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temperature retrac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가황천연고무의 저온 회복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w Temperature Retraction of NR)

  • 윤준호;김태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4호
    • /
    • pp.303-310
    • /
    • 2000
  • 가황천연고무를 제조할 때 가교제와 여러 첨가제의 배합비를 조절하여 그 배합비가 제품의 저온 회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가황천연고무를 200% 신장시킨 후 $-40^{\circ}C$에서 24시간 유지시켜 복원력을 관찰하였다. 일정한 범위에서 황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또한 충전제의 함량은 적을수록 저온회복율은 향상되었다. 가황촉진제, 가소제와 가황촉진조제 등은 일정함량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과산화물을 약간 침가하였을 때 저온회복율은 보다 향상되었으나 가황시간은 보다 길어졌다. 최대의 복원력은 85%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SBR 가황물의 회복 거동에 미치는 스티렌 함량의 영향 (Influence of Styrene Contents on Retraction Behaviors of SBR Vulcanizates)

  • 최성신;우창수;장동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4호
    • /
    • pp.237-241
    • /
    • 2005
  • 스티렌 함량이 SBR 가황물의 회복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스티렌 함량이 15와 21 wt%인 SBR을 사용하였다. 스티렌 함량이 적은 가황물이 스티렌 함량이 많은 가황물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회복하기 시작하였으며, 스티렌 함량이 적은 가황물의 회복 속도가 스티렌 함량이 많은 가황물보다 느렸다. 두 가황물 간의 회복 차이는 카본블랙으로 보강된 가황물이 실리카로 보강된 것보다 컸다. 실험 결과는 유리전이온도와 모듈러스로 설명하였다.

TESPT 실란커플링제가 침전 실리카로 보강된 오일씰용 NBR복합소재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SPT Silane Coupling Agen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recipitated Silica Filled NBR Compound for Oil Seal)

  • 이영석;황기섭;이종철;김태근;하기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1호
    • /
    • pp.45-53
    • /
    • 2011
  • 실란커플링제인 bis-(3-triethoxysilpropyl)tetrasulfide (TESPT)가 실리카 충전 오일씰용 NBR 복합소재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복합소재의 가교거동과 가교밀도는 ODR (oscillating disk rheometer)과 톨루엔 팽윤비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은 가황물을 공기 내열 노화 및 ASTM No.3 oil에 내유 노화시켜 시험 전 후 값을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과 Shore A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오일씰의 성능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복합소재의 탄성회복은 가황물에 굽힘 변형을 주어 노화시킨 후 시편이 회복되는 길이를 측정하여 회복 각(angle of recovery)을 계산하였으며, 저온에서의 탄성회복거동은 TR (temperature retraction)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Taber식 마모시험기를 사용하여 가황물의 내마모성을 측정하고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마모면의 형상을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실리카가 충전된 복합물에 TESPT가 첨가되면 복합물의 흐름성이 향상되고 실리카와 NBR 간의 상호작용 및 가황물의 가교밀도가 향상되어 가황물의 경도, 100% 모듈러스, 탄성회복성, 내마모성, 내열노화성 및 ASTM No.3 오일에 대한 내유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실란 커플링제가 카본블랙과 점토로 보강된 천연 고무 가황물의 회복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ilane Coupling Agent on Retraction Behaviors of NR Vulcanizates Reinforced with Carbon Black and Clay)

  • 최성신;박병호;김완수;김완두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2호
    • /
    • pp.112-118
    • /
    • 2005
  • 실란 커플링제가 카본블랙과 점토로 보강된 천연 고무 가황물의 회복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 (TESPT)를 실란 커플링제로 사용하였다. 실란 커플링제가 함유된 가황물은 실란 커플링제가 함유되지 않은 가황물에 비해 전반적으로 빠른 회복 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점토 함량이 높은 가황물의 경우 $-20^{\circ}C$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실란 커플링제가 함유된 가황물이 실란 커플링제가 함유되지 않은 가황물에 비해 느리게 회복되었다. 실란 커플링제가 함유된 가황물과 실란 커플링제가 함유되지 않은 가황물의 회복량 차이는 점토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실험 결과는 가교 밀도, 모둘러스, 그리고 결합 고무량으로 설명하였다.

[논문 철회] 유화중합에 의한 Methyl methacrylate/styrene계 Core-shell 라텍스 입자 제조에 관한 연구 ([Retraction] Preparation of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re-shell Latex by Emulsion Polymerization)

  • 강돈오;이내우;설수덕;이선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7권1호
    • /
    • pp.21-30
    • /
    • 2002
  • 개시제 ammonium persulfate(APS)와 유화제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SDBS)를 이용하여 methyl methacrylate(MMA), styrene(St), ethyl acrylate(EA)등의 단량체를 core(내부)와 shell(외부)의 폴리머성분이 다른 core-shell 폴리머를 합성하고 각 core-shell 폴리머에 대한 구조를 연구하였다. 한 입자의 내부와 외부의 고분자 조성이 다른 composite 라텍스는 고분자 블렌딩과 공중합의 물성과는 달리 한 입자 내에서도 상반된 두 가지 물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특성으로 인하여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core-shell 라텍스를 제조할 때 반응중입자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입자의 응집과 중합율이 떨어지고, 라텍스의 응용시 기계적 안정성이 문제점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shell 중합시에 새로운 입자의 생성이 적고 중합중 안정성이 우수한 라텍스를 제조하기 위해 유화제농도, 개시제농도, 중합온도가 PMMA/PSt과 PSt/PMMA의 core-shell 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중합 후 입도분석기(particle size analyzer; PSA) 및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이용하여 실제 입자측정과 입자형태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T_g$)의 측정, 최저성막온도(minimum film formation temperature; MFFT), NaOH 첨가에 의한 가수 분해에 따르는 pH를 측정하여 core-shell의 새로운 특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