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ong tooth

Search Result 39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상악 중절치의 편측성 맹출 장애 원인 및 치료 (Factors and Treatments Influencing the Unilaterally Unerup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 최효정;남순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4-343
    • /
    • 2018
  • 이번 연구에서는 상악 중절치의 편측성 맹출 장애의 원인을 조사하고 매복된 치아들의 매복깊이, 매복각도, 치근발육 상태를 치과용 Cone-beam CT로 분석하여 치료방향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총 134명의 환자 중 상악 중절치의 편측성 맹출 장애로 진단된 평균연령은 7.9세였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2.1배 더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맹출 장애의 주원인은 물리적 장애물로 과잉치와 치아종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편측성 맹출 장애를 보였던 치아 중 물리적 장애물을 제거한 후, 78증례는 자발적으로 맹출하였으며 56증례는 비자발적으로 맹출하였다. 또한 편측성 매복 상악 중절치의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 맹출은 매복깊이, 매복각도, 치근발육 정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정상적으로 맹출한 치아의 매복 각도는 $50^{\circ}-90^{\circ}$ 사이였으며, 매복 상악 중절치의 자발적 맹출 빈도도 이 범위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자발적 맹출에 걸린 시간은 매복각도와 치근 발육보다 매복깊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자발적 맹출을 보였던 치아들 중 대부분은 교정적 견인에 의해 구강내로 맹출 되었고, 그 기간은 약 12개월 정도 걸렸으며, 교정적 견인기간은 매복깊이, 매복각도, 치근발육 정도와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번 연구의 결과들은 편측성 상악 중절치 맹출 장애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으며, 치료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심미적인 부위에서의 외과적 정출술 (Surgical extrusion in aesthetic area)

  • 박현규;박진우;서조영;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287-295
    • /
    • 2007
  • As a general treatment modality of subgingival tooth defect in aethetic area, implant or crown and bridge therapy after extraction of affected tooth can be used. But as more conservative treatment, crown lengthening can be considered and not to lose periodontal attachment and impair aethetic appearance, surgical extrusion can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of choice. In this case report, 3 cases of surgical extrusion was represented and appropriate time for initiation of end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ost-surgical tooth mobility was investigated. In 8 patient who has subgingival tooth defect in aethetic area, intracrevicular incision is performed and flap was reflected with care not to injure interproximal papillae. With forcep or periotome, tooth was luxated and sutured in properely extruded position according to biologic width with or without $180^{\circ}$ rotation. 8 cases show favorable short and long term results. In some cases, surgical extrusion with $180^{\circ}$ rotation can minimized extent of extrusion and semi-rigid fixation without apical bone graft seems to secure good prognosis. In 8 cases, endodontic treatment started about 3 weeks after surgery. This time corresponds with the moment when mobility of extruded tooth became 1 degree and this results concide with other previous reports. If it is done on adequate case selection and surgical technique, surgical extrusion seems to be a good treatment modalilty to replace the implant restoration in aethetic area.

과잉치 치수유래 줄기세포의 장기 배양 특성 (Characteristics of Supernumerary Tooth-derived Pulp Cells during Long-term Culture)

  • 맹현수;김종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92-498
    • /
    • 2018
  • 이 연구는 과잉치 치수로부터 얻은 세포를 더 이상 증식하지 못한다고 판단될 때까지 계대배양을 시행하면서 초기, 중기, 후기 계대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2명의 건강한 6세 남아로부터 3개의 과잉치를 발거하여 치수조직에서 줄기세포를 얻었다. 이를 SNT1(supernumerary tooth 1), SNT2라고 하고, 다른 아이로부터 얻은 과잉치는 SNT3로 명명하였다. SNT1과 SNT2는 똑 같은 시간으로 계대배양 되었고 SNT3은 조금 빠르게 계대배양 되었다. 전체 계대배양의 평균 기간은 $3.6{\pm}1.1$일이었다. 총 $23.3{\pm}0.6$계대까지 배양되었으며, 83일이 소요되었다. 이를 계대를 기준으로 3등분하여 세 군으로 나누었다. I군에서 II군까지 계대배양에 소요된 시간 증가율은 11.90%였으나, II군에서 III군 사이의 증가율은 28.62%로 2.4배가 증가하였다. 22계대까지의 배양기간에 대한 소요 시간을 회귀분석한 결과 y = 0.1169x + 2.25 ($r^2=0.4778$)과 y = 0.1169x + 2.0 ($r^2=0.6444$)으로 추론되었다. 과잉치 치수유래 줄기세포의 정상 배양은 20계대까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후기로 넘어가면 계대배양 시간이 2.4배 증가였다. 후기 계대에서는 세포내 부유물이 증가하였고, 형태도 선형으로 변형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성견 치주질환 이환치아의 수평이동이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RIZONTAL ORTHODONTIC TOOTH MOVEMENT ON THE PERIODONTALLY DISEASED TISSUE IN DOGS)

