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istic regression gastric cancer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2초

일 광역단위에서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위암 수검률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Gastric Cancer Screening in the Population of a Metropolitan Area)

  • 오현숙;김선아;권순석;이정애;류소연;신민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3호
    • /
    • pp.174-181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위암검진 참여 현황을 파악하고,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사회경제상태 지표인 소득, 교육수준과 위암 수검률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2009년과 2010년 전라남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40세부터 69세까지 21,2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상태와 위암 수검률과의 관련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령별 암 수검률은 40대 52.1%, 50대 63.7%, 60대 67.3%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위암 수검률에 대한 교차비는 증가하였다(무학을 포함한 초등학교 졸업을 기준으로 중학교 졸업 OR=1.21; 95% CI=1.07-1.37, 고등학교 졸업 이상 OR=1.41; 95% CI=1.26-1.58).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위암 수검률에 대한 교차비도 증가하였다(2사분위 OR=1.14; 95% CI=1.02-1.28, 3사분위 OR=1.30; 95% CI=1.13-1.48, 4사분위 OR=1.62; 95% CI=1.44-1.84). 소득수준에 따른 위암 검진율은 연령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40대에서 가장 높았다(40대 2사분위 OR=1.26; 95% CI=1.03-1.54, 3사분위 OR=1.49; 95% CI=1.20-1.86, 4사분위 OR=2.03; 95% CI=1.65-2.50, p for interaction=0.05). 낮은 사회경제상태는 낮은 위암 수검률과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40대에서 사회경제상태에 따른 위암 수검률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사회경제상태에 따른 위암 수검률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연령대별로 검진 형평성 달성을 위한 정책적, 환경적 지원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전라남도 거주 여성 중 사별군과 비사별군간의 건강행태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Between Widowed Women and Married Women in Jeollanamdo Province, Korea)

  • 최성우;이정애;신준호;신민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72-278
    • /
    • 2008
  • Objectives: To compare the health behaviors of widowed women with those of currently married women. Methods: We randomly sampled the subjects from the Jeollanamdo Resident Registration Data and we then selected 2,331 widowed women and 4,775 married women. Well-trained examiners measured the height, weight, blood pressure and abdomen circumference, and the women were interviewed with using a questionnai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OR) of the two groups. Results: The smoking rate (OR=2.46; 95% confidence interval [CI]1.65, 3.66)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widowed women. On the contrary, the awareness rate of a smoking cessation campaign (OR=0.80; 95% CI=0.70, 0.92), a quit tobacco telephone line (OR=0.73; 95% CI =0.61, 0.88) and a quit smoking clinic (OR=0.74; 95% CI=0.62, 0.89) were lower for the widowed women. The rate of receiving a health exam (OR=0.80; 95% CI=0.70, 0.91), the rate of undergoing gastric cancer screening (OR=0.77; 95% CI=0.68, 0.88), breast cancer screening (OR=0.79; 95% CI=0.69, 0.89), cervix cancer screening in the last 2 years (OR=0.81; 95% CI=0.71, 0.92), colon cancer screening in the last 5 years (OR=0.74; 95% CI=0.63, 0.87)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widowed women.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ealth behavio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widowed women and the married women. To improve the health behaviors of the widowed women, further study and research that will investigate the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behaviors of widowed women will be needed.

Short Sleep Duration and Its Correlates among Cancer Survivors in Korea: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Yoon, Hyung-Suk;Yang, Jae Jeong;Song, Minkyo;Lee, Hwi-Won;Lee, Yunhee;Lee, Kyoung-Mu;Lee, Sang-Ah;Lee, Jong-koo;Kang, Daehe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1호
    • /
    • pp.4705-4710
    • /
    • 2015
  • Background: Though a large proportion of cancer survivors are assumed to be commonly affected by sleep disturbance, few studies have focused on short sleep problems and its correlates among Korean cancer surviv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hort sleep in adult cancer survivors from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ample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short sleep duration. Materials and Methods: Based on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12), 1,045 cancer survivors and 33,929 non-cancer controls were analyzed. The prevalence of short sleep was compared between these two groups. Associations between short sleep and its correlates were evaluat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mong cancer survivors: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95%CIs) were estimated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lifestyle factors, psychological conditions, and cancer-related factors. Results: About 8.1% of cancer survivors slept for less than 5 hours per day (6.2% men and 9.3% women), whereas this was the case for only 3.7% of non-cancer controls. Cancer survivors who had the lowest household income level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ikelihood for short sleep (adjusted OR 2.82, 95%CI 1.06-7.54). Self-reported poor health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likelihood for short sleep in cancer survivors (adjusted OR 3.60, 95%CI 1.40-9.26 and adjusted OR 2.00, 95%CI 1.17-3.42). Gastric cancer survivors had a 3.97-fold increased risk for short sleep (95%CI 1.60-9.90).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short sleep occurs at a high rate among the Korean cancer survivors, which may indicate a poorer quality of life and a higher risk of future complications in survivorship. Targeted interventions that can assist cancer survivors to cope with sleep disturbances as well as ensuring psychological stability are warranted to reduce the latent disease burden.

