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tic specie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남한강 수계 양화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상 및 분포특성 (The Characteristic of Fish Fauna and Distribution by Habitat Type in the Yanghwa Stream of the Namhan River Basins)

  • 이승현;이황구;신현선;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84-891
    • /
    • 2012
  • 2008년 8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양화천의 8개 미소서식처 유형에 따른 어류상 및 군집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8과 30종 2,797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Rhodeus uyekii 등 총 10종(33.3%)으로 확인 되었으며, 우점종은 Rhodeus notatus, 아우점종은 Pseudorasbora parva였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은 댐형 웅덩이, 개방형 하도습지에서 Pseudorasbora parva, 평여울에서 Pseudogobio esocinus, 급여울에서 Zacco platypus, 샛강, 낙차형 웅덩이에서 Rhodeus notatus, 사행형 웅덩이에서 Squalidus gracilis majimae, 폐쇄형 하도습지에서 Carassius auratus가 우점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낮고,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는 높게 나타나 서식처 유형별 비교적 안정적인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사도 분석과 주성분 분석 결과 8개의 서식처 유형들이 유수역 특성이 나타나는 서식처와 정수역 특성이 나타나는 서식처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Control of runner reed (Phragmites japonicus) in lentic wetlands

  • Hong, Mun Gi;Park, Hyun Jun;Nam, Bo Eu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150-154
    • /
    • 2018
  • In lotic wetlands, runner reed (Phragmites japonicus) plays a role as a pioneer, which helps other plant species to settle by making dense roots trapping floating-sediments. In lentic wetlands, on the other hand, P. japonicus could play a role as an invader threatening biodiversity by forming tall and dense stands. To conserve an abandoned paddy terrace in mountainous areas, a habitat of an endangered dragonfly species (Nannophya pygmaea), from the monotypic-occupation by P. japonicus, we applied three kinds of treatment: (1) hand-clipping in 2009, (2) mechanical excavating in 2012, and (3) planting of alternative vegetational unit in 2012. We have monitored vegetation changes in the wetland in 2008~2012 and 2017. Vegetation cover of P. japonicus sharply decreased from 43% in 2011 to 16% in 2012 by the mechanical excavation. After 5 years from applying the treatment, Schoenoplectiella mucronata that was utilized in the planting became the predominant species instead of P. japonicus and the number of wetland plant species increased from 16 to 25 with the shift in species composition. This study showed the utility of three control methods of P. japonicas in a lentic wetland.

2차원 어류 서식처 모의를 이용한 격리된 구하도의 연결성 복원에 따른 서식지 개선 평가 (Evaluation of Habitat Improvement Using Two-Dimensional Fish Habitat Modeling after the Connectivity Restoration in an Isolated Former Channel)

  • 김석현;김다나;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2호
    • /
    • pp.137-146
    • /
    • 2015
  • 하천 본류와 구하도 사이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홍수터 생태계에서 생태적 기능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차원 평균수심 유한요소 모형인 River2D를 사용하여 만경강에서 직강화로 인해 격리된 구하도의 연결성을 가상으로 복원하고 평수기와 홍수기 조건에서 어류 서식처 변화를 평가하였다. 평가 대상 어종은 정수성 어종인 붕어 (Carassius auratus)와 유수성 어종인 피라미 (Zacco platypus)를 선정하였다. 물리서식처모의 결과에 의하면, 연결성 복원 전후의 붕어와 피라미의 가중가용면적 (weighted usable area, WUA)은 복원 후에 증가하였으며 양방향 복원이 일방향 복원보다 어류 서식처 복원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가중가용면적의 증가율은 평수기보다 홍수기에 더 높았다. 특히 피라미의 경우 홍수기에 구하도의 연결성이 양방향 복원되었을때 구하도 내의 가중가용면적이 복원 전 대비 약 4배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 만경강에서 본류와 구하도의 연결성이 복원되었을 때 정수성 어류와 유수성 어류의 서식처가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방향 복원보다 양방향 복원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원된 구하도는 홍수기 때 어류의 피난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Some aspects of the reproductive biology of Synodontis schall from a lotic freshwater in Nigeria

