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itudinal muscle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7초

연령증가에 따른 여성의 대퇴사두근과 슬괵근 근력의 변화 (Changes of Quadriceps and Hamstring Strength Ratio in Women of Different Ages)

  • 박미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5-8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sokinetic moment of quadriceps and hamstring strength ratio among women of different age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184 women referred to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the S district. All subjects were aged 20 to 69 years old and divided into 5 groups; 20s (n=248), 30s (n=255), 40s (n=248), 50s (n=228), and 60s (n=205). Th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and flexor, quadriceps, and hamstring of all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at 60 degrees/second with an isokinetic machine. We calculated the peak torque, peak torque %BW (%Body Weight), deficit of peak torque and hamstring/quadriceps ratio of the knee.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 way ANOVA to investigate statistical differences in strength variation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and were computed by ${\Delta}%$ difference from women in their 20'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Peak torque of the knee extensor, quadrice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women older than 30, but peak torque of the knee flexor, hamstring,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women older than 50 compared to women in their 20's. (p<.05). 2. Peak torque %BW of the knee extensor, quadrice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women older than 20, but peak torque %BW of knee flexor, hamstring,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women older than 40 compared to women in their 30's (p<.05). 3. Compared to the women in their 20'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ny of the age groups in the deficit of peak torque of the knee extensor and flexor, but the deficit of peak torque of knee extensor among women between 30 and 50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normal range of deficit. 4. Compared to the women in their 20'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ny of the age groups in the hamstring/quadriceps ratio These results showed that peak torque, peak torque %BW, deficit of peak torque, and hamstring/quadriceps ratio of the knee were reduced in each age group, but especially among the women over 50. Further longitudinal study may be needed to see if volume of muscle mass and intervention of exercise affect knee strength in spite of aging.

  • PDF

고지방식이에 의한 흰쥐의 시상하부 Neuropeptide Y-면역반응 신경세포와 장내 Cajal 세포의 변화 (Changes in Neuropeptide Y-Immunoreactive Cells in the Hypothalamus and Cajal Interstitial Cells in the Small Intestine of Rats with High-Fat Diet)

  • 문지영;문경래;박상기;정윤영;김은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2호
    • /
    • pp.171-180
    • /
    • 2011
  • 목 적: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식이 유발인자인 NPY와 장내 운동 조절인자인 Cajal 간질세포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일 연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임의로 대조군(7마리)과 고지방식이군(7마리)으로 분리한 후, 대조군에는 일반 흰쥐 사료를 충분히 섭취시켰으며, 고지방식이군에게는 60% kcal 지방이 포함된 사료(중앙실험동물센터)를 6주 동안 물과 함께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였다. 6주 후 시상하부 조직 절편에 rabbit polyclonal NPY (1 : 1000, Abcam)항체를 반응시키고, 소장의 조직 절편에 rabbit polyclonal c-kit (1 : 400, Neuromics)항체를 반응시켜서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고지방식이군의 시상하부에서 NPY의 면역 반응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PVN에서 NPY의 면역 반응 세포수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고지방식이군에서 소장의 Auerbach's plexus 부위의 Cajal 간질 세포의 면역 반응성이 떨어졌으며, 환상근과 종주근 내 Cajal 간질 세포 수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결 론: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시상하부 NPY 면역반응 신경세포수와 발현의 증가는 NPY의 저항성과 관련되며, 소장에서 Cajal 간질 세포의 감소는 장운동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사춘기 여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발육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By Obesity Level of Adolescent Girls)

  • 김영복;김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8-102
    • /
    • 1992
  • The exact estimation of physical growth by Obesity level has important meaning to the health care and evaluation on adolescent girls. So this study tried to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nd body fat by using data for the height, weight of 124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high school student in Seoul. Then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physical growth pattern and various characteristics by Obesity level by using longitudinal for the height, weight of 1113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t also tried to show what influencing factors on the physical growth of this aged population.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nd body fat(%) has 0.81475(r) at age 9 and 0.69361(r) at age 18.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nd lean body muscle(LBM %) has -0.81470(r) at age 9 and -0.64729(r) at age 18. 2. The weakness, normal and obesity groups were classified by Obesity level. In case of weakness group showed the very low Obesity level at age 8 to 11, in case of obesity group showed the high Obesity level at age 15 to 18. Also Rohrer index was decreasing tendency up to age 12 in weakness group and increasing tendency over age 14 in obesity group. 3. When the height and weight growth pattern was compared, height growth was superior to weight growth at age 9 to 14.5 in normal group. But weight growth was inferior to height growth at age 9 to 14.5 in normal group. In obesity group, weight growth was superior to height growth at age 7 to 18.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growth of weakness group was superior to the normal group and the obesity group except age 11 to 12. 4. On height velocity curve by PHV age obesity group showed the most growth amount per year(9.00Cm/yr), and the next is normal group(8.77Cm/yr), weakness group(8.70Cm/yr). Then the difference between PHV age and PWV age was within 1 year in these three groups. 5. In these three groups, height velocity curve by menarcheal age showed the PHV before 2~3 years of menarcheal age. And weight velocity curve by menarcheal age showed the remarkable PWV before 1 year of menarcheal age.

