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ow impact development (LID)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Long-term Estimation and Mitigation of Urban Development Impact on Watershed Hydrology (도시개발로 인한 장기 수문변화 예측과 저감 방안)

  • Jeon, Ji-Hong;Jang, Joo Bok;Kim, Tae-Dong;Choi, Donghy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 /
    • v.18 no.4
    • /
    • pp.419-428
    • /
    • 2018
  • This study is aimed at estimating and mitigating the impact of urban development on watershed hydrology for new town experienced with dramatical change of land use from rural to urban. The climate change scenario,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revealed direct response of runoff depth to precipitation, which increased until year 2100. The types of areas for urban use in addition to climate change affected the efficiencies of bioretention, applied as a low impact development (LID). Combining different areas for urban use suggested that a possible approach to mitigate the urban development impact on watershed hydrology by supplementing captured rainfall potential from area to area and attenuating peak discharge and retarding its time of concentration.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Effect and Rainfall Intensity-Duration Time of Permeable Block Facility (투수블록시설의 유출저감효과 분석 및 강우강도-지속시간 관계 분석)

  • Han, Sangyun;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2 no.1
    • /
    • pp.1-7
    • /
    • 2020
  • Non-point pollution adversely affects the water system and its influence is increasing. In order to manage such nonpoint source pollution, the government has conducted studies on LID (Low Impact Development) facilities and various efficiency evaluations. In this study, the actual installed permeable block facility among the various LID facilities was analyzed the effluent reduction rate, the residual rainfall analysis, the runoff duration time and the reduction rate of the maximum inflow and outflow for the rainfall runoff contro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he other faciliti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eduction efficiency is high in order of impermeable block, filter type permeable block, and clearance type permeable block, and the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infall intensity and the runoff duration time is presented. This graph can be helpful in the design of facilities such as the facility capacity selectio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period of the permeable block facility similar to this.

Analysis of the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on hydrological components and water quality (저영향개발 기법 적용에 따른 수문요소 및 수질 영향 분석)

  • Lee, Hyunji;Kang, Moon Seong;Kim, Hakkwan;Kim, Kyeung;Kim, Ji Hye;Kim, Sin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1-311
    • /
    • 2021
  • 최근 도시화에 따라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였고 이는 유역의 수문학적 요소와 수질의 큰 변화를 발생시켰다.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강우 시 더 많은 강우유출수를 발생시켜 지표유출과 첨두유량을 증가시키고 더 많은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에 유입되게 한다. 또한, 토양으로의 침투량과 저류량이 감소되어 기저유출을 감소시키며 수질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저영향개발 (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LID는 도시개발 이전의 수문상태와 유사하도록 개발하는 기법으로 우수 유출 속도 감소, 유역에서의 저류, 침투 및 증발산과정 촉진, 하류로의 오염물질을 저감시킨다. 실제 유역에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하기 전에 저영향개발 기법의 적용 효과의 분석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많은 LID 기법 모형들이 개발되어 LID 효과분석을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을 이용하여 LID시설 내에서의 저류현상을 구현하고 LID 기법 적용에 따른 유역의 수문요소 및 수질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로는 불투수면적률이 높은 굴포천을 선정하였으며, LID 기법 적용 전 유역의 수문, 수질 실측치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HSPF 모형내에 LID 시설을 적용하여 유역내 수문요소와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LID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analysis of storage and runoff reduction characteristics using planter box in architectural LID system (건축형 LID 시스템에서 Planter Box를 활용한 저류 및 유출저감 특성 분석)

  • Kim, Byung Sung;Kim, Jae Moon;Baek, Jong Seok;Shin, Hyun 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3
    • /
    • pp.219-226
    • /
    • 2019
  • Recently, research about Low-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has been expanded due to problems with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that have been increasing. LID technology is used to control flood damage environmentally to reduce runoff and is reduce runoff on city also restore into previous water circulation system from present developed city. However, studies about quantitative data of LID techniqu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ve Number (CN) was calculated with the Planter Box, which is storage type LID technology to conduct the water circulation (infiltration, runoff, overflow) analysis. Rainfall intensity scenario (60.4 mm/hr, 83.1 mm/hr, 97.4 mm/hr, 108.2 mm/hr) about water circulation analysis of Planter Box is selected on the basis of probable rainfall intensity tabl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torage rate of rainwater in Building Planter Box and Street Planter Box was 43.5% to 52.9% and 33.4% to 39%, respectively. In addition, CN value is estimated to 83 at the Planter box and the runoff reduction effect by applying Horton's infiltration capacity curve showed on 51% to 98%.

