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recurrence

검색결과 800건 처리시간 0.024초

원발 혹은 재발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사이버나이프률 이용한 체부 방사선 수술의 치료 결과 (Treatment Results of CyberKnife Radiosurgery for Patients with Primary or Recurrent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우철;김헌정;박정훈;허현도;최상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28-35
    • /
    • 2011
  • 목 적: 초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 이외의 국소 치료로 최근 방사선 수술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초기 혹은 재발한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체부 방사선 수술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소세포성 폐 종양에 대하여 방사선 수술이 시행되었던 24명의 환자, 28 lesion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중 원발성 종양은 19명 재발한 환자는 5명이었고 재발한 환자 5명 중 3명이 이전 치료 부위에서 재발한 환자 이었다. 원발성 종양 19명 중에서 4명은 외부 방사선 치료 후 추가로 방사선 수술을 시행 받았다. 24명의 초기 병기는 IA, IB, IIA, IIB, IIIA, IIIB, IV가 각각 7, 3, 2, 2, 3, 1, 6명이었고, 방사선 수술 당시의 T 병기는 T1 lesion이 13곳, T2가 12곳, T3가 3곳이었다. 방사선 수술은 6 MV X-ray를 이용하였고 planning target volume 1 (PTV1)에 총 방사선량 15~60 Gy(median, 50 Gy)를 3회 혹은 5회에 걸쳐 처방하여 시행하였다.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469일이었다. 결 과: 28곳의 GTV는 0.7~108.7 mL (median, 22.9 m L)이었고, PTV1 은 5.3~184.8 mL (median, 65.4 m L)이었다. 3개월 반응률은 complete response (CR) 14곳, partial response (PR) 11곳, stable disease (SD) 3곳이었고, 마지막 추적에서의 치료반응은 CR 13곳, PR 9곳, SD 2곳, progressive disease (PD) 4곳이었다. 원발종양으로 초기 병기 IA, IB 10명에서는 50일만에 1명이 폐렴으로 사망하였고 1명이 국소재발 하였으나 나머지 환자는 6개월에서 2년간 국소재발 없이 추적관찰 되고 있으며, IIA-IIB 환자는 4명으로 환자 수가 적어서 뚜렷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고, 재발성 폐암 환자 5명을 포함하는 10명의 IIIA-IV 병기에서는 사망 3명, 국소재발 1명, loco-regional failure 1명, regional failure 2명으로 좋지 않은 치료 결과를 보였다. 이 중에서 방사선 수술을 시행한 장소에서 재발한 경우는 총 28 1esion 중 4곳으로 85.8%의 국소제어율을 보였다. 방사선치료 양은 biologically equivalent dose (BEd) 100 $Gy_{10}$ 이하인 8 lesion 중에서 3 lesion에서 국소 재발하여 100 $Gy_{10}$ 이상인 20 lesion 중에서는 1 lesion에서만 재발한 경우보다 나빴다. 또한 중앙부의 종양과 방사선수술 당시의 병기가 T2 이상인 경우가 재발이 많았다. 결 론: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에서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체부 방사선 수술은 부작용이 적으면서 높은 국소제어율을 얻을 수 있는 치료이며, 주변부의 T1 병기의 폐암에 대해서 BED 100 $Gy_{10}$ 이상의 방사선 치료가 국소제어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생각된다.

