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salt fermented squid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6초

미생물분석법을 이용하여 한국인이 즐겨 섭취하는 일부 해조류 및 어패류와 그 가공식품의 비타민 $B_{12}$ 함량 분석 (Vitamin $B_{12}$ Content Using Modified Microbioassay in Some Korean Popular Seaweeds, Fish, Shellfish and Its Products)

  • 곽충실;박준희;조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94-102
    • /
    • 2012
  • There is a limitation to estimate vitamin $B_{12}$ intake due to a lack of data on vitamin $B_{12}$ content in many Korean foods. In this study, vitamin $B_{12}$ content was determined in some seaweeds, fish, and shellfish and their product that are consumed in Korea using a modified microbioassay with Lactobacillus delbruecki ATCC 7830. Dried laver and dried seasoned and toasted laver contained very high levels of vitamin $B_{12}$ (66.8 and $55.2-71.3\;{\mu}g$/100 g, respectively. Sea lettuce and seaweed fulvescene also contained high vitamin $B_{12}$ content of 5.47-9.41 and $6.46-7.20\;{\mu}g$/100 g, respectively, whereas sea mustard and sea tangle contained low levels of vitamin $B_{12}$; vitamin $B_{12}$ was not detected in seaweed fusifome. Pacific saury, trout, sea-bass, or squid contained 12.01, 2.00, 0.49 and $2.33\;{\mu}g$ vitamin $B_{12}$/100 g, respectively. Ochellatus octopus, and naked sand lance contained 0.72-1.43 and $3.68\;{\mu}g$ vitamin $B_{12}$/100 g, respectively. Dried Alaska pollack con-tained $0.19-2.64\;{\mu}g$ vitamin $B_{12}$/100 g. Shellfish such as little neck clam and small ark shellfish contained high levels of vitamin $B_{12}$ of $30.5-40.5\;{\mu}g$/100 g, and mussel and abalone contained 17.71 and $7.82\;{\mu}g$/100 g, respectively. Of unique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products, salt-fermented products of squid ($2.91\;{\mu}g$/100 g), clams ($34.31\;{\mu}g$/100 g), Ala-ska pollack roe ($9.98-12.02\;{\mu}g$/100 g), hairtail guts ($4.58\;{\mu}g$/100 g) or small shrimp ($0.58-1.55\;{\mu}g$/100 g), and fish sauce from anchovies ($1.52-1.78\;{\mu}g$/100 mL), sand eel ($0.22-0.24\;{\mu}g$/100 mL) or small shrimp ($0.19-0.78\;{\mu}g$/100 mL) were analyzed. A few commercial brands of flying fish roe ($0.73-1.73\;{\mu}g$/100 g), canned tuna ($0.40\;{\mu}g$/100 g), and fried fish paste ($0.25-0.69\;{\mu}g$/100 g) were also analyzed. In conclusion, vitamin $B_{12}$ content in these foods, chosen considering the Korean food culture,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present vitamin $B_{12}$ food database. It may be helpful to estimate vitamin $B_{12}$ intake more correctly than before, an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dietary education related to vitamin $B_{12}$ and meal management.

남극 세종과학기지 대원들의 메뉴분석에 의한 식사의 질 평가 (Dietary Quality Evaluation by Menu Analysis of Korea Antarctic Expedition)