Presentation of the Design Process and Capacity Estimation of Rainwater Management for LID Pilot Project (LID 시범단지 설계절차 제시 및 빗물관리용량 산정)

  • Jung, Jong-Suk;Kim, Kyeong-Ji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9 no.3
    • /
    • pp.19-27
    • /
    • 2018
  • Recovery of rainwater cycle is vital to be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means that LID design process is necessary for the urban regeneration.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xisting LID design process. The existing LID design processes have many limitations to be applied to proper LID facilities because it is not considered in site conditions and water flow of the site.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LID design process, this study present the improved LID design process to be considered in hydrographic analysis through GIS analysis and finding points to install proper LID facilities.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this study present the improved LID design process to be applied to urban regeneration.

The Application of Nature-Based Technologies for Addressing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도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연 기반해법의 적용)

  • Haque, Md Tashdedul;Reyes, Nash Jett DG.;Lee, Jung-min;Guerra, Heidi B.;Jeon, Minsu;Choi, Hyeseon;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4
    • /
    • pp.367-376
    • /
    • 2022
  • LID technologies are capable of mitigating the negative impacts of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generated in different land uses. Apart from the increase in point and non-point pollutant generation, highly developed and paved areas generally affect microclimate conditions. This study evaluated both the efficiency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in treating NPS pollutant loads as well as the unit pollutant loads (UPL) generated in various urban features (such as parking lots and highways). This investigation also looked at how LID technology helped to alleviate Urban Heat Island (UHI) conditions. As compared to the typical unit pollutant loads in South Korea, the unit pollutant loads at Kongju National University were relatively low, because of no classes, limited vehicular transmission, and low anthropogenic activities during vacation. After receiving treatment from the LID facilities, the effluent pollutant load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dimentation in filtration mechanisms considerably reduced the pollutant fractions in the influent. Additionally, it was shown that LID facilities' mean surface temperatures are up to 7.2℃ lower than the nearby paved environment, demonstrating the LID systems reducing the UHI impact on an urban area.

The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of Apartment Complex by applying LID Technologies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 (LID 기술 적용을 통한 공동주택단지 물순환 개선 연구 - 침투시설 적용을 중심으로 -)

  • Suh, Joo-Hwan;Lee, In-Ky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5
    • /
    • pp.68-77
    • /
    • 2013
  • Change in the Global Climate causes flood, drought, heavy snow, and rainfall patterns in the Korean Peninsula. A variety of alternativ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re considered. The foreign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Low Impact Development(LID); the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and eco friendly development, over 10 years ag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y has been advanced to apply LID techniques in order to develop several projects in the country. However, sharing of technology or system that can be used easily in the private sector is insufficient. The performance of the elements of LID Technology has not been fully agreed. LID elements of this technology are easy to apply to Apartment complex. The elements are classified technology. The infiltration of elements performs the functions of apartment complex landscaping space technology applied to the target. The water cycle simulation(SWMM 5.0) and technology the implementation of the effectiveness is also verified. For this purpose, three different places in apartment complex to target by SWMM5.0 U.S. EPA conducted utilizing simulated rainfall and applying LID techniques before and after the simulated water cycle (infiltration, surface evaporation, and surface runoff) were conducted. The importance of green space in the LID technique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orm water control as well as the role of Apartment Housing is to promote Amenity. Remember that the physical limitations of apartment complex and smooth water circulation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LID integrated management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To this end, landscapes,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environmental experts for technical consilience between the Low Impact Development efforts are required.

An Analysis on Application Effect of LID Techniques based on SWMM Model for Oncheon Basin by Dong (SWMM 모형을 이용한 온천천 유역 동별 LID 기법 적용 효과 분석)

