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itudinal studies

검색결과 933건 처리시간 0.027초

Warping and porosity effects on the mechanical response of FG-Beams on non-homogeneous foundations via a Quasi-3D HSDT

  • Mokhtar Nebab;Hassen Ait Atmane;Riadh Bennai;Mouloud Dahmane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90권1호
    • /
    • pp.83-96
    • /
    • 2024
  • This paper suggests an analytica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free vibration and stability of functionally graded (FG) beams with both perfect and imperfect characteristics using a quasi-3D higher-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HSDT) with stretching effect. The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FG beams resting on variable elastic foundations. In contrast to other shear deformation theories, this particular theory employs only four unknown functions instead of five. Moreover, this theory satisfies the boundary conditions of zero tension on the beam surfaces and facilitates hyperbolic distributions of transverse shear stresses without the necessity of shear correction factors. The elastic medium in consideration assumes the presence of two parameters, specifically Winkler-Pasternak foundations. The Winkler parameter exhibits variable varia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ing linear, parabolic, sinusoidal, cosine, exponential, and uniform, while the Pasternak parameter remains constant. The effectiv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ly graded (FG) beam are assumed to follow a straightforward power-law distribution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dditionally, the investigation of porosity includes the consideration of four different types of porosity distribution patterns, allowing fo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its influence on the behavior of the beam. Using the virtual work principle, equations of motion are derived and solved analytically using Navier's method for simply supported FG beams. The accuracy is verified through comparisons with literature results. Parametric studies explore the impact of different parameters on free vibration and buckling behavior, demonstrating the theory's correctness and simplicity.

Overcoming the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Radiology: A Comprehensive Review of Solutions Beyond Supervised Learning

  • Gil-Sun Hong;Miso Jang;Sunggu Kyung;Kyungjin Cho;Jiheon Jeong;Grace Yoojin Lee;Keewon Shin;Ki Duk Kim;Seung Min Ryu;Joon Beom Seo;Sang Min Lee;Namkug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1호
    • /
    • pp.1061-1080
    • /
    • 2023
  •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radiology is a rapidly developing field with several prospective clinical studies demonstrating its benefits in clinical practice. In 2022,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held a forum to discuss the challenges and drawbacks in AI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Various barriers hinder the successful application and widespread adoption of AI in radiology, such as limited annotated data, data privacy and security, data heterogeneity, imbalanced data, model interpretability, overfitting, and integration with clinical workflows. In this review, some of the various possible solutions to these challenge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these include training with longitudinal and multimodal datasets, dense training with multitask learning and multimodal learning, self-supervised contrastive learning, various image modifications and syntheses using generative models, explainable AI, causal learning, federated learning with large data models, and digital twins.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Paralecithodendrium longiforme (Digenea: Lecithodendriidae) adults and cercariae from Chinese pipistrelle bats and viviparid snails in Thailand

  • Thitichai Arttra;Pheravut Wongsawad;Chalobol Wongsawad;Nattawadee Nantarat;Preeyaporn Butboonchoo;Jong-Yil Cha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2권1호
    • /
    • pp.85-97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Paralecithodendrium longiforme (Digenea: Lecithodendriidae) adults and cercariae isolated in Thailand. Adult flukes were isolated from the Chinese pipistrelle bat (Hypsugo sp.), and cercariae were detected in the viviparid snail (Filopaludina martensi martensi) from Chiang Mai provinc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nd described using conventional methods, and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with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and 28S rDNA gene sequences. The adult flukes were fusiform, 0.84-0.98 mm in length, and 0.37-0.49 mm in width, and were distinguishable from other species by the presence of longitudinal uterine coils. The cercariae were nonvirgulate xiphidiocercariae, with the oral sucker bigger than the acetabulum, the tail without fin fold, a body size of 117.5-138.3×48.3-52.2 ㎛, and a tail size of 100.7-103.7×15.0-18.9 ㎛. Molecular studies revealed that the adults and cercariae shared 99.3% (ITS2) and 99.6% (28S rDNA) homology with each other. They were phylogenetically close to P. longiforme with an identity of 94.5% for ITS2 and 98.7% for 28S rDNA. This study provides new information on the natural definitive host and first intermediate host of P. longiforme in Thailand. The discovery of its cercarial stage in Filopaludina snail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the associated second intermediate host and prevention and control of this potentially zoonotic trematode.