  • 김경호;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73-693
    • /
    • 1994
  • Most adults, unlike growing children, have some periodontal problems which can influence the outcome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In cases where periodontal disease progression resulted in marked reduction of periodontium, orthodontic treatment could result in the worsening of the periodontal conditions, and therefore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in such adult patients requires special considerations for the periodontal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orizontal orthodontic tooth movement on the changes in the mesial, distal and furcation areas of the disease affected periodontium of adult dogs with advanced bone loss. Six adult dogs with healthy periodontium were selected, and mandibular 2nd premolars were extracted. In the mandibular 3rd premolars, angular bony defects in the mesial and distal sides, and horizontal bony defects in the furcation areas were created. Those that received the flap operation and plaque control were designated as the control, those that had horizontal tooth movement without plaque control after the flap operation as Experimental group I, those that had horizontal tooth movement under plaque control without the flap operation as Experimental group II, and those that had horizontal tooth movement under plaque control after the flap operation as Experimental group III. The control group was sacrificed 2 months postoperatively,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5 months after the initiation of tooth movement. Specimens were histologically analyzed under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the horizontal tooth movements, Experimental group I and II showed angular bony defects in the mesial sides of the roots and the distal side of the furcation areas, which correspond to the pressure sides. 2. After the horizontal tooth movements, Experimental group I and II showed decreased level of alveolar bone crest in the distal sides of the roots, which correspond to the tension sides. 3. Long junctional epithelium in the control group has not been replaced by periodontal connective tissue after the horizontal tooth movements. 4. Limited formation of new bone was observed in the angular bony defects in the mesial and distal aspects of the roots in the control group. 5.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the connective tissue was most sev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I, followed by Experimental group II, III, and the control group in that order.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plaque control wa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in the alteration of the periodontal tissue after the horizontal tooth movements in the periodontal tissue with alveolar bone defects.

  • PDF

상악 구개측 중앙부에 매복된 과잉치 (MESIODENS IN THE VAULT OF THE PALATE)

  • 민성진;김성오;이제호;곽지윤;최병재;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70-674
    • /
    • 2005
  • 과잉치는 치배 형성기에 정상 치판의 과도한 증식의 결과로 발생하며 산발적일 수도 있고 유전적일 수도 있다 발생 빈도는 $1{\sim}3%$이며, 2:1의 비율로 남아에게 호발한다. 주로 상악 전방부에서 많이 발견되며 매복, 영구치의 위치 이상, 정중부 이개, 낭종, 비강으로의 맹출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악 전방부에서 발견되어지는 과잉치는 치축방향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며 상악 전방부 과잉치의 1/3정도는 역위 매복되어 맹출의 가능성이 없지만, 치낭의 치관 부위가 정상적인 관계로 존재하는 한 과잉치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치아의 이동은 경구개, 소구치 부위, 비강까지도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전상악 수직고경의 성장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과적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본 두 증례에서는 역위 매복된 상악 전방부의 과잉치가 구개 측 중앙부까지 이동된 것을 발견하여 외과적으로 제거하였다.

  • PDF

Thermomechanical Effect on the Water Wet Dental Hard Tissue by the Q-switched Er : YAG Laser

  • Y. H. Kwon;Ky0-han Kim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1-236
    • /
    • 1999
  • Q-switch된 Er:YAG 레이저를 이용해서 치아표면에 뿜어준 외부의 물로 인해 유도된 열 및 역학적인 효과를 이해하는 것은 free-running Er:YAG 레이저에 의한 절삭효과를 이해하는데 대단히 중요하다. 이는 (파장 하나의 길이가 250 $\mu\textrm{s}$인) free-running 레이저에 의한 한 거 대효과가 본 실험에서 이용한 (파장 하나의 길이가 1 $\mu\textrm{s}$인) Q-switch된 레이저에 의한 미소효과들의 축적이기 때문이다. 치아표면에 물이 있을 때 Q-Switch된 레이저에 의한 절삭률은 그렇치 않은 때에 비해 증가되었다. 치아표면에 물을 뿜어주는 횟수는 절삭률에 영향을 미쳐서 저에너지에서는 더디게 물을 뿜어줄때 놀은 절삭률을 얻었다. 반동압력의 세기는 치아표면 조건에 의존하는데. 표면이 젖을수록 그리고 뿜어준 물의 양이 증가 할 수록, 반동압력의 세기 또한 증가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우리는 1-$\mu\textrm{s}$-길이의 pulsed 레이저에 의해 유도된 열 및 역학적인 효과가 외부에 물이 있을 때 free-running Er:YAG 레이저에 의한 절삭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것을 알았다.

