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 P 특성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8초

Chlorella 추출물을 첨가한 Drinkable Yoghurt 제조에 따른 저장성 및 관능적 특성 (Keeping Quality and Sensory Property of Drinkable Yoghurt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 조은정;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8-137
    • /
    • 2004
  • Chlorella 추출물을 첨가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chlorella추출물 분말 0.25%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후 chlorella 추출물 액상을 농도별 (2.5%, 5.0%, 7.5%, 10.0%)로 첨가하여 제조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의 저장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Chlorella 추출물 액상 첨가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무침가구와 함께 4$^{\circ}C$와 2$0^{\circ}C$에서 15일 동안 저장한 결과, 4$^{\circ}C$에서 pH는 pH 4.13-4.27, 적정산도는 0.66-0.75%이었고, 2$0^{\circ}C$에서는 pH는 3.53 -3.56, 적정산도는 1.30-l.37%으로 chlorella 추출물 액상 무첨가구에 비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4$^{\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chlorella 추출물 액상 첨가구의 pH와 적정산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2$0^{\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에는 젖산의 생성량이 크게 증가하여 매우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산균수의 경우 4$^{\circ}C$에서는 chlorella 추출물 액상 첨가구는 8.42-8.89 log CFU/$m\ell$, 무첨가구는 8.62 log CFU/$m\ell$이었고, 2$0^{\circ}C$에서는 chlorella 추출물 액상 첨가구는 9.15-9.45 log CFU/$m\ell$, 무첨가구는 9.26 log CFU/$m\ell$이었다. 각 온도에서 chlorella 추출물 액상을 첨가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는 저장 기간 동안 chlorella 추출물 액상 무첨가구와 큰 차이 없이 유사한 균수를 유지하였으나, 2$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에는 4$^{\circ}C$에서 저장한 경우보다 높은 유산균수를 보였다. 그러나 chlorella 추출물 액상을 첨가한 실험구나 무첨가 대조구의 경우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15일까지 법적 유산균수(8.0 log CFU/$m\ell$ 이상)를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chlorella 추출물 액상 무첨가구가 색, chlorella 맛, 후미,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chlorella 향, 단맛, 신맛에 있어서도 비교적 우수한 평가를 받아 관능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올리고당의 첨가량은 20% 첨가시 후미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감마선 조사 숙면의 미생물 및 일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Half-Cooked Noodle)

  • 김동호;육홍선;안현주;조철훈;변명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6-261
    • /
    • 2000
  • 숙면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상온에 보관하면서 보존기간중의 미생물 및 일반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숙면의 곰팡이는 5 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완전 사멸되었으며 일반세균은 5 kG)에서 2 log cycle, 10 kGy에서 4 log cycle수준으로 감소하였고 10 kGy에서 안정적으로 미생물의 생장이 억제되었다 숙면의 pH는 보존기간을 통하여 점차 낮아졌으나 감마선을 조사한 시료는 pH의 강하가 지연되었고 수분활성도는 보존기간을 통하여 증가하였으나 감마선 조사에 의한 각 시료간의 차이는 없었다 기계적 물성 측정결과, 감마선 조사는 보존초기에는 면의 stickiness를 낮추었으나 보존기간의 경과에 따라 오히려 대조구에 비하여 stickiness가 높아졌다.

  • PDF

Ozone과 UV를 이용한 Cryptosporidium의 불활성화 효과 (Inactivation Effect of Cryptosporidium by Ozone and UV)

  • 김윤희;이철희;이순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오존 및 UV 소독을 통해 Cryptosporidium 불활성화 특성을 파악하고 소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ozone을 이용한 Cryptosporidium 불활성화 효과는 소독지표의 하나인 CT값$(mg{\cdot}min/L)$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1 log(90%) 불활성화 CT값은 5.77 $mg{\cdot}min/L$이고 2 log(99%) 불화성화 CT값은 21.30 $mg{\cdot}min/L$인 것으로 나타났다. UV 소독을 통한 Cryptosporidium oocysts 불활성화 효과의 경우 pH(5, 7, 9)와 저탁도(5 NTU 이하) 그리고 UV 강도(0.2, 0.6 $mWs/cm^2$)에 따른 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20 NTU 이상의 고탁도인 경우에는 불활성 효과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정수처리공정에서 UV 소독을 실시할 경우 탁도를 충분히 낮춰야만 만족할 만한 소독 능을 얻을 수 있으며 높은 UV 강도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UV가 조사된다면 더 높은 Cryptosporidium oocysts의 불활성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온에서 천연산 망간광석과 황화수소의 반응특성 (Reaction of Natural Manganese Dioxide with Hydrogen Sulfide at High-Temperature)