  • Ukpamufo Cyril Olowo;Nkonyeasua Kingsley Egun;Ijeoma Patience Oboh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256-267
    • /
    • 2023
  • The suitability of any fish species for successful aquaculture requires basic information on its reproduction and growth. This study investigated some facets of the reproductive biology of Synodontis shall (Mochokidae) from River Siluko in Nigeria. Fish samples were collected forth-nightly for a duration of fourteen (14) months-March 2015 to April, 2016 with the assistance of artisanal fishermen. Fishes were identified using taxonomic guides and standard techniques were used for determination of sex ratio, gonad maturation and fecundity. Linear regression method was used to define the correlation between fecundity and fish length, body weight and ovary weight. Results showed that sex ratio did not indicate a significant divergence (p > 0.05) from the 1 male to 1 female distribution ratio (1:1.41). Gonad morphology revealed paired gonads. Testes and ovar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maturity stages: immature, resting, ripening and ripe. Gonadosomatic index ranged from 0.04 to 5.68 (males) and 0.03 to 20.19 (females). Absolute fecundity ranged from 1,014 to 4,520 eggs (mean = 2,592 eggs) and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p > 0.05) to ovary weight.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existing data on the biology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Nigeria and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for fishery management tools i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is valuable freshwater fish species.

유기농업 논에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 (Bio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on Organic Rice Paddy Field)

  • 김종선;김도익;김선곤;강범용;고숙주;임경호;김홍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3-209
    • /
    • 2009
  •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3목 25과 32속 36종이었는데, 출현한 분류군별 양상을 보면 주로 정수역에서 출현하는 종들이 많았지만 일반적으로 유수역에서 출현하는 다슬기나 재첩, 각다귀 등도 출현하였다. 유기농법 지역에서 출현한 분류군은 3문 4강 12목 22과 27속 28종이었고, 관행농법을 하는 지역에서 출현한 분류군은 3문 5강 10목 19과 23속 25종으로 유기농법 지역에서 3종이 더 출현하였다. 출현 분류군별 특성은 크게 유의한 결과를 찾기 힘들었고, 관행농법지역에서 출현하지 않았으나 유기농법 지역에서만 출현한 종이 11종이었고, 관행농법 지역에서만 출현한 종이 8종이었다. 개체수는 두 지역간에 큰 차이가 있었는데, 관행농법 지역에서는 245개체가 출현한 반면 유기농법 지역에서 총 870개체가 출현하여 3.6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종 다양도 지수는 1차 조사에서 관행농법 지역은 1.53-2.21의 범위와 유기농법 지역은 1.57-2.45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2차 조사에서는 각각 1.90-2.74와 0.71-2.61의 범위를 나타내어 우점도와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한국산 피라미속 어류 1 신종 Zacco koreanus 기재와 갈겨니 Z. temminckii의 재기재 (A New Species of Cyprinid Fish, Zacco koreanus with Redescription of Z. temminckii (Cyprinidae) from Korea)

  • 김익수;오민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2005
  • 우리나라 영산강을 제외한 남부의 여러 하천에서 채집된 갈겨니로 알려진 표본 가운데 체측상부비늘 수가 9~10개이고, 체측 전반부가 노란색을 띠고, 동공상단에 붉은색 반점이 없으며, 가슴지느러미 앞쪽 가장자리는 붉은색을 띤 104개의 개체들은 전형적인 갈겨니 Zacco temminckii와 잘 구별되어, 신종 Zacco koreanus로 기재하고 새로운 국명을 "참갈겨니"로 지칭하여 갈겨니 Z. temminckii와 비교하였다. 갈겨니는 영산강, 동진강, 섬진강, 탐진강, 낙동강의 우리나라 남부에서만 분포하지만, 참갈겨니는 영산강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천에 분포한다. 이 두 종이 혼서하는 수역에서는 갈겨니는 주로 정수역에 서식하지만 참갈겨니는 비교적 빠른 유수역을 선호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피라미속 어류의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잉어과 (Cyprinidae) 어류의 인상 Cyprinidae의 특성에 대하여 (THE PHASE OF SCALES IN CYPRINID FISHES A Study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prininae Fish Scales)

