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salt fermentation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8초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7. 저식염 멸치젓 숙성중의 휘발성성분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7.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Anchovy Prepared with Low Sodium Contents)

  • 차용준;이응호;김희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11-518
    • /
    • 1985
  • 냄새성분은 식품의 품질을 특정짓는 관능적요소의 하나로서, 특히 우리나라에서 즐겨 이용하는 젓갈에서는 그 기여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젓갈의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식염의 일부를 KCl로 대체하여 담근 저식염멸치젓 숙성중의 휘발성성분을 재래식젓($20\%$ 식염함량)과 함께 비교분석하였으며, 또한 지방산조성의 변화도 실험하였다. 원료멸치의 구성지방산은 중성지질이 $77.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인지질이 $22.1\%$, 당지질은 $0.35\%$였다. 그리고 총지질의 조성은 polyene산이 $39.8\%$로 가장 높았으며 polyene 산중에서도 $C_{22:6},\;C_{20:5}$가 대부분이었다. 숙성중에는 polyene 산($C_{22:6},\;C_{20:5}$)의 비율이 감소하는 반면에 포화산($C_{16:0},\;C_{18:0},\;C_{l4:0}$)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monoene산중에서는 $C_{16:1}$ 및 $C_{18:1}$의 증가를 제외하고는 큰 변동이 없었다. 그리고 산가와 카르보닐가 등도 숙성중 증가하였으며 알콜을 첨가한 저식염멸치젓의 경우는 재래식 젓보다 그 함량이 낮았다. 멸치젓(숙성 90일경)의 전휘발성성분에서 38종의 성분을 동정할 수 있었는데 그 주체는 알콜류, 알데히드와 케톤류, 탄화수소류와 지방산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숙성기간중 저급휘발성산(8종), 아민(5종), 카르보닐화합물(9종)을 검출동정하였는데 완숙기(숙성 60일경)의 저식염멸치젓에서는 acetic acid, isovaleric acid, propionic acid, n-butyric acid가 휘발성산의 주류이었으며, 카르보닐에서는 ethanal, 3-methyl butanal, hexanal, 2-methyl propanal 등이고 아민에서는 TMA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재래식젓과 비교하여 볼 때 각휘발성성분조성에는 차이가 없고 함량비가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멸치젓의 냄새성분은 어느 특정성분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 여러 휘발성성분들의 상호조화에 의하여 젓갈 특유의 풍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수 있었다.

  • PDF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4. 저염 멸치젓의 가공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4.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 차용준;박향숙;조순영;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3-367
    • /
    • 1983
  • 옛부터 남도지방에서 즐겨 먹어 온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의 하나인 멸치젓은 다른 젓갈류와 마찬가지로 식염함량이 높아 그 짠맛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어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식염농도가 낮은 멸치 젓을 가공하고자 에틸알코올, 젖산 및 솔비톨을 첨가하여 저염멸치젓의 가공조건과 아울러 BHA 또는 고추가루를 첨가하였을 때의 항산화효과를 실험하였다. 원료멸치에 식염을 $8\%$, BHA를 $0.02\%$ 혹은 고추가루를 $0.5\%$ 첨가한 저염멸치첫은 식염을 $20\%$ 첨가하고 BHA를 $0.02\%$ 첨가한 것과 마찬가지로 관능검사 결과 숙성 55일경에 가장 맛이 좋았으며, 휘발성염기질소는 숙성 90일 이후에도 100 mg/100 g 범위였다. 또한 아미노질소함량은 숙성 55일경에 가장 높았다. TBA값은 BHA를 $0.02\%$ 첨가한 제품이 염농도에 관계없이 항산화력이 가장 좋았으며, 고추가루를 $0.5\%$ 첨가한 제품은 BHA 보다는 항산화력이 떨어지나 대조시료와 비교하여 볼 때 유도기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과산화물값은 TBA값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균수는 숙성기간중 저염(식염 $8\%$)젓 이 대조제품(식염 $20\%$) 보다 생균수가 낮았다. 원료멸치에 대하여 젖산 $0.5\%$, 솔비톨 $6\%$ 및 에틸알코올 $4\%$를 첨가함으로써 재래식멸치젓(식염 약 $20\%$) 보다 식염함량을 $\frac{1}{3}$정도 감소시킨 저염젓갈을 가공할 수 있었으며, 저장성도 있고 맛도 좋았다.lla sp.와 Navicula sp. 및 Chaetoceros sp. 등의 연안내만성종이다. 이들중 8월의 Rihzosolenia alata f. gracillima와 11월의 Astrionella gracillima는 특히 우세하였다.cosapentaenoic acid가 서로 비슷한 양으로 존재하면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4) sterol조성에 있어서는 시료에서 다 같이 전sterol성분에 대한 cholesterol의 함양분포가 $82.4\sim89.1\%$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소양성분으로서 22-dehydrocholesterol 과 24-methylenecholesterol이 각 시료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5) 총지질에서 분획한 비극성복질(신성지질)과 극성지질의 함양비는 시료에서 다 같이 비극성낙질보다 극성지질의 함양이 훨씬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에서도 당지질보다 린지질의 함양이 월등히 높았다. 6)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유리 sterols의 함양분포가 중성서질에 대하여 $50.0\sim70.5\%$로서 주성분을 이루며, 그 다음 서로 비슷한 양으로 나타나는 esterified sterol, 유리지방산 및 triglyceride가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hexadecadienoic acid 주성분이었다. 7)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myristic acid가 구성지방산의주함분을 이룬다. 그러나 특히 꼴뚜기의 당지질에는 이들 지방산외에 arachidonic acid의 함양이 월등히 높아 주성분의 하나였다

