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spectral propert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Far Ultraviolet Observations of the Spica Nebula and the Interaction Zone

  • 최연주;박재우;;민경욱;선광일;조영수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99.1-99.1
    • /
    • 2012
  • We report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far ultraviolet (FUV) observations made for the broad region around the ${\alpha}$ Vir (Spica) including the interaction zone of the Loop I and the Local Bubble. We employed the datasets of the GALEX and the FIMS, which made observations at similar FUV wavelengths. First, we noted that the GALEX image was enhanced in the southern region where the interaction zone exists. We attribute this enhanced FUV emission to dust scattering of the stellar photons, mostly from the background field stars with small contributions from the central star Spica. While the region is optically thin in general, the FUV intensity did not correlate well with the dust extinction level, indicating that the local radiation field has significant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GALEX FUV intensity well with the $H{\alpha}$ intensity as well as the dust extinction level in the northern part. In fact, the neutral hydrogen column density correlated very well with the dust extinction level throughout the whole region in conside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tral hydrogen column density and the color excess was estimated to be ${\sim}7{\times}10^{21}atoms\;cm^{-2}$, which is a little higher than the previous observations made for a diffuse interstellar medium. The spectral analyses of the FIMS observations showed the enhanced C IV emission throughout the whole region, indicating that the C IV emission arises by the interaction of the hot gases with the shell boundaries. A simple model showed that a large portion of the C IV emission comes from the Loop I side of the interaction zone, compared to the Local Bubble side. The FIMS spectrum also showed indications of the molecular hydrogen fluorescence lines for the interaction zone.

  • PDF

Dispersion-Based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for the Analysis of Elastic Waves

  • Sun, Kyung-Ho;Hong, Jin-Chul;Kim, Yoon-Young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12호
    • /
    • pp.2147-2158
    • /
    • 2006
  • The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CWT) has a frequency-adaptive time-frequency tiling property, which makes it popular for the analysis of dispersive elastic wave signals. However, because the time-frequency tiling of CWT is not signal-dependent, it still has some limitations in the analysis of elastic waves with spectral components that are dispersed rapidly in tim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 advanced time-frequency analysis method, called the dispersion-based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D-CWT) whose time-frequency tiling is adaptively varied according to the dispersion relation of the waves to be analyzed. In the D-CWT method, time-frequency tiling can have frequency-adaptive characteristics like CWT and adaptively rotate in the time-frequency plane depending on the local wave dispersion. Therefore, D-CWT provides higher time-frequency localization than the conventional CWT. In this work, D-CWT method is applied to the analysis of dispersive elastic waves measured in waveguide experiments and an efficient procedure to extract information on the dispersion relation hidden in a wave signal is presented. In addition, the ridge property of the present transform is investigated theoretically to show its effectiveness in analyzing highly time-varying signals. Numer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method.

JRC 등급에 따른 절리면 수리특성 연구 (A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ock Joints Dependant on JRC Ranges)

  • 채병곤;서용석;김지수
    • 지질공학
    • /
    • 제14권4호
    • /
    • pp.461-468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암반 내 절리면의 거칠기 정도에 따른 수리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Barton(1976)이 제안한 절리면 거칠기 계수(Joint Roughness Coefficient; JRC) 등급별로 투수계수를 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JRC등급 형태별로 고속퓨리에 변환을 이용한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여 각 거칠기 등급별로 영향력 이 큰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였다. 스펙트럼 분석결과 낮은 JRC 등급을 갖는 절리들이 높은 등급의 절리들보다 저주파 성분이 더 강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JRC등급의 절리들은 상대적으로 고주파 성분이 더 크게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펙트럼 성분 중에서 영향력이 큰 주파수 성분만을 이용하여 퓨리에 역변환을 실시해 JRC 등급별 절리 모델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절리 모델은 거칠기 성분을 포함한 모델로써, 균질화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각 모델의 투수계수를 산정하였다. 균질화 해석법은 섭동이론을 적용한 것으로서, 미시규모(microscale) 매질특성과 거시규모(macroscale) 매질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투수계수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균열 기하양상의 국부적 영향을 고려한 투수특성을 정확히 해석할 수 있다. 균질화 해석법을 이용해 투수계수를 산정한 결과, 절리 간극이 동일한 평행판 모델을 가정한 JRC 등급별 투수계수는 $10^{-3}\~10^{-4}m/sec$의 범위에 분포한다. 반면, 전단변형이 발생한 것을 가정한 모델에서는 $10^{-4}\~10^{-5}m/sec$의 범위에 투수계수가 분포한다. 이 경우는 투수계수 분포가 일정한 변화양상을 보이지 않고 JRC등급에 따라 불규칙적인 투수계수 분포를 보인다. 동일한 크기의 간극을 갖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JRC 등급별로 투수계수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전단변위에 따라 투수계수가 불규칙적으로 분포하는 것은 거칠기 변화가 투수계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침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이 연구를 통해 암반내 절리 등 균열을 따른 수리특성 규명에 있어 절리면 거칠기의 영향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후쿠오카 지역 발생 지진의 Coda파, 배경잡음 및 S파 에너지를 이용한 관측소의 증폭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th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ismic Observation Sites using Coda wave, Background Noise, and S-wave Energy from Fukuoka Earthquakes Series)

  • 김준경
    • 지질공학
    • /
    • 제23권4호
    • /
    • pp.435-445
    • /
    • 2013
  • 내진설계기준이 국내 고유의 지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특히 고진동수 구간에서 실제 관측된 가속도 스펙트럼 값이 내진설계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등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되어 왔다. 지반증폭 특성을 분석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본 연구는 지반진동의 수평/수직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최근 배경잡음, S파 및 Coda파 등에 적용되어 지반의 동적인 증폭 특성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후쿠오카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진동의 Coda파 및 배경잡음을 분석하였고 결과를 일련의 후쿠오카 지진의 S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2005년 3월 20일 발생한 후쿠오카 본진을 포함하여 규모 3.9 이상의 모두 15개 중규모의 후속 지진으로부터 국내 관측소에 관측된 각각 267개 지반진동 자료의 Coda파 및 배경잡음을 분석하여 국내 8개 주요 지진관측소 지반의 동적인 증폭특성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지진관측소마다 저 진동수 및 고진동수 특성, 관측소 고유의 우월진동수가 서로 상이하여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주었다. 대다수 관측소는 S파 및 배경잡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많은 부분이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물론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할 경우 주요 국내 지진관측소지반의 동적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많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