의 행동변화에서 섭식 및 이동행동은 12수 방사구에서 가장 길었고, 노동행동에서도 다른 3처리구에 비해 12수 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다(P<0.05). 반면 휴식행동은 12수 방사구에 비해 9수 및 15수 방사구에서 현저히 길게 나타났다(P<0.05). 방사오리가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일중 6시간 동안의 이동 회수는 15수 방사구에서 가장 적었고 나머지 3처리구간에서는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잠수회수는 9수 방사구에서 다른 3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1), 벼 포기 쪼는 회수도 9수 방사구에서 12수 및 15수 방사구에 비해 현저히 많았다(P<0.05). 그러나 오리가 쪼은 총 벼포기수에서는 방사밀도가 낮은 6수 및 9수 방사구에 비해 15수 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1). 벼 초장은 오리 방사후 30일째부터 방사밀도가 높을 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P<0.05), 경수(莖數)는 방사밀도에 의해 대차없었다. 출수후 벼 생육변화에서 간장(稈長)은 방사밀도가 높은 12수 및 15수 방사구에서 짧았고(P<0.05), 수장(穗長)은 오리 방사밀도에 의해 대차없었다. 벼 지상부의 건물중량은 방사밀도가 높을 수록 낮은 값에 편중됨을 보인 반면, 지하부의 건물중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오리 방사밀도에 따른 벼 결주발생수은 15수 방사구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수, 9수 및 12수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당(穗當) 영화수는 6수 및 9수 방사구에 비해 12수 및 15수 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많았고(P<0.05), 등숙율은 다른 3처리구에 비해 15수 방사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10 a당 수량은 12수 방사구에서 726.5 kg으로 가장 높은 수량증가를 보였고, 다음으로 9수, 15수 및 6수 방사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창상치유목적의 골수기질세포 동종이식을 위한 고분자막의 조건 (Optimal Condition of Microporous Membrane for Bone Marrow Stromal Cell Allotransplantation to Stimulate Wound Healing in Vitro)

  • 이은상;김명주;한승규;홍성택;김우경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509-518
    • /
    • 2010
  • Purpose: Major drawbacks of conventional bone marrow stromal cells (BSCs) transplantation method are mainly caused by direct transplanted cell to host cell interactions. We hypothesized that separation of the transplanted cells by a microporous membrane might inhibit most of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and induce superior effe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 of the microporous membrane. Methods: First, BSCs were placed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ranswell inserts with 3, 8, or $12{\mu}m$ pore size, and cultured in 24 well culture plates. After 5 days, bottoms of the plates were observed for presence of attached BSCs in monolayer and cell numbers were evaluated. Second, BSCs were placed PET, polycarbonate (PCT), and mixed cellulose esters (MCE) transwell inserts with 3 and $8{\mu}m$ pore size, and cultured in 24 well culture plates. After 3 days, the supernatants of the media left in culture plate were analyzed for collage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BB (PDGF-BB),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Third, BSCs were placed in 15% and 70% of the PET membrane with $3{\mu}m$ pore size. Al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methods were same as the second study. Results: The optimal pore sizes to prevent BSC leakage were $3{\mu}m$ and $8{\mu}m$. The amounts of type I collagen and three growth factors teste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ET, PCT, and MCE groups. However, the collagen, VEGF, and bFGF levels were much higher in the high (70%) density group than in the low (15%) density group.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ptimal pore size of membrane to prevent direct BSC to recipient cell contact is in between $3{\mu}m$ and $8{\mu}m$. Membrane materials and pore sizes do not influence the collagen and growth factor passage through the membrane. The most striking factor for collagen and growth factor transport is pore density of the membr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