정신과적 투약력이 없는 초발 주요 우울장애 청소년 환아들에서의 백질 구조적 연결성 감소 (Decreased White Matter Structural Connectivity in Psychotropic Drug-Naïve Adolescent Patients with First Onset Major Depressive Disorder)

  • 서은수;김지현;서상일;박소영;이전호;이종하;김인성;이문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53-165
    • /
    • 2017
  • 연구목적 최근의 신경영상 연구들은 주요 우울장애의 기전을 인지 회로와 감정 회로 연결의 기능장애 즉, 후외방 전두피질과 전전두엽을 번연계로 연결하는 전측대상피질의 연결성 장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소아청소년 주요 우울장애에서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e, DTI)을 사용한 종전의 연구들은 양측 구상회속, 양측 하측 전두후두속, 좌측 전측대상피질, 좌측 상종속 등에서 신경연결의 감소를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정신과적 투약력이 없는 초발 주요 우울장애 청소년에서의 신경 연결성을 DTI를 이용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방 법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을 내원한 청소년 환아들 중 정신과적 투약력이 없으며 주요 우울장애를 처음으로 진단받은 환아들(n=26, 남성 10명, 여성 16명) 및 대조군(n=27, 남성 5명, 여성 22명)을 모집하였다. 정신과적 면담, 지능지수, 해밀턴 우울척도를 포함한 심리검사, 확산강조영상을 포함한 MRI 검사가 항우울제 투약 전에 시행되었다. Fractional anisotropy(FA), radial diffusivity, mean diffusivity, axial diffusivity가 DTI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FMRIB Software Library-Tract Based Spatial Statistic가 사용되었다. 결 과 전체 뇌의 분석에서는 유의한 구조적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관심영역을 지정하여 시행한 분석을 하였을 때, 환아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측 상종속 부위에 유의미한 FA값의 감소를 보인 3개의 다발이 관찰되었다. 결 론 주요 우울장애를 진단받은 청소년 환아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DTI에 기반하여 우측의 상종속에 연결성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DTI를 통한 구조적 연결성은 정신과적 투약력이 없는 초발 주요 우울장애 청소년에서도 생체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국에서 올빼미 번식기 추적 조사 및 서식지 연구-첫 추적조사 사례 (Longitudinal Survey of Strix aluco During Breeding Season and Their Habitat in Korea -The First Reported Case Study)

  • 김우열;최원석;박종철;성하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67-10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올빼미의 실질적인 행동권 파악을 통해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올빼미 개체군을 보호하고 보전하며 관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2016년 4월 14일~5월 20일까지 번식기 육추시기에 약 한달 간 진행했다. 그 결과 경북 일대에서 전장(Total Length) 423.5mm와 무게 550g의 암컷 1개체를 포획하였고 우리나라 최초로 추적에 성공했으며 직접관찰과 위성추적 관찰 좌표 6지점을 획득 하였다. 가장 먼 지점의 거리는 둥지로부터 93m의 이격 거리였다. 그리고 육추시기에 약 100m 반경에 대한 서식지 분석결과 밭 34.2%, 혼효림 30.6%, 과수원 10.5%, 자연초지 9.4% 순의로 토지피복도 우점 순위가 나타났다. 이는 이전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한 결과로 향후 수컷 또는 다른 개체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바탕으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보호와 보전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을 기대한다.

경주 감포지역 해안단구의 지형면분석을 위한 GIS의 적용 (GIS Application for the Analysis of Geomorphic Surfaces of Marine Terrace at Gampo, Gyeongju City)

  • 황상일;정혜경;윤순옥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8-60
    • /
    • 2000
  • 1:5,000 수치지형도를 GIS로 처리하여 해안단구가 모식적으로 분포하는 경북 경주시 감포읍 일대의 지형면 분포특색을 조사하고, 지형면을 추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안단구 지형연구에 GIS tool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12 지점에서의 해안단구 종단면에 대하여 종단면분석을 행하여 한국 남부 해안에서는 보고된 바 없는 해발고도 100m 이상인 고고위면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측으로 얻은 지형면 분포가능범위인 평균경사도 $1{\sim}5^{\circ}$를 해발고도 4~87m에 대입하여, 경사도분석으로 각 단구면의 면적비를 추출하여 해안단구 저위 I 면이 해안단구 연구의 기준면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GIS를 이용함으로서 최소한의 노력으로 해안단구면의 분포가능지역을 탐색해 볼 수 있으나, 상세한 실제측량을 통해 각 지형면의 자료가 제공되어야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지형분석결과를 계량화하여 주므로 객관적인 분석의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현지조사가 어려운 지역에 대한 자료를 획득할 수 있고, 지형면의 기복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용성이 있으나, 분석의 정확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보다 대축척화된 지형도와 수치지형도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PDF