  • PDF

은대구, Anoplopoma fimbria 소화기관의 형태 및 조직학적 특징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Organ in the Sablefish, Anoplopoma fimbria (Teleostei: Anoplopomatidae))

  • 김수지;강주찬;이정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7
    • /
    • 2016
  • 은대구의 소화관 상대길이 비는 1.52 (n=12)이며, 소화관은 위의 후방부에 5~6개의 유문수를 가진다. 점막주름의 형태는 식도와 위에서는 미분지형이지만 장에서는 분지형이다. 횡단면에서 소화관은 조직학적으로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및 장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식도의 점막상피층은 단층이며, 원주섬모상피세포들과 점액세포들로 구성된다. 위 점막층의 위선은 관상선으로 주세포, 벽세포 및 뮤신분비세포들로 구성된다. 뮤신분비세포는 원주형으로 AB-PAS (pH 2.5) 반응에서 분홍색과 푸른색을 나타내는 분비과립을 가진다. 장의 점막상피층은 단층이며, 원주섬모상피세포들과 배상세포들로 구성된다. 점막하층은 소성결합조직층으로 주로 교원섬유들로 구성되며, 식도에서 잘 발달되어 있다. 소화관의 근육층은 종주근층과 환상근층으로 구분되며, 위에서 잘 발달되어 있다. 간은 다수의 소엽구조와 담관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H-E 염색에서 간세포의 세포질은 호산성이며, 핵과 인은 호염기성을 보였다. 췌장조직은 소화관 주변의 지방조직에 산재하며, 다수의 외분비세포들로 구성된 포상선이었다. H-E 염색에서 외분비선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을 나타내며, 다수의 호산성 전효소 과립들을 함유한다.

치아 교환시기중 전치부 각화치은의 폭경변화에 관한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WIDTH CHANGE OF ANTERIOR KERATINIZED GINGIVA DURING TRANSITIONAL PERIOD)

  • 김기홍;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15-25
    • /
    • 1994
  • Keratinized ginigva has clinical singificance in periodontal health because it plays important roles in resistance to mechanical trauma, to penetration of bacteria, and to tensional stress by muscle attach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idth change of anterior keratinized gingvial during transitional period, the width of kerainized gingiva on anterior teeth was measured annuall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eciduous dentition until the successive anterior teeth were completely erupted. The distance from the gingival margin on mid-portion of crown to mucogingival junction was measured by Boley gauge(Hu-Friedy, U.S.A.) and was recorded as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The difference of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according to sex and dentition was analyzed statistically by Student t-test.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deciduous dentition, it was shown that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on maxillary central incisors($3.28{\pm}0.83mm$) was the widest(p<0.01), and that on maxillary lateral incisors, mandibular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2.69{\pm}0.86mm$, $2.51{\pm}0.71mm$, $2.43{\pm}0.68mm$, respectively. 2. In mixed dentition, it was shown that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on maxillary central incisors ($5.10{\pm}0.86$) was the widest(p<0.01), and that on maxillary lateral incisors, mandibular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4.35{\pm}0.83mm$, $3.51{\pm}0.60mm$, $3.57{\pm}0.66mm$, respectively. 3. The width of anterior keratinized gingiv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successive anterior teeth were completely erupted(p<0.001).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on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and mandibular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increased by $1.82{\pm}0.83mm$, $1.65{\pm}0.69mm$, $0.99{\pm}0.39mm$, and $1.14{\pm}0.98mm$, respectively. 4.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of the width of anterior keratinized gingiva between male and female(p>0.05).