  • PDF

다른 종류의 소금들로 제조한 새우 젓갈의 특성 (Properties of Saeu Jeotgal (Shrimp Jeotgal) Prepared with Different Types of Salts)

  • 심재민;이강욱;야오좡;김정아;김현진;김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18-225
    • /
    • 2017
  • 정제염(PS), 1년 숙성천일염(SS), 3회 죽염(BS)들을 사용하여 새우젓갈들을 제조하였다(소금농도 25%). 젓갈들은 22주간 $15^{\circ}C$에서 숙성하였다. 바실라이들과 해양세균들은 6주차 이후 검출되었고 고세균들은 천일염 젓갈에서만 처음 8주간 저농도로 관찰되었다. 죽염젓갈은 타 젓갈들 보다 pH는 높고 적정산도는 낮았다. 아미노태질소는 발효 중 증가했고 특히 2주와 6주 이후 증가정도가 컸으며 천일염젓갈이 발효초기부터 종료시 까지 타 젓갈들보다 함량이 높았다. 암모니아태 질소함량도 발효 중 증가했다. 천일염젓갈이 가장 높은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4주차 이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시료의 단백질가수분해 측면에서 볼 때 천일염이 타 염들보다 우수하였다.

A Study on Salt-fermented Seahorse added with Proteolytic Enzyme (Protamex)

  • LEE, In-Sook;LEE, Min-Ho;JANG, Kyung-Tae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6권6호
    • /
    • pp.1-7
    • /
    • 2020
  • We compared the fermentation of 0 to 4 weeks by manufacturing a rapid low salt-fermented seahorse with a commercial Protamex added to the functional food, Hippocampus abdominalis. We studied amino acid composition, content and major amino acids related to flavor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salt-fermented seahorse. In the enzyme-free group, it showed little change in the content of non-protein nitrogenous compounds, the content of amino acids and degree of hydrolysis. The Protamex enzyme treatment group was rapidly hydrolyzed in one week of ripening, resulting in increased non-protein nitrogenous compounds content, amino acid content and degree of hydrolysis, and minimal changes in the four week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ratio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lutamic acid in the enzyme additive group, glycine, alanine, which indicates sweet taste, and serine, the content of glycine, alanine, serine, and lysine, indicating sweet tast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enzyme-free group. Twenty species of free amino acid in the four-week of salt-fermented seahorse were detected. It detected 43.0% (6 species) in the enzyme-free group and 63.96% (7 species) in the enzyme additive group.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odium Salt of Isobutyric Acid on Ruminal Fermentation and Nutrient Utilization in a Wheat Straw Based Low Protein Diet Fed to Crossbred Cattle

  • Misra, A.K.;Thakur,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479-484
    • /
    • 2001
  •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odium salt of isobutyric acid in low protein (10% CP) wheat straw based diet on nutrient utilization and rumen fermentation was studied in ruminally fistulated male crossbred cattle. The study included a 7 day metabolism and a 3 day rumen fermentation trials. The cattle were distributed into two equal groups of 4 each. The animals of control group were fed a basal diet consisting of wheat straw, concentrate mixture and green maize fodder in 40:40:20 proportion whereas branched chain volatile fatty acid (BCFA) supplemented group received a basal diet + isobutyric acid at 0.75 percent of basal diet. The duration of study was 36 days. The feed intak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nd the average total DMI (% BW) was 2.01 and $2.28kg\;day^{-1}$ in control and BCFA supplemented diets.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BCFA improved (p<0.05) the DM, OM, NDF and cellulose digestibility by 4.46, 6.63, 10.57 and 11.31 per cent over those fed control diet. The total N retention on BCFA supplementation was improved (p<0.01) due to decreased (p<0.05) urinary N excretion. The concentrations of ruminal total N was 37.07 and $34.77mg\;100ml^{-1}$ in control and BCFA fed groups, respectively. Dietary supplementation BCFA significantly (p<0.01) reduced the ruminal ammonia N concentration as compared to control and the mean values ($mg\;100ml^{-1}$) were 13.18 and 9.42 in control and BCFA fed groups. The total VFA concentration was higher (p<0.01) in BCFA supplemented group (101.14 mM) than the control (93.05 mM). Among the VFAs, the molar proportion of acetate was higher (p<0.01) in BCFA supplemented group (71.07 mM) as compared to control (64.98 mM).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propionate and butyrate remained unchanged. Amino acids composition of bacterial hydrolysates was similar in both the groups. Ruminal outflow rate of liquid digesta was higher (p<0.01) in BCFA fed group ($67.56l\;day^{-1}$) than control ($52.73l\;day^{-1}$). It is concluded that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Na-salt of isobutyric acid in low protein diet improved the nutrient utilization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저염 새우젓 제조를 위한 최적 숙성직전의 감마선 조사시 화학적 품질변화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in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Gamma Irradiation immediately before Optimum Fermentation)