  • 양홍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6-74
    • /
    • 1971
  • The gene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ales on the body surface in Cyprininae fish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ntic and lotic habitats have no relation to the phase of scales. 2) The scales in the anterior body parts have transverse diameters longer than their longi-tudinal diameters: in the posterior body parts, the opposite holds true. 3) The scales having the largest diameters, bo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are the lateral line scales. 4) The position of the focus on each scale move posteriorly as the scale grows. In other words, the forward growth of the scales exceeds the backward. 5) The number of ridges in each scale is in proportion to longitudinal diameter. 6) In Cyprinus, the scales on the middle part of the body surface have more grooves than those on the other parts. All scales on this species commonly show incompleted grooves on the anterior and posterior areas, but the lateral area lacks grooves entirely. 7) In Carassius, there are more completed grooves than incompleted grooves. All grooves are arranged in radial patterns on the scales.

  • PDF

진도의 담수산 물벼룩류와 요각류의 출현특성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윤성명;장천영;김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39-64
    • /
    • 1995
  • 진도의 담수산 물벼룩류 및 요각류의 종류상, 서식처별 종조성, 물벼룩류와 요각류의 출현특성 및 상관출현성 등을 조사하기 위해 , 1994년 7월 23-25일과 11월 1-3의 두차례에 걸쳐 저수지, 하천, 습지, 논 , 농수로 , 연못 , 샘 등 다양한 담수 서식처 35개 지소에서 물벼룩류와 요각류을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5종의 미동정종을 포함한 2목 6과 17속 27종의 물벼룩류와 3종의 미동정종을 포함한 3목 6과 21 속 28종의 요각류가 본 조사기간 동안 출현하였는데 , 이 가운데 물벼룩류 Daphnia obtusa Kurz 와 요각류 Elaphoidella bidens (Schmeil)는 한국미기록종이다. 정수역의 저수지에서는 7월에 물벼룩류 Diaphanosoma sp. 와 요각류인 온난검물벼룩(Thermocyclops taihokuensis)이 , 11월에는 긴뿔물벼룩(Bosmina longirostris)과 참검물벼룩(Cyclops vicinus vicinus)이 각각 우점하였고 , 저수지의 가장자리 부식질이 많은 곳과 웅덩이에서는 긴눈시모물벼룩(Simocephalus vetulus)과 사각배큰씨물벼룩(Alona rectangula), 둥근씨물벼룩(Chydorus sphaericus)등의 물벼룩류와 톱니꼬리검물벼룩(Eucyclops serrulatus)을 비롯한 꼬마검물벼룩(Microcyclops varicans), 갈고리보통검물벼룩(Mescocylops pepheiensis)등의 요각류가 출현하였다. 7월에서 11월로 가면서 Diaphanosoma sp. 와 온난검물벼룩(T.taihokuensis)의 개체수는 격감하였고 대신 긴뿔물벼룩과 유리온난검물벼룩(T.crassus)의 개체수와 출현비도는 증가하였다. 연못에서는 7월에 온난검물벼룩, 11월에는 시궁모이나물벼룩(Miina weismanni)이 우점하였다. 논에서는 모이나물벼룩(Moina macrocopa) 과 온난검물벼룩(T.taihokuensis)이 우점하였다. 유수역의 계류 및 샘에서는 물벼룩류 Alona sp.와 하르팍티쿠스류 두마디털보장수노벌레(Attehyella byblis) , 네가시털보장수노벌레(A.tetraspinosa) 등이 출현하였다. 하천에서는 물벼룩류의 출현빈도가 낮았으며, 7월에 비해 11월에 물벼룩 출현종들이 다양한 편이었는데, 부유성 종에서는 긴뿔물벼룩과 저서성 종에서는 둥근씨물벼룩이 가장 흔한 종이었다. 욕가류는 하부의 하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하천의 조사지점에서 거의 같은 종조성을 나타냈는데 , 톱니꼬리검물벼룩(e.serrulatus)과 갈고리보통검물벼룩(M.phieiensis)이 가장 흔하고 개체수가 많은 종이었다. 물벼룩류와 요각류의 상관출현성에서는 , 정수역의 경우 물벼룩류 Diaphanosoma sp. 와 온난검물벼룩의 2 종, 긴뿔물벼룩, 둥근씨물벼룩, 사각배튼씨물벼룩 및 톱니꼬리검물벼룩의 4종, 짧은배씨물벼욱(Disparalona rostrata)과 유리온난 검물벼룩, 꼬마검물벼욱, 갈고리보통검물벼룩의 4종, 시모긴눈물벼욱, 시궁모이나 물벼룩, 긴뿔물벼룩붙이(Bosminopsis detersi) , 줄무늬큰씨물벼욱 (Alona costata)과 마루딱정장수노벌레(Canthocamptus carinatus) 및 참검물벼욱의 6종등이 각각 종의 출현에서 다른 종들에 비해 서로 깊은 상관성이 잇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수역에서는 긴눈시모물벼룩과 갈고리보통검물벼룩의 2종, 시궁모이나물벼룩과 긴뿔물벼룩, 긴뿔물벼룩붙이와 마루딱정장수노벌레의 4종등이 각각 시기나 장소에 따른 종의 출현성에서 다른 종들에 비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incidence of abnormalities in the fire-bellied toad, Bombina orientalis, in relation to nearby human activity

