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 diameter class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국산 침엽수 원목의 경급구분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g diameter classes of Korean softwood log)

  • 박정환;김광모;엄창득;정두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337-345
    • /
    • 2013
  • 국산 원목의 유통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원목 품질을 신뢰할 수 있는 있는 등급체계가 정착되어야 한다. 원목시장의 현실과 괴리된 원목규격의 개선을 위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원목 현황과 원목이 사용되는 시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2010년과 2011년에 국내 5개 지방산림청에서 생산 매각한 천만 본 이상의 원목자료를 수집하여 각 수종별로 경급과 재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원목규격의 경급과 재장구분 기준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산 침엽수 원목의 경급은 100~160 mm 범위의 소경재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현행 원목규격의 재종구분이 현실에 비해 다소 과도하게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목의 경급분포는 수종별로 서로 상이한 분포특성을 보여 수종별로 차별화된 경급기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원목의 재장이 수종마다 서로 상이하고, 제재용으로 선호되는 재장을 적극적으로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반영하여 재장에 관한 기준이 원목규격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3개 수종군, 6개 재종의 새로운 침엽수 원목 구분체계를 제안하였으며, 각 등급에 적합한 지름 및 재장기준을 제시하였다.

Computing the Bucking Rate of Japanese Larch Logs for Timber Harvesting

  • Daesung Lee;Yonghee Lee;Ilsub Lee;Jungkee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35-42
    • /
    • 2024
  • The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is a major timber species in Korea. However, studies on bucking rates and merchantable logs of this species are insufficient in South Korea. To bridge these gaps, in this study, the bucking rate of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was computed and the number of long logs and merchantable log volumes were analyzed. Sample trees were bucked according to the log grade for trading, and collected from a forest field in Gangwon Province. The bucking rate of all Japanese larch logs was >89%. The highly profitable 2-4 logs of 3.6 m length from trees with ≤30 cm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d 5-6 logs with ≥34 cm DBH were produced. The bucking rate of long logs was >84%; thus, Japanese larch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supply of high-grade timber. Additionally, to follow reasonable wood supply plans, merchantable volume tables were offered based on 3.6 m-long number of logs and small-end diameter classes. Understanding the proportion of merchantable log volumes, bucking rates, and the number of long and short logs has large-scale applications in practical forestry.

백두산 동북부지역 소나무 천연림에서 밀도에 따른 임분의 Biomass 생산성 및 수직 배분 (Biomass Productivity and its Vertical Allocation of Natural Pinus densiflora Forests by Stand Density)

  • 김영환;;이돈구
    • 임산에너지
    • /
    • 제18권2호
    • /
    • pp.92-99
    • /
    • 1999
  • 임분밀도에 따른 소나무림의 biomass생산량, 밀도변화에 따른 임목의 부위별 biomass배분특성 및 교목, 관목, 초본 등 수직층위별 biomass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중국 백두산 동북부 지역 소나무 천연림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임분의 밀도를 5등급으로 나누어 각각 교목층, 관목층, 초본층별로 biomass량을 추정하였다. 교목층에서 부위별로 교목층 소나무 biomass량 추정식을 유도한 결과 줄기,수피 및 지상부 전체 biomass량의 경우, logW=a+blog(D2H)+c(D2H)식의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고 가지, 침엽의 biomass량 및 엽면적의 경우, logW=a+blogD+cDtlr의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교목층의 biomass량은 증가하였고 관목과 초본층의 biomass량은 감소하는 추이를 나타내었다. 소나무 천연림내 교목층 임목의 부위별 순생산량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다. 침엽이 지상부 전체 biomass 순생산량 중 차지하는 비율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으로써 침엽의 교목층 지상부 biomass량에 대한 생산성은 증가하였다. 밀도가 다른 소나무천연림에서 부위별 순생산량은 모두 줄기>침엽>가지>수피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