  • PDF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Causes of failures of long-term used double crown denture and new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and tooth combined denture using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 서정교;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84-390
    • /
    • 2018
  • 치주적으로 지지가 불리한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게 있어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의치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예후를 보이는 치료가 된다. 편측 악궁에 소수 잔존치가 남고 반대측 악궁에 다수의 자연치가 존재 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자연치와 혼재된 형태의 이중관 의치를 제작 할 시 의치의 지지 및 안정요소의 향상과 더불어 저작력의 균형을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자 환자로 만성 치주염으로 인해 치주 지지가 감소한 소수 잔존치 상태에서 자연치만으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 치료를 통해 9.5년간 의치를 사용하였다. 9.5년 후 지대치 파절로 내원 하여 임플란트의 식립을 통해 자연치와 임플란트가 혼재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로 재수 복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 치료에서도 장기적 예후의 안정성을 기대 할 수 있다.

외상으로 실활된 미성숙 영구치에서의 계속된 치근 형성 (CONTINUED APEXOGENESIS ON TRAUMA INDUCED NONVITAL IMMATURE PERMANENT TOOTH)

  • 강유진;김혜영;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40-646
    • /
    • 2009
  • 치아에 외상을 받은 경우 치수 생활력의 상실은 흔한 일이다. 치수 생활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여러 가지가 있지만, 미성숙 외상치의 경우 일시적 현상과 가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치수 괴사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매우 어렵다. 생활력을 상실한 치아는 염증성 치근흡수, 치근단 낭종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수 치료를 시행한다. 그러나 미성숙 영구치의 경우, 치수 치료를 시행 후 치근 성장이 정지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얇고 짧은 치근이 형성되어 장기적인 예후는 좋지 않다. 본 임상 증례에서는 외상으로 인하여 실활된 초기 영구치에서 치근단부의 최소한의 침습적 치근단 형성술로 계속된 치근 형성을 보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골유착성 임프란트와 자연치를 이용한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응력분산 및 충격흡수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응력분석 (A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HE SHOCK ABSORPTION IN AN OSSEOINTEGRATED IMPLANT-NATURAL TOOTH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 정창모;이호용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82-610
    • /
    • 1992
  • The long-term success of any dental implant is dependent upon the optimization of stresses which occur during oral function and parafunction. Especial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re is an unique set of problems associated with joining an osseointegrated implant and a natural tooth with a fixed partial denture. For this particular case, although many literatures suggest different ways to avoid high stress concentrations on the bone surrounding the implant under static and dynamic loading conditions, but few studies on the biomechanical efficacy of each assertion have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efficacies of clinically suggested methods on stress distribution under static load and shock absorption under dynamic load, using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In FEM models of osseointegrated implant-natural tooth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calculations were made on the stresses in surrounding bone and on the deflections of abutments and superstructure, first,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stress distribution effects under static load by the flexure of fastening screw or prosthesis, or intramobile connector, and secon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shock absorption effects under dynamic load by intramobile connector or occlusal veneering with composite resi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 1. Under static load condition, using an implant design with fastenign screw connecting implant abutment and prosthesis or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fastening screw, or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prosthesis led to the .increase in height of peak stresses in cortical bone surrounding the implant, and has little effect on stress change in bone around the natural tooth. 2. Under static load condition, intramobile connector caused the substantial decrease in stress concentration in cortical bone surrounding the implant and the slight increase in stress in bone around the natural tooth. 3. Under dynamic load condition, both intramobile connector and composite resin veneering showed shock absorption effect on bone surrounding the implant and composite resin veneering had a greater shock absorption effect than intramobile connector.

  • PDF

병적 치아 이동된 상악 전치의 치주, 보철 치료 후 10년 경과 증례 (Periodontal and prosthetic treatment of maxillary incisors with pathological tooth migration: a case report with 10-year follow-up)

  • 김소연;권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1호
    • /
    • pp.26-33
    • /
    • 2022
  • 전치부 치간 사이 공간은 치주 환자에게 흔히 발생되는 병적 치아 이동(PTM, pathological tooth migration)과 함께 자주 관찰된다. PTM에는 다양한 교합적 요인들이 기여하는데 특히 상악 전치부에서는 과도한 교합력이 있을 때 위치 문제로 인한 불리함 때문에 치간 이개가 쉽게 발생한다. 치주 지지 조직이 소실된 치아는 의도적인 연결 고정(splinting)을 통해 지지 면적을 확장하면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 시에는 불리한 교합을 유리한 형태로 바꿀 수 있다. 임시보철물을 통해 안정적 교합을 확보 후 이것을 최종보철물로 옮기는 일은 CAD-CAM을 통하여 가능하다. 본 증례에서는 치간 접촉이 상실된 상악 전치부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