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ocal soybeans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Determination of Isoflavone, Total Saponin, Dietary Fiber, Soy Oligosaccharides and Lecithins from Commercial Soy Products Based on the One Serving Size - Some bioactive compounds from commercialized soy products - (대두 가공품 1회분량 내 이소플라본, 사포닌, 식이섬유, 대두 올리고당 및 레시틴의 함량 - 상업용 대두 가공품 1회 분량 당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 분석 -)

  • Kim, Cheon-Hoe;Park, Jeom-Seon;Sohn, Heon-Soo;Chung, Chai-Wo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4 no.1
    • /
    • pp.96-102
    • /
    • 2002
  • The levels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such as isoflavone, total saponin, dietary fiber, soy oligosaccharides, and lecithin from each serving size of commercial soy products, were quantitatively determined from the raw soybean, soymilk, tofu, isolated soy protein (ISP), soybean paste(toenjang), natto, and tempeh from local and foreign market. Soy flour, natto, and soymilk contained 489.1 mg, 308.3 mg, and 138.1 mg of isoflavone in each 100 g of dry matter, respectively. The ratios of aglycone to glucoside of soybean paste and tempeh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compared with other tested soy products. Commercial soymilk showed the highest ratio of soluble fiber to total dietary(59%). The higher levels of dietary fiber (20.1 g) and lecithin (1.13 g) were also found in tofu. The lecithin and saponin content of isolated soy protein(ISP) were highest (0.63 g and 0.65 g/ 100 g of dry matter) among the tested samples. In conclusion, soy flour showed the highest level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such as saponin, isoflavone, dietary fiber, and soy oligosaccharides. But when th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serving size, soymilk containing 31.5 mg of isoflavone, 2.59 g of dietary fiber, 0.57 g of oligosaccharides, 0.10 g of lecithin, and 0.11 g of saponin showed similarity to those of the tested soybeans(20 g).

Development of Vegetable Soybeans Thresher(II) - Threshing and sorting characteristic - (풋콩 탈협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II) - 탈협 및 선별 특성 -)

  • 김태한;임학규;이정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39-547
    • /
    • 2002
  • 본 연구는 풋콩 탈협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풋콩 탈협기의 급치를 교환할 수 있고, 급동의 주속도와 송풍팬의 회전속도 및 공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제작하고, 급치의 종류가 풋콩의 탈협 및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송풍팬의 회전속도와 흡입 공기구의 개구비 변화 따른 선별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급치의 종류에 따른 풋콩의 미 탈협율은 철선 급치가 최대 1.6%, 최소 0.0%,평균 0.7%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경도 60의 고무제 급치로서 최대 2.0%, 최소 0.0% 평균 1.1%, 경도 80의 고무제 급치는 최대 2.5%, 최소 0.0% 평균 1.7% 순으로 높아졌다. 또한 풋콩의 미탈협율은 급동 원주속도가 18m/s에서 55m/s로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는 급동의 원주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치의 선단이 풋콩 꼬투리에 가하는 타격력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2. 급치의 종류에 따른 풋콩의 손상율은 경도 80의 고무제 급치는 최대 5.2%, 최소 1.3%, 평균 2.8%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경도 60의 고무제 급치로서 최대 5.7%, 최소 2.4% 평균 3.8%, 철선 급치는 최대 6.3%, 최소 2.6% 평균 4.2% 순으로 높아졌다. 또한 풋콩의 손상율은 급동 원주속도가 증가할수록 풋콩 꼬투리의 손상율은 증가하였다. 이 또한 급등의 원주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치의 선단이 풋콩 꼬투리에 가하는 타격력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3. 공기흡입구의 개구면적을 증가시킬수록 선별율은 높게 나타났으나 개구비가 60%이상에서는 선별율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송풍팬의 원주속도를 높일수록 선별율은 높게 나타났다.도 콤바인이 직선구간 및 선회구간을 주행하며 수확작업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곡선구간에서는 최대오차가 65.5 cm로 매우 크게 나타나, 콤바인을 무인 자율주행으로 수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포장은 이론적인 완전한 직선보다는 작은 굴곡이 있는 곡선의 형태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주행 오차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기계시각을 이용하면 보다 정밀한 조향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장에서 DGPS 신호,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한 콤바인의 무인주행 장치는 무인 수확작업을 위한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일부의 센서의 기능을 개선하면 만족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dislocations form local defect arrangements at the grooves permitting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defect density over the remainder of the interfacial area.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은 1.40$\pm$

  • PDF

Relationship between Seed Weight and Agronomic Traits in Korean Native Soybeans (재래종 대두의 종실중과 저형질과의 관계)

  • Song, Hi-Sup;Lee, Young-Il;Kwon, Shin-Han;Song, In-Man;Kwon, Kyeong-Hak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5 no.1
    • /
    • pp.28-33
    • /
    • 1990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s of the soybean germplasm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sites covering sou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The total collections of 2748 native soybean varieties were grouped by eight levels of seed weigh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ed weight and the other agronomic traits were determined. Seed weight was ranged from 7. 3g to 48. 4g with a great variation and averaged 23. 5g. Seed size of the many local lines were relatively large than that of foreign varieties.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germplasm for seed weight were 2.2% in Group 1 (below 10.0g), 14.7% in Group 2 (10.1-15.0g), 11.7% in Group 3 (15.1-20.0g), 26.2% in Group 4 (20.1-25.0g), 30.2% in Group 5 (25.1-30.0g). 10.6% in Group 6 (30.1-35.0g), 3.3% in Group 7 (35.1-40.0g) and 1.1% in Group 8 (over 40.0g).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hip between seed weight and maturity or fruiting period, while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seed weight and the other traits such as days to flowering, plant height, and number of nodes and pods. While 100 seed weight of 464 lines (16.9% of total lines) were below 15g, and those are adequate for the bean sprouts. The fruiting period of large seeded lines was longer, however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of those were less lines than that of small seeded li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