  • Baek, Jong seok;Kim, Mi eun;Kim, Jae moon;Lee, Sang jin;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56-456
    • /
    • 2015
  • 최근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로 인한 물관련 피해가 늘어감에 따라 도시화된 유역의 물관리 연구에 많은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도시 유역의 물순환에 대한 하나의 해결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LID(Low Impact Development)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법정행정구역도를 따라 온천천 유역을 각 동별로 나누어 LID를 설치하였을 때 적용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소유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SWMM 모형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LID 요소기술로는 토지피복에 따라 주택지에는 옥상녹화, 도로에는 투수성포장을 설치하여 각 동별로 LID 적용 전 후에 대한 유출량, 침투량, 첨두유량, 유출계수 등을 비교 및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온천천 유역 14개 동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출량 감소율의 경우 수민동(85.24%), 거제동(83.23%), 명장동(82.81%), 침투량 증가율은 수민동(162.8%), 안락동(105.1%), 복산동(71.03%) 순으로 하천 주변의 거주지가 밀집된 지역에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첨두유량 감소율은 청룡동(81.82%), 장전동(80.37%) 부곡동(79.39%) 순으로 소유역의 경사가 급한 지형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계수 감소율은 유출량 감소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도시 유역에 보다 나은 물순환을 위하여 LID 요소기술을 설치할 때 저감시키거나 증가시키려는 매개변수를 확실히 선정하는 것이 LID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Rainfall Runoff Reduction Effects Based on Low Impact DevelopmentFacility Monitoring Data (저영향시설(LID) 모니터링 자료 보정을 통한 유출저감 효과 분석)

  • Lee, Inhwa;Ahn, Jeahwang;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7-157
    • /
    • 2017
  • 우리나라에서는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도시화의 영향으로 토지사용 방법이 변화함에 따라 도심지 내 불투수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불투수면적과 강우유출량 또한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도심홍수, 수질오염 등의 피해를 더욱 심화시킬 뿐 아니라, 도시유역 물순환 체계 및 자연생태계 균형 파괴 등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국내 외에서 도시유역 물순환 체계 관련 다양한 대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약 20년 전부터 저영향개발 (Low Impact Development; LID)을 통한 수자원의 활용과 환경 친화적인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LID 기법은 소규모 유출저감 시설과 녹지면을 이용하여 빗물을 분산시키는 분산형 유출저감 시설물이 있다. 분산형 유출저감 시설물은 빗물의 발생원에서 빗물을 침투 저류시켜 저류된 빗물은 조경용수, 청소용수, 하천 유지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친환경 빗물관리 방식으로 침투도랑, 측구형 침투시설, 식생수로, 빗물 저류조, 투수성 블록 등의 다양한 시설물이 이에 포함된다. 현재 이와 같이 LID 시설물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시설물의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모니터링관련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ID 시설물의 유출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실증실험단지에 설치되어 있는 LID 시설물의 모니터링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강우사상에 따른 LID 시설물의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의 정확한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료의 이상치, 결측치 등을 보정하는 방안을 고려하였으며 실험실증단지에 내리는 강우의 지속시간, 총강우량, 선행강우에 따라 강우사상을 분류하여 이를 토대로 강우사상 별 LID 시설물의 유출 저감효과와 유출 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WMM LID auto-calibration tool (SWMM LID 자동 보정 tool 개발)

  • Ryu, Ji-Chul;Kang, Hyun-Woo;Choi, Jae-Wan;Kong, Dong-Soo;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39-539
    • /
    • 2012
  • 최근 미국 환경부에서는 국가 환경 정책으로써 LID(Low Impact Development)를 대안 책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LID기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LID란 기존의 집중식 BMP처럼 유출 발생 후 처리를 다루는 방식의 기법이 아닌 발생원 단계에서의 처리에 초점을 맞춘 기법이다. 환경적 측면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LID기법 적용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SWMM 모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SWMM 모형 내 유량 및 수질에 따른 자동 보정 툴이 존재하지 않고 유역에 적합한 최적의 LID 기법 구조물의 설계 기준을 정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유역의 수문 보정 및 LID 기법 적용에 따른 효과 모의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MM 5.0 버전 내 SWMM LID auto-calibration tool을 PARASOL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PARASOL 알고리즘 기반 SWMM LID auto-calibration tool을 이용하여 경기도 경안천 유역에 적용하였고 2011년 일별 실측 수문자료와 비교 분석 하였으며 경기도 경안천 유역에 맞는 최적의 LID기법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SWMM auto-calibration tool은 SWMM 모형의 유량 및 수질을 자동으로 보정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모형의 보정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유역에 적합한 최적의 LID 기법 구조물 설계를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에 향후 LID 기법을 이용한 도시개발 계획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PARASOL 알고리즘 뿐만이 아닌 GLUE, SUFI-2, GA 등 다양한 알고리즘이 추가된 SWMM LID auto-calibration tool 을 개발 중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