근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방광 보존적 치료 결과 (Bladder Preserv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 유정일;오동렬;허승재;최한용;이현무;전성수;임호영;김원석;임도훈;안용찬;박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70-78
    • /
    • 2007
  • 목 적: 근침윤성 방광암으로 진단받고 방광 보존적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종양 반응 정도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9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방광암으로 진단 받고 방광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39명 중 편평상피암 환자 1명과 선암 환자 1명을 제외한 37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로는 남녀가 각각 33명, 4명이었으며 연령은 $38{\sim}86$세(중앙값 67세)였다. 조직학적으로 모두 이행상피암이었다. 임상적으로 원발 병소 병기는 T2, T3, T4가 각각 19명, 13명, 5명이었다. 경요도방광절제술(TURB) 시 완전 절제와 부분절제가 각각 17명과 19명에서 시행되었고, 조직 검사만 시행된 경우가 1명 있었다. 항암화학방사선병용요법을 받은 환자가 24명, 유도 항암화학요법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가 8명, 방사선 치료만 받은 환자가 6명이었고 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은 환자가 18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10{\sim}15\;MV$ 광자선을 사용하였으며 하루에 $1.8{\sim}2.0\;Gy$로 전골반을 대상으로 $45{\sim}46\;Gy$를 4문 조사한 후 방광에만 국한하여 3차원 입체조형치료로 $10.8{\sim}22.0\;Gy$ (중앙값 19.8 Gy) 추가하여 총 $55.8{\sim}67\;Gy$ (중앙값 64.8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치료는 Cisplatin을 기본으로 하여 $2{\sim}6$회(중앙값 3회) 시행하였다. 각 변수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으로 산출하였고 두 군 간의 비교는 Log-rank test 이용하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다변량 분석은 Cox 비례위험 모델을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0.05 미만을 의미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치료 반응 평가는 치료 종료 후 3개월 전후에 시행한 요세포 검사, 방광 내시경 소견 및 복부골반 전산화단층촬영을 종합하여 판단하였는데, 완전 관해, 비완전 관해가 각각 16명(43%), 20명(54%)이었다. 대상 환자의 3년 전체 생존율은 54.7%였고 중앙 생존 기간은 54개월($3{\sim}91$개월)이었다. 3년 무진행 생존율은 37.2%였다. 추적 관찰 중 24명(64.9%)이 재발하였는데 국소 재발이 17명(46%), 원격 전이가 6명(16%),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동시에 나타난 경우가 1명(3%) 있었다. 국소 재발의 구제 요법으로 근치적 방광절제술이 시행된 경우는 없었고 TURB만 시행하거나 항암화학치료가 병행되기도 하였다. 치료 후의 반응 정도가 전체 생존율(p=0.006)과 무진행 생존율(p=0.001)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인자였고, TURB의 정도가 전체 생존율(p=0.091)과 무진행 생존율(p=0.081), 방사선 조사선량이 무진행 생존율(p=0.07)에서 통계적 의의에 접근하였다. 결 론: 방광 보존적 치료 시 치료 후 반응 정도가 전체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에 있어 중요한 예후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URB를 가능한 충분히 시행하고 병소 부위에 방사선 조사선량을 높이는 것이 방광보존 치료에서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방광보존 치료 후 치료 반응 판정에서 완전 관해가 오지 않은 경우는 수술 등의 적극적인 구제 치료가 필요하겠다. 향후 방광 보존을 위한 항암화학 방사선 병용치료 프로토콜에 따른 임상 경험을 더 쌓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인강암환자에서 시행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조기 임상결과 (Initial Experience for 3-D Conformal Boost Treatments in Carcinoma of the Nasopharynx)

  • 장지영;조문준;김기환;송창준;김병국;김준상;김재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2-176
    • /
    • 2000
  • Objectives: To improve local control and reduce toxicity, 3-D conformal radiotherapy was used as a boost the primary tumor site following fractionated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Eight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nasopharyngeal carcinomas were treated with 3-D conformal radiotherapy following fractionated radiotherapy from September 1998 to April 2000. All patients had biopsy confirmation of disease before radiation therapy. Stages were II in 1, III in 5, and IV in 2. Two patients received cisplatin based chemotherapy in addition to radiation therapy; induction chemotherapy in 1, concurrent chemoradiation in 1. 3-D conformal radiotherapy delivered using 6MV Linac as a boost(range 25.2-28.8Gy, median 25.7Gy) following conventionally fractionated radiotherapy(range 50.4Gy). Average total dose ranged from 75.6-79.2Gy(median 76Gy). Follow-up time was 4-21 months(median 9.6 months). Results: Seven of 8 patients were evaluated radiologically within 3 month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All 7 patients were seen complete remission. One of 7 patients had distant metastasis after 5 months and local failure after 7 months. The tree interval of local recurrence was ranged from 4 - 21 months(median 10.2 months). One patient without radiological evaluation got complete remission clinically. Treatment related toxicity was grade 1-3 xerostomia, dysphagia, and mucositis. During 3-D conformal radiotherapy, there was no aggravation of any toxicity. Conclusion: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was small and follow-up period was short, 3-D conformal radiotherapy following conventional radiotherapy improved tumor control and dose escalation without increased toxicity. Survival and late toxicity should be evaluated through long term follow-up.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benefits of 3-D conformal radiotherapy in nasopharyngeal carcinoma with randomized trial.