  • Kang, Changku;Shin, Yujin;Kim, Ye Eun;Moon, Jongyeol;Kang, Jae Yeon;Jang, Yikwe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11-16
    • /
    • 2016
  • Declines in amphibian populations are occurring worldwide, and have been attributed to many factors, including anthropogenic environmental changes. One of the ramifications of such declines is abnormalities in many amphibian species. A strong association has been detected between human activities and abnormalities in amphibian populations, but studies on this association are largely focused on lentic species.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whether the degree of local human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the rate of abnormalities in Bombina orientalis which inhabited lotic environments. We found that the proportions of abnormalities in wild populations of B. orientalis increased, when i) the closest human land use was located within 100 m from the frogs' habitat, and ii) the proportion of human land use within a 300-m radius was high. Our findings suggest that human activit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fitness of nearby amphibian populations, and that wild populations very close to human-induced disturbance are affected.

한강하류에 있어서 부유성 조류군집의 구조 및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In Planktonic Algal Communities Of The Han River)

  • 심재형;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1-41
    • /
    • 1978
  • 일부 선정된 조류의 생리와 많은 종의 출현에 대한 연구문헌은 상당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환경의 요구조건이나 생명활동의 필수조건이라는 점에서는 대부분의 조류에 대한 이해가 아직은 부족한 상태에 있다. 이는 첫째 일반으로 실험실에서의 배양연구가 종간의 상호작용과 천이등 복잡한 자연현상이 결여된 단순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 경우 생물의 상호작용, 천이 및 기타 복잡한 자연현상이 결핍되고 둘째로 대부분의 현지관측이 macro-environment에 한정되고 생태형(ecophen)을 무시한채 종을 기록하기 때문이다. 일부 종에 대한 생리적 생태에 대한 한정된 지식으로는 미소생물군집의 성인과 기능적 성질에 대한 복잡한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적절치 못하다. 그러므로 생태계에 중요한 모든 종에 대한 하천환경을 이해하기 위해서 오염 같은 환경 stress가 자연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는 것은 합리적인 방법이다.(Patrick, 196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