  • PDF

조직 기반 계층적 non-rigid 정합: Visible Human 컬러 단면 영상과 CT 다리 영상에 적용 (Hierarchical Non-Rigid Registration by Bodily Tissue-based Segmentation : Application to the Visible Human Cross-sectional Color Images and CT Legs Images)

  • 김계현;이호;김동성;강흥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9-266
    • /
    • 2003
  • 해부학적 구조의 변형이 존재하는 두 영상을 정합하기 위하여 연구되는 non-rigid 정합 방법은 환자간의 정합 환자와 표준영상간의 정합, 동일환자에서 변형을 갖는 부위의 정합 등 이용한 진단 및 연구에 사용되어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형태와 색상 특성이 다른 Visible Human 컬러 영상파 CT 영상의 다리 부위를 정합하기 위하여 해부 영상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뼈, 근육, 지방 조직을 분할하고 분할된 각 조직의 경계 단위를 계층적인 정합을 하는 조직 기반 성합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조직 기반의 정합은 색상 특성이 두드러지게 변하는 경계 부위를 정확히 정합하므로 기존의 특징점을 이용한 정합 방법에 비하여 강력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음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계층적인 정합은 분할된 조직의 바운딩 박스(bounding box) 정합. 전역 Rigid 정합과 지역 non-rigid 정합, 정합 보간(interpolation)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효율적인 계산 시간을 제공하였다.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BPC-157 on the incisional pain model in rats

  • Jung, Young-Hoon;Kim, Haekyu;Kim, Hyaejin;Kim, Eunsoo;Baik, Jiseok;Kang, Hyunjong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2호
    • /
    • pp.97-105
    • /
    • 2022
  • Background: The pentadecapeptide BPC-157 has been sh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wound healing effects on multiple target tissues and organs. Peptides have potent anti-inflammatory effects on periodontal tissues in rats with periodontiti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PC-157 on pain after dental procedures or oral surger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BPC-157 on postoperative incisional pain in rats.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control (saline with the same volume), BPC10 (10 ㎍/kg of BPC-157), BPC20 (20 ㎍/kg of BPC-157), BPC40 (40 ㎍/kg of BPC-157), and morphine (5 mg/kg of morphine). A 1-cm longitudinal incision was made through the skin, fascia, and muscle of the plantar aspect of the hind paw in isoflurane-anesthetised rats. Withdrawal responses were measured using von Frey filaments at 0, 2, 6 h and 4, 7 d after incision. The formalin test was also performed to differentiate its anti-nociceptive effect from an inflammatory reaction or central sensitization. Pain behavior was quantified periodically in phases 1 and 2 by counting the number of flinches in the ipsilateral paw after injection with 30 µL of 5% formalin. Results: The threshold of mechanical allodyni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PC10, BPC20, BPC40 and morphine groups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at 2 h. These increasing thresholds then returned to the levels of the control group. The BPC-157 group showed a much higher threshold at 4 days after incis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 thresholds of the BPC groups, except the morphine group, were normalized 7 days after incision. The flinching numbers of the BPC10, BPC20, BPC40 and morphine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hase 1, but there was no decrease in the BPC-157 groups except the morphine group in phase 2. Conclusions: BPC-157 was effective only for a short period after incision. It was also effective during phase 1 but not during phase 2, as determined by the formalin test. BPC-157 might have a short antinociceptive effect, even though it has anti-inflammatory and wound healing effects.

Oxytocin의 자궁수축작용에 미치는 Diazepam의 영향 (Effect of Diazepam on the Oxytocin Induced Contraction of the Isolated Rat Uterus)