  • 이경행;안현주;이철호;김영지;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51-1057
    • /
    • 2000
  •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킨 저염 새우젓 개발을 위해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다. 식염농도를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을 제조하여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최적 숙성기에 도달하기 직전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400mg% 수준에서 5 kGy 및 10 kGy 선량의 감마선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구로는 30% 식염농도의 새우젓을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화학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최적 숙성직전 감마선을 조사한 결과, 감마선 조사직후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및 효소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성분의 변화는 식염함량 및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낮았으며, 효소활성은 발효 4∼5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15% 식염과 10 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 식염과 5 kGy 이상의 감마선을 최적 숙성직전 조사한 새우젓의 경우 젓갈의 화학적 품질지표인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분해 효소활성이 30% 고염농도인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발효기간 동안 적정수준의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어 양호한 품질특성을 보였다.

  • PDF

오징어 먹즙 첨가가 저 식염 오징어 젓갈의 단백질분해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quid Ink Added to Low-Salted Squid Jeot-gal on Its Proteolytic Characteristics)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48-355
    • /
    • 2013
  • 오징어 젓갈에 오징어 먹즙을 2% 및 4% 농도로 첨가하고 $10^{\circ}C$에서 8주일간, $20^{\circ}C$에서 32일간 숙성시키면서 아미노태 질소와 근육단백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징어 먹즙이 첨가되지 않은 오징어 젓갈의 아미노태 질소는 식염 농도가 낮고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후반까지 계속 유의성 높게 증가하여 숙성이 촉진되었으며 오징어 근육의 단백질 변화는 myosin heavy chain이 숙성 초반에 현저히 분해되지만 actin의 변화는 거의 없어서 protease에 강하였다. 오징어 먹즙을 첨가한 오징어 젓갈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후반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무 첨가군에 비하여 적었으며 오징어 근육 단백질 중 myosin heavy chain은 숙성 중반에 현저히 분해되었으며 식염농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먹즙 첨가군은 분해 속도가 느렸다.

타우린 첨가 김치의 저온 저장 중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aurine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 임성빈;김미숙;김은경;고재윤;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14-18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타우린 첨가 김치의 발효과정 중 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조군, Taurine I, Taurine II 및 Taurine III의 환원당과 비타민 C 함량은 발효 46일 후에 0일째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대조군에서 타우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타우린군의 경우 타우린 함량은 타우린첨가량에 비례하였고 발효기간 동안 타우린 함량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첨가한 타우린이 김치 발효 숙성 중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Taurine III> Taurine II> Taurine I> 대조군의 순이었다. 모든 분석 항목에서 타우린 첨가가 저온에서의 김치 발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콩잎 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소금농도의 효과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Soybean Leaf Kimchi Fermentation)

  • 이숙희;최동진;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12-516
    • /
    • 2003
  • 콩잎김치의 소금농도별 저온에서의 숙성효과를 시기별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가 점차로 낮아지고 산가는 증가하였다. 소금농도 1.5% 처리한 콩잎김치에서 가장 빨리 pH가 저하하였다. 염농도 측정에서 처리한 소금농도별로 염농도가 높았으며, 숙성 8일경에 모든 처리에서 염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안정적 양상을 보였다. 소금농도별 미생물상 변화에서 총균수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한 후 일정한 경향을 유지하였고, 젖산균은 숙성되면서 발효 시작시에 현저한 증가를 보인 후 큰 변화 없이 일정한 양상을 유지하는 경향이었으며 처리한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발효후기에 젖산속 균의 생육이 활발하였다 소금농도 3.0% 혹은 4.5% 처리한 콩잎김치에서 관능평가 결과 좋은 점수를 받았으며 냄새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짠맛에서도 보통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다.

새우젓 저염화를 위한 최적 숙성직전의 감마선 조사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Gamma Irradiation Before Optimum Fermentation)

  • 안현주;이철호;이경행;김재현;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07-1113
    • /
    • 2000
  •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킨 저염 새우젓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다. 식염농도를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을 제조하여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최적 숙성기에 도달하기 전 아미노태질소의 함량이 400mg% 수준에서 5 kGy 및 1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하였으며, 대조구로는 30% 식염농도의 새우젓을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품질을 평가하였다. 최적 숙성 직전 감마선을 조사한 결과, 일반성분, 수분활성 및 염도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pH의 경우, 감마선 조사에 의한 발효 억제로 비조사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총균수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최고 숙성기에 나타나는 부패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약간의 발효가 진행될 뿐 고식염의 대조구와 마찬가지로 부패가 일어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15% 및 20% 식염함량의 새우젓 모두 감마선 조사를 한 경우 관능적으로 우수하였으며, 특히 15% 식염과 10 kGy의 감마선 조사 또는 20% 식염과 5 kGy 이상의 조사는 저장성과 관능적 품질이 매우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