  • 최지현;김찬;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82-19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ietary quality of Korea Antarctic expedition by menu analysis. Basic menu pattern, intake of dish and dish group, DDS (dietary diversity score), daily nutrients supply, and NAR (nutrient adequacy ratio) & MAR (mean adequacy ratio) were analyzed using 1 year menu list for the 10th Korea Antarctic expedition. Most frequently served basic menu patterns were ${\ulcorner}$Rice + Soup + 2 Side dish + Kimchi (53.5%)${\lrcorner}$ and ${\ulcorner}$Rice + Stew + 2 Side dish + Kimchi (13.4%)${\lrcorner}$. In the analysis of dish group, excluding Rice and Kimchi, ${\ulcorner}$Grilled foods${\lrcorner}$ and ${\ulcorner}$Pan-fried foods${\lrcorner}$ were served more than 25% per month. Most frequently served dishes were "pan-fried rolled egg", "grilled seaweed", "kimchi soup", "fruits cocktail, canned" and "salt-fermented squid". The kinds of served dishes were very restrictive. The average score of DDS showed 2.88 for summer and 2.97 for winter. Dairy group was almost not served. Fruit & Vegetable groups were also served a little as canned product. The energy ratio of Carbohydrate : Fat : Protein was 56.5 : 23.9 : 19.2, and 56.9 : 24.5 : 18.3, for summer and winter, respectively. Both seasons had higher ratio of carbohydrate and lower ratio of fat compared to the recommended ratio (44 : 40 : 16) in polar area. Ca : P ratio was very poor, 0.40 in both seasons. NAR scores of Ca, vitamin A, vitamin $B_2$ and vitamin C were also very low, ranged from 0.6 to 0.7. Consequently, a well-planned menu supplying adequate amount of dairy, fruit and vegetable is necessarily required including Ca, vitamin D, vitamin A, vitamin $B_2$ and vitamin C intake, and some nutritionally well-educated members are urgently needed to join in the expedition.

살균고춧가루를 이용한 오징어젓갈 제조 I. Ohmic heating에 의한 고춧가루 살균 (Preparation of Squid-Jeotkal with Pasteurized Red Pepper I. Pasteurization of Red Pepper Powder by Ohmic Heating)

  • 이현숙;이원동;고병호;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17
    • /
    • 2000
  • 전기저항열을 이용한 식품의 가열처리방법인 ohmic heating에 의한 고춧가루의 살균효과를 살펴본 결과, 전계강도를 500 V/m과 700 V/m으로 고정하고 일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ohmic heating으로 열처리하였을 때 5$0^{\circ}C$에서 7$0^{\circ}C$가지는 균수의 변화가 없었고 8$0^{\circ}C$ 이상에서 약 1-log-unit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온도를 9$0^{\circ}C$로 고정하고 holding time을 주었을 때는 40분 이상 열처리하였을 때 초기생균수가 8.5$\times$$10^{6}$CFU/g에서 2.1 $\times$ $10^2$CFU/g으로 약 4.6-log-unit이 감소하였다. Ohmic heating으로 살균시 holding time에 따른 고춧가루의 색도변화는 미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9$0^{\circ}C$에서 40분 열처리하였을 때도 $\Delta$E값이 1.5 이하로 색도 변화는 미약하였다. 살균고춧가루를 이용하여 오징어젓갈을 제조한 결과 생균수가 8.4$\times$$10^3$CFU/g으로 일반고춧가루사용 오징어젓갈의 1.6$\times$$10^{6}$CFU/g 보다 적었으며, 효모 및 곰팡이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춧가루에서 대부분의 미생물이 혼입된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결과이며, 특히 유통중 변패의 주요항목인 곰팡이 발생이 고춧가루로부터 기인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학생의 수산식품 선호도 및 섭취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on the Seafood Preference and Eating Frequency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이정숙;김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62-1168
    • /
    • 2000
  • 아동들의 수산식품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고 수산식품 선호도 및 섭취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시 부산진구 K초등학교의 4, 5, 6 학년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2000년 2월 8일부터 2월 22일까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지식 점수는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와의 상관관계는 남학생은 r=.162 여학생은 r=.115로 영양지식이 많을수록 식생활 태도가 유의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김치-게-오징어-고등어-갈치-새우가 좋아하는 수산식품이었으며, 굴- 미더덕-젓갈류는 싫어하는 식품으로 나타났다. 수산식품의 섭취빈도에는 어린이 식생활태도, 어머니의 학력 및 어머니의 권유정도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자신의 영양 지식 및 식생활 태도, 어머니의 권유정도가 수산식품을 꼭 섭취해야한다는 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이나 가족형태, 월식생활비 및 어머니의 식생활 태도에 따른 수산식품 섭취빈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라 어린이들의 수산식품 섭취빈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어머니의 권유도가 클수록 섭취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장과 건강유지에 필요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게 할려면, 식습관 형성시기인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식품과 영양에 대한 바른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식생활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활성화되어 수산식품의 섭취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 선호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동시에 균형있고 다양한 식품선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정에서도 적절한 영양관리 및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모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