  • 박윤기;이승호;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59-381
    • /
    • 1992
  • Benzodiazepine계 약물들은 진정 최면제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중추신경계에서의 그 작용은 gamma amino butyric acid(GABA) 수용체와 짝지워져 있는 benzodiazepine 수용체를 통해서 나타나며 또한 뇌에 있는 synaptosome에서 전위 의존성 calcium channel을 통한 calcium의 섭취를 억제함으로써 진정작용 및 최면 작용이 나타난다. 이와 아울러 말초 장기에서도 benzodiazepine 수용체와 GABA 수용체가 발견 되었는데 이들의 기능과 상호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benzodiazepine계통의 대표적인 약물이며 중추신경과 말초 장기에 동시에 작용하는 diazepam이 흰쥐 적출자궁의 자발 수축 및 oxytocin 유발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고, 이러한 diazepam의 효과와 GABA 수용체 및 calcium과의 상호관계를 검색함으로써 그 작용기전을 추구해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난소를 제거한 후 estrogen(17 beta-estradiol : $500{\mu}g/kg/day$)을 4일 동안 전 처치한 흰쥐의 자궁을 적출하여 등척성 장력을 측정함으로써 그 수축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Diazepam과 GABA 수용체 효현제 및 그 봉쇄제들이 자궁절편의 자발 수축과 oxytocin 유발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고, 또 이들 약물의 작용에 관련된 calcium 동원기전에 대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iazepam은 흰쥐 적출자궁의 자발수축 및 oxytocin 유발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GABA, GABA A 수용체 효현제인 muscimol, GAGA A 수용체의 상경적 봉쇄제인 bicuculline, GABA A 수용체의 비상경적 봉쇄제인 picrotoxin, GABA B 수용체 효현제인 boclofen, 그리고 GABA B 수용체 봉쇄제인 delta-aminovaleric acid는 흰쥐 적출 자궁의 자발 수축 및 oxytocin 유발수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자발 수축 및 oxytocin 유발수축에 대한 diazepam의 억제 작용은 GABA 수용체 효현제 및 봉쇄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bicuculline은 diazepam의 억제 작용에 상가적으로 작용하였는데, bicuculline의 이러한 작용은 muscimol에 의해서 길항되지 않았다. 정상 PSS 내에서 diazepam에 의해 억제되었던 자발수욱 및 oxytocin유발수촉은 calcium의 첨가 및 calcium inophore인 A23187의 첨가로 일부 회복되었다. Calcium 배제 용액내에서는 diazepam이 calcium 첨가로 인한 수축력 회복을 방해하였으며 calcium inophore인 A23187에 의한 수축력 증가는 막지 못하였다. 또 세포외액에 calcium이 결핍된 상태에서는 oxytocin 자체에 의한 수축을 방해하지 못하였으나 이어 첨가된 calcium에 의한 oxytocin 유발 수축의 증가는 일부 억제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diazepam은 자궁의 자발수측 및 oxytocin 유발 수축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은 GABA 수용체 의존성이 아닌 세포외액의 calcium의 유입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HV 척도를 기준한 피하지방후, 근과 골 변인의 사춘기 발육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lescent Growth Spurt of Skinfold, Muscle and Bone Variables Aligned on Peak Height Velocity in Boys and Girls)

  • 신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39-344
    • /
    • 2006
  • 인간의 신체적 발육에 있어서 현저한 변화를 보이며, 다른 연령기에 비해 신체교육의 가능성이 크다고 인식되는 아동기와 사춘기 남 녀를 대상으로 생리학적 연령의 PHV 척도를 기준한 피하지방후, 근과 골 변인의 사춘기 발육분출 변화 양상을 분석 평가 하였다. 신장의 PHV 출현은 남자의 경우 $13{\sim}14$세 사이 이며, 여자는 2년 빠른 $11{\sim}12$세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의 4개부위에 대한 피하지방후합은 남자의 경우 PHV 출현 -2년에 $8.9mm{\cdot}yr^{-1}$로, 여자는 PHV 출현 +2년에 $11.3mm{\cdot}yr^{-1}$로 PV에 각각 도달 하였으며, 남 녀 모두 사춘기발육분출 에서 증감의 변동이 많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상완골폭에 있어서 남자의 경우 PHV 출현 -3년과 +2년에 $0.6cm{\cdot}yr^{-1}$$0.5cm{\cdot}yr^{-1}$로 2번의 PV에 도달하는 bi-modal 현상을 보였고, 여자는 PHV 출현 -1년에 $0.3cm{\cdot}yr^{-1}$로 PV에 도달하였다. 대퇴골폭에 있어서 남자는 PHV 출현과 동일시점에 $0.4cm{\cdot}yr^{-1}$로, 여자는 PHV 출현 -2년에 $0.4cm{\cdot}yr^{-1}$로 각각 PV에 도달하였다. 근육의 상완이두근 최대위에 있어서 남자는 PHV 출현 +2년에 $2.6cm{\cdot}yr^{-1}$, 여자는 PHV 출현 +1년에 $1.0cm{\cdot}yr^{-1}$로 PV에 각각 도달 하였고, 하퇴위에 있어서 남자는 PHV 출현 +2년에 $1.9cm{\cdot}yr^{-1}$, 여자는 PHV 출현과 동일한 시점에 $1.6cm{\cdot}yr^{-1}$로 PV에 도달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아 PHV 척도를 기준으로한 피하지방후 발육의 경우, 남자는 PHV 출현 이전, 여자는 PHV 출현이후, 골의 발육은 남 녀 모두 PHV 출현 이전, 근육의 발육은 남 녀 모두 PHV출현 이후 PV에 각각 도달하는 양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