Risk Stratification for Serosal Invasion Using Preoperative Predictors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 Park, Sung-Sil;Min, Jae-Seok;Lee, Kyu-Jae;Jin, Sung-Ho;Park, Sunhoo;Bang, Ho-Yoon;Yu, Hwang-Jong;Lee, Jong-In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2권3호
    • /
    • pp.149-155
    • /
    • 2012
  • Purpose: Although serosal invasion is a critical predisposing factor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the accuracy of preoperative assessment using routine imaging studies is unsatisfacto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igh-risk group for serosal invasion using preoperative factors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3,529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Borrmann type I/II/III who underwent gastrectomy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between 1991 and 2005. We stratified patients into low-(${\leq}40%$), intermediate-(40~70%), and high-risk (>70%) groups,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of serosal invasion. Results: Borrmann type, size, longitudinal and circumferential location, and histology of tumor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erosal invasion. Most tumors of whole stomach location or encircling type had serosal invasion, so they belonged to high-risk group. Patients were subdivided into 12 subgroups in combination of Borrmann type, size, and histology. A subgroup with Borrmann type II, large size (${\geq}7$ cm), and undifferentiated histology and 2 subgroups with Borrmann type III, large size, and regardless of histology belonged to high-risk group and corresponded to 25% of eligible patients. Conclusions: This study have documented high-risk group for serosal invasion using preoperative predictors. And risk stratification for serosal invasion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imaging studies may collaboratively improve the accuracy of preoperative assessment, reduce the number of eligible patients for further staging laparoscopy, and optimize therapeutic strategy for each individual patient prior to surgery.

3-11세 아동의 두개 및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SEMI-LONGITUDINAL STUDY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SOFT TISSUE OF CHILDREN AGED FROM 3 TO 11)

  • 박영철;최광철;한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1-904
    • /
    • 1997
  • 현대 교정의 치료 목표는 기능 교합과 안모의 심미성에 있다고 하겠으나 이중 심미적 외모에 대한 중요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조직과 연조직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전의 연구는 주로 두부방사선적 연구를 통한 골격적 분석에 치중하여 왔다. 하지만 안모의 심미성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악안면 연조직은 하부경조직의 영향을 받지만 긴밀한 연관 관계를 구하기는 어렵다는 연구들이 근래에 보고되었다. 이에 본 저자는 성장기 한국인 3-11세 아동 중에 전신 질환이 없고 발육 상태가 양호하며 교합 상태가 정상인 남자 137명과 여자 106명을 대상으로 만 2년간 두부 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연조직의 분석을 facial form, lip position & posture, Nose, Thickness의 4 부분으로 나누어 성장과의 관계를 연구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Facial Form Facial convexity가 남자 아동에 있어서 약간의 증가량을 보였는데 이는 A-Sn의 증가율이 남자 아동에서 큰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또한 안면 하방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방 구조보다 더 많은 성장이 일어났다. 2. Lip position and posture Nasolabial angle은 연령에 따라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 평균값은 남자 93.11, 여자 97.56으로 서양인의 102보다는 예각을 보였으며 Esthetic line에 대한 돌출도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었다.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입술의 돌출도가 더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심미적 이유로 발치를 고려할 때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상악 전치의 노출도는 남녀 공히 2-3mm의 값을 보였다. 3. Nose 비저의 절대적 길이는 성장에 따라 증가하는데 비해 Sn-N'-Pn은 연령 증가의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코의 성장이 전하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4. Thickness A-Sn의 길이는 남녀 아동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중 남자 아동에 있어서 변화폭이 컸다. 상순 후경과 하순 후경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Pogonion의 연조직 두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 PDF

카드뮴중독(中毒) 가토(家兎)의 동정맥(動靜脈)에 관하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Vascular Smooth Muscle of $Cd^{2+}$-poisoned Rabbits)