  • 손병현;오광중;김영식
    • 청정기술
    • /
    • 제2권1호
    • /
    • pp.69-79
    • /
    • 1996
  • 석탄가스화기에서 방출되는 황을 제어하는 것은 가스정화시스템에서 연료가스 중의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산 망간광석의 황화수소 제거능에 영향을 미치는 탈황제의 입자크기, 황화반응 온도 및 탈황제 특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황화수소 제거능은 반응온도 $700^{\circ}C$에서 효과적이었으며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탈황효율은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탈황제의 응집으로 인해 입자 내 물질전달저항이 증가하여 반응성이 저하되며 SEM 사진으로 탈황제의 응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으로부터 구한 평형비 ($P_{H_2O}/P_{H_2S}$)는 ${\log}(P_{H_2O}/P_{H_2S})=5653/T-3.7909$였다. 천연산 망간광석의 황화수소 제거능이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탈황제들과 비슷하기 때문에 탈황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Styrene dimer [환경호르몬 물질] 분해균주의 분리 및 배양특성 (Isola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tyrene Dimer [Endocrine Disrupter] Biodegrading Microorganism)

  • 오경택;류인재;강창민;;정선용
    • KSBB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15-32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환경호르몬 물질의 하나인 스티렌 다이머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자연계로부터 분리하고자 하였다. 분리결과 스티렌 다이머 분해 능력이 있는 strain YH3를 분리하였다. Strain YH3은 단일균주가 아닌 3종류의 서로 다른 미생물상을 이루고 있었다. 동정을 한 결과 strain YH32는 Pseudomonas sp.로, strain YH33은 Klebsiella pneumoniae로 동정되었으나, strain YH31은 동정이 되지 않았다. 이들 세균주는 단일균 혹은 두 종류씩 짝을 지어 배양 하여도 스티렌 다이머를 분해하지 못하였으나 세 균주가 혼합되었을 때는 O. $D_{660nm}$ 값과 색도의 변화를 통해 생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세 균이 혼합된 복합균주 YH3을 대상으로 균주의 최적 생장 조건을 검토한 결과, 35$^{\circ}C$, pH 7.0, 기질 농도 1,000ppm (v/v)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또한, 유기용매에 대한 내성은 복합균주 YH3는 logP 값이 3.1 이상에서 생장하였고, 방향족화합물인 ethyl benzene과 제초제의 일종인 2,4-D를 분해하였다. 그러나 benzene, toluene, xylene 및 styrene trimer는 분해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TLC 분석 결과, 배양 5일째부터 스티렌 다이머의 중간대사산물이 관찰되었다.

배추 첨가 청국장의 제조 및 품질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Chinese Cabbage)

  • 김진학;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59-664
    • /
    • 2012
  • 김치 제조과정 중 발생되는 배추 부산물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청국장의 제조시 배추를 첨가하여 배추 혼합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배추 첨가량을 달리하여 10%(A10), 20%(A20) 혼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배추 첨가 청국장의 pH는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배추 첨가량에 따라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청국장의 발효 후 총균수는 8.65~9.11 log CFU/mL이었으며, 유산균수는 A10, A20이 각각 5.62 log CFU/mL와 5.87 log CFU/mL이었으며, 대조구는 발효 전 기간 동안 유산균이 검출 되지 않았다. 배추 혼합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량과 점질물량은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후 모든 군이 증가하였으며, A10의 증가량이 가장 우수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발효 후 A10이 대조구와 A20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A10이 맛, 색상,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포장방법에 따른 전통 양념갈비의 품질 및 저장성 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Shelf-life of Traditional Marinated Beef(Galbi) as Affected by Packaging Method during Storage at$-1^{\circ}C$)

  • 김천제;정종연;이의수;송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92-798
    • /
    • 2002
  • 본 연구는 포장방법과 저장기간에 따른 전통 양념갈비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H, 산도, 지질산패도, 휘발성 염기태질소 함량, 총균수, 대장균 군수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양념갈비의 pH와 적정산도는 유의차가 없었고 포장방법에 따른 유의차도 없었다. 지질산패도는 저장초기 $0.16{\sim}0.18\;MA\;mg/kg$이었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으며 함기포장이나 가스치환포장이 진공포장과 이중포장지 진공포장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저장당일 양념갈비의 휘발성염기태질소 함량은 $6.63{\sim}7\;mg/%$이었고 저장 15일 후에는 함기포장 양념갈비가 다른 포장방법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양념갈비내 총균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여 저장 15일 후에는 함기포장 처리구가 6.03 log CFU/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진공 및 가스치환 포장방법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저장초기 대장균군수는 평균 2.35 log CFU/g이었고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다소 감소하다가 7일 이후부터 모든 처리구에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15일 저장후에도 모두 4.0 log CFU/g이하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양념갈비의 조직감은 모든 포장방법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색, 향미, 이취, 전체적인 기호성에 있어서는 함기포장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P<0.05).