일부 대학생의 체형 만족 정도와 식사 장애 위험 정도의 관계 연구 (Study on Association between Risk of Eating Disorder and Self-Esteem on Body Image)

  • 남희정;김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5-126
    • /
    • 2005
  • This Quantitative study was investig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n body image and disordered eating pattern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Total 347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88 male and 259 female) among three universities. The assessment of eating disorder was conducted by Eating Attitudes Test (EAT-26), a score of >or=20 identified individuals likely have an eating disorder, including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Ideal body weight and current body weight were completed with self-evaluation. A distorted body image was independently related to the eating problem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tronger relationships between their EAT-26 scores and their expected weight changes and weight control behaviors. Compared with the men, women showed highly wishful to loss for current body weigh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ore of EAT-26 and BMI distance by sex, levels of eating disorder showed linearly elevated toward increased BMI distance (Ideal BMI-Current BMI) (F-value=18.794, p<0.0001) in women,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in men (F-value=2.028, p>0.05). In estimate o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ccording to quartile of BMI distance by sex, levels of state-trait anxiety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y degree of body dissatisfaction in all sex. In addition, higher distorted body ima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s of weight control method and experience of side effects in female, but there were not showed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in male.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을 시술 받은 위종양 환자에서 심리적 요인이 시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Postoperative Pain in Gastric Tumor Patients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 이준협;전한호;이산;이혁;오승택;장진구;임우영;박재섭;최원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1호
    • /
    • pp.68-75
    • /
    • 2018
  • 연구목적 암 환자에게 있어 통증은 삶의 질과 예후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로 통증을 줄이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종양 환자에게 많이 시행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 후 통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데, 시술 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이 많이 알려진 것에 비해 심리적 요인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을 시술 받은 위종양 환자가 시술 후 겪는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에 내원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을 시술 받은 91명의 위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을 시술 받기 전에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불안, 우울, 회복탄력성을 평가하였다. 환자들이 호소하는 통증의 정도가 시각적 유추척도 3점 이상인 군(고통증군)과 3점 미만인 군(저통증군)으로 나누었고, 시술 후 통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 및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고통증군이 저통증군에 비해 음주량이 낮았고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통증군이 저통증군에 비해 회복탄력성 점수가 낮았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 항목 중 자기조절능력, 긍정성 항목에서 점수가 낮았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중 자기조절능력(OR, 0.911 ; 95% CI, 0.854-0.971, p=0.004)이 낮을수록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 시술 후 겪는 통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을 시술 받는 환자의 회복탄력성 하위 항목인 자기조절능력이 낮을수록 시술 후 더 큰 통증을 호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심리적 요인 중 개인의 회복 탄력성이 통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울 지역 초등학생의 생활환경과 Helicobacter pylori 양성률 (Influence of Environmental Living Standards o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제우;김효신;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10-17
    • /
    • 2001
  • 목 적: 성인의 경우 사회경제적 수준과 위생상태, 직업, 주거환경 등이 H. pylori 감염과 관련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소아를 대상으로 한 H. pylori 감염에 대한 역학조사는 비교적 드물다. 본 소아과학교실에서는 H. pylori 감염에 영향을 주는 생활환경 요인을 알아보고자 신촌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환경과 H. pylori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방 법: 신촌지역 초등학생 571명을 대상으로 하여 H. pylori IgG 항체 양성유무와 생활환경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H. pylori IgG 항체가는 GAP IgG Helicobacter pylori kit (Bio-Rad Lab, USA)를 이용하여 ELISA법으로 측정하였고, 항체 가가 15 U/mL 이상이면 양성, 15 U/mL 미만인 경우 음성으로 판정하였다. 생활환경 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출생지와 월수익, 주거환경, 가족수, 형제수, 소화성궤양 및 위암의 가족력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1) 대상환아는 총 571명으로 평균 연령은 $9.6{\pm}1.8$ (6~13.6)세였고, 남녀비는 1.1:1이었다. 전체 환아의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은 16.8% (96/571)였다. 연령별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은 6세에서 10.4%, 7세 17.9%, 8세 11.1%, 9세 19.3%, 10세 16.5%, 11세 13.7%, 12세 이상에서 30.9%였으며(p=0.06), 성별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은 남학생에서 16%, 여학생 18%였다(p=0.46). 2) 출생지별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은 호남 8% (1/13), 서울 17% (66/381), 충청도 20% (1/5), 영남 20% (1/5), 경기도 24% (7/29), 강원도 75% (3/4)였다(p>0.05). 3) 소득수준별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은 월소득 100만원 이하에서는 17%(10/58), 월소득 100~200만원에서는 16% (44/274), 월소득 200~500만원에서는 19% (22/117), 월소득 500만원 이상에서는 17% (2/12)였다(p=0.93). 4) 주거환경별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은 아파트의 경우 25% (3/15), 단독주택의 경우 18% (64/358), 기타 17% (21/124)였다(p>0.05). 5) 가족수에 따른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은 2명 이하 13% (10/79), 3명 15% (37/250), 4명 19% (18/96), 5명 이상 30% (17/57)로 가족수가 증가할수록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3). 형제수별로는 1명인 경우 16% (68/420), 2명인 경우 18% (10/55), 3명 이상인 경우 33% (5/15)였다(p=0.27). 6) 위암 및 소화성궤양의 가족력 유무별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7) 부모의 직업별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8) 연령, 소득수준, 주거환경, 가족구성원 수, 위암 및 소화성궤양의 가족력에 따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H. pylori IgG 항체 양성률과 가장 깊은 관계를 갖는 생활요인은 가족수의 증가였으며, 비교위험도는 1.5였다(p=0.003). 결 론: 서울 지역 초등학생의 H. pylori 양성률은 연령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평균 감염률은 16.7%였고, H. pylori 감염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생활환경적 요인은 가족 구성원의 수였으며 odds ratio는 1.5이었다. 우리 나라와 같이 비교적 대가족제도가 많은 생활환경에서는 가족구성원의 수가 H. pylori 감염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의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