  • 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5권1_2호
    • /
    • pp.29-37
    • /
    • 1979
  • Cd 중독(中毒)으로 가토(家兎)에 고혈압(高血壓)을 일으키고 이를 중독(中毒) 가토(家兎)와 대조(對照) 비중독(非中毒) 가토(家兎)의 간문맥(肝門脈), 흉부(胸部) 대정맥(大動脈) 및 폐정맥(肺動脈)을 적출하여 in vitro에서 장력(張力)-길이의 관계를 관찰하고 NE, $K^+$-depolariration 및 angiotensin의 수축(收縮)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였다. 1. 비중독(非中毒) 대조군의 평균 동맥압은 $87.0{\pm}4.7mmHg$이었고 Cd 중독군(中毒群)에서는 $109.0{\pm}2.8mmHg$로 Cd 중독(中毒)에 의하여 의의(意義)있는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 2. 동(動) 정맥(靜脈)의 장력(張力)-길이 곡선(曲線)에서 Cd 중독(中毒) 가토의 간문맥(肝門脈)은 passive tension의 증가에 따라 distensibility가 현저히 증가되나 대동맥(大動脈)에 있어서는 오히려 대조군에 비(比)하여 유의(有意)한 감소(減少)를 나타내었고 폐동맥(肺動脈)은 아무런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3. Passive tension의 증가에 따른 active tension의 변화(變化)는 대동맥(大動脈)에 있어서는 Cd중독으로 현저히 감약되었으나 간문맥(肝門脈)이나 폐동맥(肺動脈)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差異)가 없었다. 4. Cd 중독군(中毒群)이나 비중독(非中毒) 대조군에서 passive tension의 변동에 따른 수축결과(收縮效果)는 세 혈관에서 모두 유의(有意)한 차이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5. 대동맥(大動脈) 절편에 대한 angiotensin의 수축(收縮) 효과(效果)는 Cd 중독군(中毒群)에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 PDF

한국 사춘기 소녀들의 골밀도와 환경요인들과의 관계(II)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Korean Pubescent Girls)

  • 최미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1
    • /
    • 1995
  • Bone mass accretion during puberty appears to be critical in the development of peak bone mass. Although bone density of females in Korea has been studied, only a few studies have related bone mass with anthropometric patterns or puberty in the pubescent girl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a study of major determinants of bone development during puberty. Subjects were aged 14∼16 yr(mean 14.97), and had no history of disorders or dedication use likely to influence bone or calcium metabolism. Bone mineral density and content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using a Lunar DPX+Scanner (Lunar Madison, WI). Also, total body fat, and total lean body mass were assessed using a Lunar DPX dual-energy X-ray absorptiometer, Pubertal status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Marshall and Tanner guidelines. Serum levels of osteocalcin was measured by RIA using a commercial kit assay. Skinfold measurements were taken with a skinfold caliper(Lange Caliper, USA).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gression and GLM procedure of the statistical package SA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bserved means for lumbar spine BMD and femoral BMD correspond to approximately 91% and 96% of the means for young adult females, respec tively. All subjects were menarchal, with the majority being in the middle to end stages of pubertal development. Total body BMD was positively related to fat mass(P<0.001), lean body mass and time since menarche, and negatively related to urine pyridinolin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nd osteocalcin. The data indicate that girls who reported lower age for menarche had significantly higher bone densities than girls who reported higher age for menarche. Attaining peak skeletal bone mass during puberty may reduce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in later life. this finding suggests that early menarche may augment peak bone mass, influencing the extent of bone loss later in adulthood. The results suggest that good nutrition in childhood appears to be needed not for growth and development, but possibly also to assure an optimal peak of bone mass and thus greater latitude for the maintenance or skeletal integrity in the face of bone losses. Troeps skinfold thickness was a better predictor of total BMD and total BMC than was any other skinfold thickness. The study did not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otal BMD and body fat %, but total fa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total BMD(r=0.49) and total BMC(r=0.60). It supports earlier repor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BMD and body weight. Conclusively, total fat, lean body mass and pubertal development could influence BMD in pubescent girls. Clearly, longitudinal studies are required to assess the effect of puberty on peak bone mass, and to define further the potential determinants of peak bone ma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