업종별 공기중 납입자의 입경별 분포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Airborne Lead Particle Size by Industry)

  • 박동욱;백남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0-171
    • /
    • 1995
  • The size characteristics of lead particle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absorption of lead were ignored in establishing lead standar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stribution of lead particles by operation of industry. Aerodynamic Mass Median Diameters (MMD) of airborne lead particles in the battery and litharge manufacturing industry were $14.1{\mu}m$ and $15.1{\mu}m$,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values(p>0.05). However, the diameters in radiator manufacturing and secondary smelting industry were $1.3{\mu}m$, $4.9{\mu}m$, respectively. Those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s in other industries(p<0.05). Total lead concentrations in the secondary smelting industry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battery and litharge manufacturing industry. Total lead concentrations in other industries except radiator manufacturing industry exceeded the standard of $50{\mu}g/m^3$. Only radiator manufacturing industry indicated lead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other industries(p<0.05). Concentrations of lead particles smaller than $1{\mu}m$ defined as respirable fraction by OSHA's CPA model assumption were $72.4{\mu}g/m^3$ in the secondary smelting industry, exceeding $50{\mu}g/m^3$. The relationship of concentrations between total lead and lead of particles smaller than $1{\mu}m$ was log Y = 0.46 logX + 0.06(n=119, $r^2=0.44$, p=0.0001). Relationship of respirable lead concentrations between OSHA and ACGIH was significantly detected in the litharge and battery manufacturing industry(p=0.0001), bu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adiator(p=0.2720) and secondary smelting manufacturing industry(p=0.2394). As MMDs of lead particles generated in industry were small, difference of respirable lead concentration between OSHA and ACGIH became small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centrations respirable lead defined by two organizations such as OSHA and ACGIH in the battery and litharge manufacturing industry. Average concentration of respirable lead by ACGIH definition was 43.3 % of total lead in secondary smelting and 48.9 % in radiator manufacturing industry, and lower fractions were indicated in battery and litharge manufacturing industry. Relationships of total lead with IPM, TPM, and RPM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p=0.0001) and lead concentrations by particle size could be estimated using this relationship. Linear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otal lead concentration(X) and ACGIH-RPM concentration(Y) was log Y = 0.76 log X - 0.40($r^2=0.89$, p=0.0001).

  • PDF

두 가시성 다각형의 교집합과 합집합을 구하는 효율적인 RMESH 알고리즘 (Efficient RMESH Algorithms for Computing the Intersection and the Union of Two Visibility Polygons)

  • 김수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01-407
    • /
    • 2016
  • 단순 다각형 내부의 두 점 p와 q가 주어질 때 다음의 문제를 고려할 수 있다. (1) 다각형에서 p와 q 둘 다로부터 가시적인 점들의 집합을 구하라. (2) p와 q 둘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가시적인 점들의 집합을 구하라. 이 문제들은 두 가시성 다각형 사이의 교집합과 합집합을 구하는 문제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재구성가능한 메쉬(RMESH)에서 이 문제들을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고려한다. 일반적인 두 다각형의 교차 영역을 구하는 알고리즘[1]을 이용하면, 두 가시성 다각형의 교집합을 구하는 문제를 O($n^3$) 크기의 RMESH에서 상수 시간에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두 가시성 다각형의 꼭짓점 개수의 합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성 다각형의 특성을 이용하여 평면 분할 그래프를 O($n^2$) 크기의 RMESH에서 상수 시간에 구축하고, 이를 통해 두 가시성 다각형의 교집합뿐만 아니라 합집합도 O($log^2n$) 시간에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알고리즘은 기존의 결과에 비해 병렬 알고리즘의 비용을 나타내는 프로세서-시간 곱 지표를 O($n^3$)에서 O($n^2log^2n$)으로 개선한다.

요구르트 발효에서 효소로 당화시킨 주박 분해물의 탈지분유 대체 효과 (Substitution effects of enzymatically saccharified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on skim milk in yogurt fermentation)

  • 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3호
    • /
    • pp.299-30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주박을 발효식품에 이용하기 위하여 요구르트 제조의 주원료인 탈지분유를 주박 효소 당화물로 대체(10, 20, 30, 50%)한 실험군과 탈지분유만을 사용한 대조군을 상업용 Bifidobacterium longum,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혼합 균주로 요구르트 발효를 실시하면서 발효특성을 비교하고, 발효 후 요구르트의 관능특성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요구르트의 pH는 배양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발효 12시간 후 대조군은 4.30, 주박 효소 당화물 첨가군은 3.96~4.16으로 주박 효소 당화물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적정산도는 pH와 유사하게 증가하였으나 발효 12시간 후 대조군은 0.93%, 주박 효소 당화물 첨가군은 0.84~1.04%로 탈지분유의 대체율이 낮은 조건(10~20%)에서는 대조군보다 산의 생성이 증가되었지만 탈지분유의 30% 이상을 대체하면 산의 생성이 감소하였다. 젖산균 생균수는 발효 9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여 대조군과 주박 효소 당화물 첨가군 모두 8.18~8.24 log CFU/g를 나타내었으나 발효 18시간 후 탈지분유의 30~50%이 대체된 요구르트의 생균수는 7.54~7.69 log CFU/g로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탈지분유의 10~20%를 주박 효소 당화물로 대체하여 제조한 요구르트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탈지분유의 일부를 주박 효소 당화물로 대체한 요구르트를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는 동안 pH와 적정산도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그러나 젖산균 생균수는 주박 효소 당화물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고, 탈지분유의 10~20%를 주박 효소 당화물로 대체하여 제조한 요구르트에서 저장 11일까지 생균수가 $10^7CFU/g$ 이상으로 유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