  • PDF

Long-Term Treatment Results in Soft Tissue Sarcomas of the Thoracic Wall Treated with Pre-or-Postoperative Radiotherapy -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Oksuz, Didem Colpan;Ozdemir, Sevim;Kaydihan, Nuri;Dervisoglu, Sergulen;Hiz, Murat;Tuzun, Hasan;Mandel, Nil Molinas;Koca, Sedat;Dincbas, Fazilet On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949-9953
    • /
    • 2014
  • Objective: To evaluate the long term results among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 of the thoracic wall.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pre-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between December 1980-December 2007, with a dia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of the thoracic wall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The median age was 44 years (14-85 years) and 15 of them were male. A total of 50% of patients were grade 3. The most common histologic type of tumor was 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 (26.9%). Tumor size varied between 2-25 cm (median 6.5 cm). Seventeen of the cases had marginal and 9 had wide local resection. Four cases received preoperative radiotherapy and 22 postoperative radiotherapy. Six of the patients with large and high grade tumors received chemotherapy. Median follow-up time was 82 months (9-309 months).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was detected in 34.6% and 42.3% of patients, respectively. Five-year local control (LC), disease-free survival (DFS),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DSS) were 62%, 38%, 69%, and 76% respectively. On univariate analysis, the patients with positive surgical margins had a markedly lower 5-year LC rate than patients with negative surgical margi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43% vs 78%, p=0.1). Five-year DFS (66% vs 17%) and DSS (92% vs 60%) rates were significantly worse for the patients who had high grade tumors (p=0.01, p=0.008 respectively). Conclusions: Tumor grade and surgical margin are essential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prognosis of thoracic wall soft tissue sarcoma both in our series and the literature.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Metastatic Brain Tumors with Exophytic Hemorrhage

  • Park, Eun Suk;Lee, Eun Jung;Yun, Jung-Ho;Cho, Young Hyun;Kim, Jeong Hoon;Kwon, Do 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5호
    • /
    • pp.592-599
    • /
    • 2018
  • Objective : Metastatic brain tumors (MBTs) often present with intracerebral hemorrhage. Although Gamma Knife surgery (GKS) is a valid treatment option for hemorrhagic MBTs, its efficacy is unclear. To achieve oncologic control and reduce radiation toxicity, we used a radiosurgical targeting technique that confines the tumor core within the hematoma when performing GKS in patients with such tumors. We reviewed our experience in this endeavor, focusing on local tumor control and treatment-associated morbidities. Methods : From 2007 to 2014, 13 patients with hemorrhagic MBTs were treated via GKS using our targeting technique. The median marginal dose prescribed was 23 Gy (range, 20-25). GKS was performed approximately 2 weeks after tumor bleeding to allow the patient's condition to stabilize. Results : The primary sites of the MBTs included the liver (n=7), lung (n=2), kidney (n=1), and stomach (n=1); in two cases, the primary tumor was a melanoma. The mean tumor volume was $4.00cm^3$ (range, 0.74-11.0). The mean overall survival duration after GKS was 12.5 months (range, 3-29), and three patients are still alive at the time of the review. The local tumor control rate was 92% (tumor disappearance 23%, tumor regression 46%, and stable disease 23%). There was one (8%) instance of local recurrence, which occurred 11 months after GKS in the solid portion of the tumor. No GKS-related complic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 : Our experience shows that GK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our targeting technique safely and effectively treats hemorrhagic MBTs. The success of this technique may reflect the presence of scattered metastatic tumor cells in the hematoma that do not proliferate owing to the inadequate microenvironment of the hematoma. We suggest that GKS can be a useful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hemorrhagic MBTs that are not amenable to surgery.

Radiotherapy for pituitary adenomas: long-term outcome and complications

  • Rim, Chai-Hong;Yang, Dae-Sik;Park, Young-Je;Yoon, Won-Sup;Lee, Jung-Ae;Kim, Chul-Yo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156-163
    • /
    • 2011
  • Purpose: To evaluate long-term local control rate and toxicity in patients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for pituitary adenoma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0 patients treated with EBRT for pituitary adenoma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96 and 2006. Thirty-five patients had hormone secreting tumors, 25 patients had non-secreting tumors. Fifty-seven patients had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RT), and 3 had received RT alone. Median total dose was 54 Gy (range, 36 to 61.2 Gy). The definition of tumor progression were as follows: evidence of tumor progression on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worsening of clinical sign requiring additional operation or others, rising serum hormone level against a previously stable or falling value, and failure of controlling serum hormone level so that the hormone level had been far from optimal range until last follow-up. Age, sex, hormone secretion, tumor extension, tumor size, and radiation dose were analyzed for prognostic significance in tumor control. Results: Median follow-up was 5.7 years (range, 2 to 14.4 years). The 10-year actuarial local control rates for non-secreting and secreting adenomas were 96% and 66%, respectively. In univariate analysis, hormone secretion w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p = 0.042) and cavernous sinus extens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factor (p = 0.054) for adverse local control. All other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hormone secretion and gender were significant. Fifty-three patients had mass-effect symptoms (headache, dizziness, visual disturbance, hypopituitarism, loss of consciousness, and cranial nerve palsy). A total of 17 of 23 patients with headache and 27 of 34 patients with visual impairment were improved. Twenty-seven patients experienced symptoms of endocrine hypersecretion (galactorrhea, amenorrhea, irregular menstruation, decreased libido, gynecomastia, acromegaly, and Cushing's disease). Amenorrhea was abated in 7 of 10 patients, galactorrhea in 8 of 8 patients, acromegaly in 7 of 11 patients, Cushing's disease in 4 of 4 patients. Long-term complication was observed in 4 patients; 3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1 patient developed dementia. Of these patients, 3 of 4 received more than 60 Gy of irradiation. Conclusion: EBRT is highly effective in preventing recurrence and reducing mass effect of non-secreting adenoma. Effort to improve tumor control of secreting adenoma is required. Careful long-term follow-up is required when relatively high dose is applied. Modern radiosurgery or proton RT may be options to decrease late complications.

대장선암의 치료에 있어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 (The Rol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Adenocarcinoma of the Colon -A Review of 21 Patients-)

  • 박경호;노준규;서창옥;김동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1호
    • /
    • pp.49-54
    • /
    • 1988
  • 대장선암의 근본적인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로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 직장선암과 마찬가지로 수술 후 국소재발이 문제시되어 왔다. 직장선암의 경우 수술 후 국소재발의 위험성이 볼은 판자에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병용함으로써 국소제어율 및 나아가서 생존율까지도 상당히 개선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장선암의 경우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의 개선이 보고되고 있기는 하나 아직 널리 알려져 있지는 못하다. 이에 저자는 1970년 3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대장선암으로 진단받고 일차적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한 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한 21명의 환자를 후향성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1명의 환자 중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병용하여 계획대로 무사히 마친 환자는 11명이었다. 2.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환자들의 전체적 인 국소실패율은 $9\%(1/11)$이었고 병기별로는 B2+B3가(0/4), Cl+C2+C3가 $14\%(1/7)$였고 C1이 0(0/2) B2+C2가 $17\%(1/6)$, B3+C3가 0(0/3)였다. 3.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55\%$였다.

  • PDF

대장선암의 치료에 있어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 (The Rol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Adenocarcinoma of the Colon -A review of 21 Patients-)

  • 박경호;김동원;노준규;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1호
    • /
    • pp.51-57
    • /
    • 1989
  • 대장선암의 근본적인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로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 직장선암과 마찬가지고 수술 후 국소재발이 문제시되어 왔다. 직장선암의 경우 수술후 국소재발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병용함으로써 국소제어율 및 나아가서 생존율까지도 상당히 개선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장선암의 경우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의 개선이 보고되고 있기는 하나 아직 알려져 있지는 못하다. 이에 저자는 1970년 3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대장선암으로 진단받고 일차적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한 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한 21명의 환자를 후향성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1명의 환자 중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병용하여 계획대로 무사히 마친 환자는 11명이었다. 2.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환자들의 전체적인 국소실패율은 $9\%(1/11)$이었고 병기별로는 B2+B3가 (0/4), Cl+C2+C3가 $14\%$ (1/7)였고 Cl이 0 (0/2) B2+C2가 $17\%$ (1/6), B3+C3가 0(O/3)였다. 3.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55\%$였다.

  • PDF

연부 조직 종양에서 PET의 유용성: 기존의 진단법과의 비교 연구 (Diagnostic Efficacy of PET in Soft Tissue Tumors: Comparative Study with Conventional Methods)

  • 서성욱;박상민;조환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39
    • /
    • 2005
  • 목적: 최근에는 연부 종양의 진단에 FDG-PET을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진단법과 비교하여 FDG-PET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은 2001년 3월에서 2002년 3월 사이에 연부 조직 종양으로 진단받은 29명의 환자(남자 16명, 여자 13명, 평균 4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군에서 기존의 검사법과 FDG-PET을 시행하였다. 타당성 검증에서 국소 병변은 모든 경우 조직검사로 판단하였고, 전이 병변은 조직 검사와 6개월 간의 추시 결과로 판단하였다. 각각의 진단은 독립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진단의 정확도와 누적 비용-정확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국소 병변의 진단에서 MRI와 FDG-PE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91%, 57%, 83% 와 95%, 43%, 83%이었다. 원격 전이의 진단에서 기존의 검사법과 FDG-PE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77%, 89%, 87% 와 92%, 94%, 93%이었다. 누적 비용-정확도율은 145,000원/% 이었다. 종양의 등급별 민감도 분석에서 고등급의 종양이 가장 비용-효용성이 높았다. 결론: 국소부위의 재발과 잔존 종양의 진단에서 FDG-PET의 정확도는 MRI와 차이가 없었다. 반면, 원격 전이의 진단은 FDG-PET이 기존의 검사 보다 정확하였다. 고등급 종양의 경우 저등급 종양보다 FDG-PET의 유용성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장착-탈거 및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대장직장암의 수술 중 방사선 치료대의 개발 (Development of Detachable IORT Table for Colorectal Cancer)

  • 김명세;이준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117-121
    • /
    • 1994
  • 연구목적 : 국소재발을 줄이면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된 수술중 방사선 치료(IORT)는 육안으로 치료 범위를 확인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조사 선축의 각도와 치료과 치료면의 거리 등이 조금만 틀려도 조사야의 선량에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조사방사선의 동질성(Homogeneity)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직장암의 경우 조사 부위가 대부분에서 3차적인 경사면을 가진 골반벽이 됨으로 치료 cone의 정확한 Set-up은 적절한 gantry의 회전과 치료대(treatment couch)의 tilting이 조화되어야만 가능하다. gantry의 회전은 어느 기계에서나 가능하나 치료대의 tilting은 대부분에서 불가능함으로 영남대학교 의료원 치료 방사선과에서는 상하로의 tilting이 30$ ^{\circ} $까지 가능할 뿐 아니라 기존 치료대에 장착과 탈거가 5분이내에 쉽게 될수 있는 치료대를 개발하기 위함. 재료 및 방법 : IORT 치료대는 2cm 두께의 bekelite로 2cm 두께의 sponge를 leather로 싸서 수술대에 피나 기타용액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였고 전체의 무게가 45kg을 넘지 않도록 하여 치료대의 양끝에 장착할 경우, 치료대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상하 경사각은 30$ ^{\circ} $를 유지토륵 하였고 lithotomy position에서도 side handle을 사용하여 경사각 조절이 가능토록 하였다. 결과 및 결론 : 1992년 9월부터 1993년 3월까지 여러번의 수정을 거친 후 대장 직장암의 IORT에 사용하고 있으며, 3차원적인 골반벽에의 정확한 접근(approach)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존 방사선 치료대에 장착과 탈거가 5분 이내에 가능하며, 상하 경사각 30$ ^{\circ} $ 정도로의 조절이 수술이나 마취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자유로이 조절 되므로 향후 대장직장암의 IORT에 크게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PDF